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5)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5. 현대의 문화자원 제15장 현대의 문화자원 15.1. 현대의 문화자원이란 -현대의 문화현장에서 관광객에게 구매의지를 갖게 하는 관건은 감동이다. 15.2. 문화콘텐츠 -문화적 요소가 체계화된 콘텐츠 *콘덴츠: ‘내용이나 목차’라는 의미를 지니며,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개발된 각종 정보 또는 내용물을 의미. 문화자원이 가지고 있는 원재료성을 의미 *원소스 멀티유즈 :하나의 소재를 개발하여 다양한 상품을 만들어내는 것 *멀티소스 멀티유즈 :다양한 소재를 원하는 이야기 구성을 위해 조합하거나 제공방식을 달리하는 것 * 한류 : 1990년대 후반 대만에서 활동을 시작한 ‘클론’, 중국대륙으로 활동지역을 넓힌 ‘NRG' 등의 활동에 대한 자국 젊은이들의 반응을 보며 중국계언론이 한류라는 용어 사용 * 비 보이(B-boy)..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4. 우리 전통음식의 이해 제14장 우리 전통음식의 이해 14.1. 한국 전통음식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숨결 *상차림이란 한상에 차려놓은 찬품의 이름과 수효, 전통적으로 독상이 기본이다. * 반상 : 밥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 =첩 -밥,국,김치,조치,종지를 제외한 쟁첩(찬그릇)에 담은 반찬의 수 * 3첩 반상 :적당히 먹었던 서민들의 상 /* 5첩 반상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 상 * 7첩 반상 : 여염집에서 신랑, 새색시상 /* 9첩 반상 : 반가집의 최고 상차림 * 12첩 반상 : 궁중에서 차리는 수라상 14.2. 한국 전통음식의 특징 -맛 - 맛의 바탕: 장류 / 채소발효 김장김치 / 손맛 나물 / 별미 떡 14.3. 한국 전통음식의 특징 -멋 * 한국음식의 색 : 오방색(청, 적, 황, 백, 흑)..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3. 생활문화의 꽃, 한복 제13장 생활문화의 꽃, 한복 13.1. 한복의 원류 * 우리나라 옷은 바지와 저고리를 입는 북방 알타이계 호복이라고 할 수 있다 13.2. 상대(삼국시대)의 한복의 미 =북방 알타이계의 착수궁고와 화(목 긴 신발), 관모, 두루마기 * 고구려 남자의 대표적인 옷차림은 바지와 저고리를 입고 있는데, 저고리 위에 허리띠를 매고, 머리에는 수건이나 삼각 형태 고유의 절풍을 썼으며 장화처럼 생긴 목이 긴 신발을 신고 있다. *고구려 여인들도 평상시에는 남자와 같은 저고리와 바지를 입었고, 신발도 남자의 것과 같은 형태를 신었는데, 의례가 있을 경우 바지위에 치마를 덧입어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 매우 중요한 장식미의 하나로 선 장식을 들 수 있는데, 저고리와 치마, 두루마기 등의 소맷부리, 깃, 도련에 다른 천..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2. 놀이문화와 축제 제12장 놀이문화와 축제 12.1. 놀이 =두레 중심 일공동체, 동제 중심 마을공동체, 혼례와 세시명절 중심의 의례공동체와 관련 * 놀이의 문화적 특징 - 놀이는 일이나 현실적 삶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 놀이는 마을신앙, 세시풍속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 놀이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바꿀 수 있다 - 놀이는 편을 갈라서 노는 승부놀이가 많다 - 놀이에는 춤과 노래, 재담이 신명을 돋운다 - 놀이 중에 집단놀이는 지역축제의 바탕이 된다. - 놀이는 어린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교육적 측면이 강하다 12.2. 놀이의 유형 분류 * 놀이의 성격에 따른 유형 분류 -기원적 놀이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축귀, 정화, 기원의 의식을 통해 마을이나 개인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1. 한국의 민속극 제11장 한국의 민속극 * 민속극은 민간전승의 연극으로서 가면극, 인형극, 무당굿놀이 등이 포함된다. 11.1. 가면극 * 가면극의 역사적 전통 - 삼국시대의 가면극 - 고구려악과 서역악 :고구려악(내원성,정양,명주) - 백제악과 기악 :기악은 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 기악과 산대놀이 - 신라향악과 가면무 : 검무, 무애무, 처용무, 오기(금환,월전,대면,속독,산예) - 고려조의 산대잡극 :산대잡극, 나희(신라오기.조선구나시), 조희, 고려의 광대 - 조선시대의 산대도감극 :산대나희, 소학지희, 조선조의 재인광대 * 가면극 1. 강릉 관노탈놀이 :성황제를 할 때 공연하던 가면극 2. 하회별신굿놀이 : 아직 연희로서의 독립이 충분하지 않다 3. 야유 : 들놀음, 부산근처에 분포된 가면극. 농악놀이와 연..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0. 한국음악 제10장 한국음악 10.1. 국악사 -통일신라 :삼현삼죽(가야금, 거문고, 비파, 대금, 중금, 소금) -세종 :신악 창제, 정간보 창안 / -성종 :악학궤범 발간 10.2. 국악과 국악기의 분류와 특징 * 아악 : 본래 고대 제례악인데,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에서 제례와 의식음악으로 사용 * 당악 : 송나라에서 들어와서 궁중의 의식과 연예에서 사용 * 향악 : 우리나라에서 그 이전부터 연주되어온 음악 * 목관악기 중 리드(소리를내는앏은판)가 있는 악기 : 피리, 생황, 태평소 -고대:북,징 /-향악기 :거문고,가야금,대금등 /-당악기 :피리,장구,해금,태평소 /-아악기 :제례악 ◉ 국악과 국악기의 특징 1. 자연의 음색이 다양하듯 국악의 음색도 다양. 국악기는 자연소재를 가공 없이 사용. 2. 국악의..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9. 불교문화와 사찰 제9장 불교문화와 사찰 9.1. 승려생활과 신자의 삶 * 승려는 세가지 승복과 하나의 발우, 앉고 눕기 위한 천, 약 등의 필수품만 소유 * 총림(큰절)에는 강원(경전을 배우는 곳), 율원(승가의 율을 배우는 곳), 선원(선 수행을 하는 곳), 염불원(염불수행을 하는 곳)이 있다. *신자는 승려에게 보시하거나 절을 돌보는 일 맡음 9.2. 불전에 대한 이해 -불교의 경전은 수백년 동안 암송되다가 기원전 1세기경 스리랑카에서 기록되기 시작함. -대장경 :한역대장경(송,원,명,고려,중화), 빨리어대장경(스리랑카,태국,미얀마) 범어불전(반야경,금강경,법화경,화엄경), 티베트대장경(불설수,논소부), 북경판대장경 9.3. 법구와 불교상징물에 대한 이해 * 불전사물 : 조석예불 때 올리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8. 한국 예절문화의 이해 제8장 한국 예절문화의 이해 -유교의 종교문화적 차원은 예절문화로 나타난다. : 인사동 전통혼례, 운현궁 궁중혼례, 종묘제례, 궁중다례, 규방다례, 가정의례 8.1. 한국 예절문화의 이해 * 공빈이 쓴 에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나타남 -동이열전에 예절의 달인으로 순임금, 자부선인, 대련, 소련형제, 유위자 등의 이름이 거론 * 의 자한 편에도 동이족이 “천성이 유순하며 이웃나라와 다른 까닭에 공자는 도가 행 해지지 않는 것을 서글프게 생각하여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동이에 가 살고싶다.” 라고 적고 있다 * 후한의 허신도 에서 “동이의 풍속이 어질므로 어진 사람은 오래 산다. 군자가 죽지 않는 나라가 있다고 하니, 공자와 같은 성인도 뗏목을 타고 가라고 하였다”라고 하였음 * 진나라 시인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7. 세시풍속 제7장 세시풍속 7.1. 세시풍속의 개념 -농경사회의 풍속이자 해마다 농사력에 맞추어 관습적으로 행하는 전승행사 * 세시풍속은 24기와 명절로 구분, 24절기는 양력에 따라, 명절은 음력에 따라 만들어졌다. *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잘 전해주는 자료 :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세시풍속의 속성은 유행이다. 7.2. 세시풍속의 생성과 배경 1. 노동과 유희의 변증법 :노동은 즐거운 유희를 위하여, 유희는 효율적인 노동을 위하여 2. 역법의 발달 :세시풍속은 춘하추동과 24절기가 기본인데, 이것은 태양에 따라 정해졌다 7.3. 세시풍속의 종류 4대 명절 =설날, 한식, 단오, 추석 1. 봄의 세시풍속 1) 설날 :원단(1월 1일), 원일, 원정, 신일. 섣달그믐날밤 잠 안자는 ‘수세’-눈썹이 센다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6. 한국의 무속 제6장 한국의 무속 6.1. 한국 무속과 샤머니즘 -광 :원시적 주술신앙 /-협 :샤먼들이 행하는 신과의 직접 교령으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개념 *한국무속은 신을 제의의 현장에 불러다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변별성을 가진다 6.2. 무속신의 명칭과 유형 * 가택신 : 성주신, 제석신, 조상신, 터주신, 조왕신 * 마을신 : 서낭신, 당신, 당산신 감응신: 삶의 공간을 주재하는 고을신 -삼불제석: 농경생산신 /칠성신: 수명관장 / 바리공주: 망자의 넋을 천도 /호구신: 전염병 역신 6.3. 무속인의 유형 - 강신무 : 무병 또는 신병을 앓다가 선배 무속인에게 ‘신이 준 병’이라는 판정을 받게되면 신을 섬기는 무속인이 되는 절차로서 내림굿이란 입무의식을 행한 다음 무속인이 되는 부류(샤머니즘 범주) - 세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