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1. 한국의 민속극

제11장 한국의 민속극

* 민속극은 민간전승의 연극으로서 가면극, 인형극, 무당굿놀이 등이 포함된다.
11.1. 가면극
* 가면극의 역사적 전통
- 삼국시대의 가면극
- 고구려악과 서역악 :고구려악(내원성,정양,명주)
- 백제악과 기악 :기악은 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 기악과 산대놀이
- 신라향악과 가면무 : 검무, 무애무, 처용무, 오기(금환,월전,대면,속독,산예)
- 고려조의 산대잡극 :산대잡극, 나희(신라오기.조선구나시), 조희, 고려의 광대
- 조선시대의 산대도감극 :산대나희, 소학지희, 조선조의 재인광대
* 가면극
1. 강릉 관노탈놀이 :성황제를 할 때 공연하던 가면극
2. 하회별신굿놀이 : 아직 연희로서의 독립이 충분하지 않다
3. 야유 : 들놀음, 부산근처에 분포된 가면극. 농악놀이와 연관
4. 오광대 : 경남지방에 두루 분포. 다섯과장, 다섯광대. 통영, 고성, 진주, 마산
5. 산대놀이 : 서울 및 서울 근교의 가면극.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6. 해서탈춤 : 황해도 일대의 가면극. 봉산탈춤, 해주탈춤, 강령탈춤
7. 사당패의 덧보기 : 사당패라는 유랑극단이 공연하는 가면극
* 공연방식의 특징
- 가면극은 야외 놀이판이 공연무대. 등장인물의 진술로 무대배경이 전환된다.
- 공연시간은 해가 지고 난 후의 밤에 공연해서 새벽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 조명은 기름 묻힌 솜방망이 불을 장대에 매단 횃불 혹은 장작불
- 불빛은 대체로 땅바닥에서 위로 투사되어 광대들은 고개를 15도가량 숙여 조명을 맞춘다
- 가면극에서는 인물의 등장과 퇴장, 행위의 방식이 형식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 관객의 참여와 소외의 맞물림 : 연회자들이 악사나 관객에게 개입하고, 상대적으로 악사나 관객은 연희 현장에 개입하게 된다 ⇒극중 몰입 차단, 비판적 시각 가질 수 있음.
- 가면극은 이른바 ‘과장’이라는 단위가 연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가면 :벽사가면, 의술가면, 신성가면, 예능가면
*한국가면의 명의 : 가면, 광대와 초란이, 꼭두, 탈
* 가면극에서 사용되는 가면은 대체로 나무, 종이, 바가지의 세 가지 재료
*가면극에서의 비판의 대상은 대체로 중, 양반, 가부장적 권위(남편)로 공통적인 설정

11.2. 한국의 인형극 -꼭두각시놀음을 중심으로
* 꼭두각시놀음의 등장인물 : 박첨지 -백발노인의 형상, 해설자 역할 담당
홍동지 -박첨지 조카, 붉은색 나체인형, 적대감 직설적 표출
꼭두각시 -박첨지 본처, 추녀의 형상
덜머리집 -박첨지 첩실, 꼭두각시와 대립각을 세우는 인물

11.3. 한국 전통연희의 가치
-한국의 가면극이나 굿놀이, 인형극 등은 열린 연행 형식과 즉흥성을 통해 신명을 발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삶의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연행 현장으로서의 가치를 지님. 삶의 일상적 경험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일반 백성들이 생활 속에서 체들한 삶의 이치를, 구체적인 양상으로 인식하고 비판하는 소통의 장으로서 전통연희의 가치를 인식해야 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