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한국음악
10.1. 국악사
-통일신라 :삼현삼죽(가야금, 거문고, 비파, 대금, 중금, 소금)
-세종 :신악 창제, 정간보 창안 / -성종 :악학궤범 발간
10.2. 국악과 국악기의 분류와 특징
* 아악 : 본래 고대 제례악인데,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에서 제례와 의식음악으로 사용
* 당악 : 송나라에서 들어와서 궁중의 의식과 연예에서 사용
* 향악 : 우리나라에서 그 이전부터 연주되어온 음악
* 목관악기 중 리드(소리를내는앏은판)가 있는 악기 : 피리, 생황, 태평소
-고대:북,징 /-향악기 :거문고,가야금,대금등 /-당악기 :피리,장구,해금,태평소 /-아악기 :제례악
◉ 국악과 국악기의 특징
1. 자연의 음색이 다양하듯 국악의 음색도 다양. 국악기는 자연소재를 가공 없이 사용.
2. 국악의 음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인다-물결처럼 진동=농현, 시김새
3. 사용되는 음의 수는, 국악은 세계의 많은 전통 민속음악과 마찬가지로 5음 음계가 주를 이룸
4. 국악 곡에는 대개 장단이 있다 -전체적으로 여유있고 율동적이며 순환적이다.
5. 국악은 선적인 음악이다 -화성이 없으므로 주선율은 비슷하게 가면서도 특징적인 장식음 이나 시김새를 자유롭게 연주한다(헤테로포니)
6. 국악곡 중에서도 궁중음악 등 전통 악곡을 연주할 때 연주자들은 대개 조선시대 악사의 의상을 입는데, 화려한 오방색 색상은 우주를 상징하는 동서남북과 중앙을 뜻한다.
아악기는 성리학과 관련된 음양오행사상을 담고있어 악기와 악대는 음양으로 구분하여 연주
10.3. 국악과 인류의 무형문화자원
*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 지정종목
1. 종묘제례악 : 조선시대 왕들의 공덕을 기리는 노래, 기악연주와 춤, 보태평과 정대업 1호
2. 판소리 :한 사람이 긴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나가고 고수가 북으로 반주하는 극음악
-소리(선율적 노래), 아니리(말하는 것), 발림(몸짓), 고수의 추임새 5호
3. 가곡 :시조시를 노래하는 성악곡. 현재 남창 26곡, 여창 15곡이 전함. 우조와 계면조 30호
4. 영산재 :죽은 이의 명복을 빌고,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을 이상적인 세계로 이끌기 위한 불교의식
-‘범패’를 부르고 불교의식 춤인 ‘작법’-법고춤, 바라춤, 나비춤
5. 처용무 : 처용 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 궁중무용 가운데 유일한 탈춤. 첫반주음악-수제천
6. 강강술래 :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이 대표적 8호
7. 강릉 단오제 :단오제례, 단오굿, 관노가면극이 가장 주요한 부분
-단오제례(아홉번에걸쳐), 단오굿(세습무에의해), 관노가면극(관청노비,몸짓과춤으로만)
8. 남사당놀이 :유랑인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서민층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부터 행했던 놀이.
박첨지 -버나(접시돌리기), 살판(땅 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인형극) 3호
9. 제주 칠머리당영등굿 :영등할망이 음력2월1일 들어와서 15일 돌아간다, 이 기간 중에 함
10.4. 국악의 전승현황
* 장악원 : 예조 소속의 음악을 관장했던 기관으로, 주로 국가와 왕실의 공식적인 행사에서 음악과 춤을 맡았으며, 교육과 연구 및 정책기관도 겸했다 ⇒부산국립국악원 개원
10.5. 현대 국악의 흐름
-전통음악 보전과 새로운 국악 창작 : 퓨전국악, 국악기 개량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2. 놀이문화와 축제 (0) | 2022.06.11 |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1. 한국의 민속극 (0) | 2022.06.10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9. 불교문화와 사찰 (0) | 2022.06.08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8. 한국 예절문화의 이해 (0) | 2022.06.07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7. 세시풍속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