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세시풍속
7.1. 세시풍속의 개념
-농경사회의 풍속이자 해마다 농사력에 맞추어 관습적으로 행하는 전승행사
* 세시풍속은 24기와 명절로 구분, 24절기는 양력에 따라, 명절은 음력에 따라 만들어졌다.
* 조선시대 세시풍속을 잘 전해주는 자료 :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세시풍속의 속성은 유행이다.
7.2. 세시풍속의 생성과 배경
1. 노동과 유희의 변증법 :노동은 즐거운 유희를 위하여, 유희는 효율적인 노동을 위하여
2. 역법의 발달 :세시풍속은 춘하추동과 24절기가 기본인데, 이것은 태양에 따라 정해졌다
7.3. 세시풍속의 종류 4대 명절 =설날, 한식, 단오, 추석
1. 봄의 세시풍속
1) 설날 :원단(1월 1일), 원일, 원정, 신일. 섣달그믐날밤 잠 안자는 ‘수세’-눈썹이 센다
세화(액을 쫓는 신 그림), 문배(도끼 든 장군 그림), ‘용.호’자를 대문에 붙임
2) 입춘 :입춘축(=입춘방)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임.
3) 대보름 :원소절, 상원, 1월 15일, 삼국유사 사금갑-찰밥지어 까마귀에게 제사,
상원 연등 기록- 삼국사기 신라본기, 고려 태조 훈요십조, 세조실록 9년
4) 삼진: 음력 3월 3일, 삼샛날, 여자의 날, 답청절, 화류.화전놀이
5) 청명: 양력 4월 5~6일경, 논농사의 준비작업, 손 없는 날
6) 한식: 동지후 105일째 되는 날, 양력 4월5일 무렵, 성묘, 파종. 식목일과 겹침
2. 여름의 세시풍속
1) 초파일 :음력 4월8일, 불교의 전래로, 연등행사
2) 단오 :음력 5월 5일, 일년 중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 수릿날-높은 신이 오시는 날
수리취떡, 앵두화채, 창포주, 각서라고 하는 고기와 둥근 떡. 그네,씨름,수박희
강릉단오제, 봉산탈춤,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3) 유두 :음력 6월 15일,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 유두제사, 유두알(떡)
4) 삼복 : 초복-하지후 삼경일, 중복-사경일, 말복-입추 후 초경일, 10일 간격
3. 가을의 세시풍속
1) 칠석(음력7월7일) : 견우직녀 설화
2) 백중(음력7월15일) : 세벌김매기 끝난 가장 한가로울때, 여름철 축제, 밀양 백중놀이
3) 추석 :중추절(8월15일), 가배,가위. 농공감사일. 올베심리(호남), 송편,토란국,화양적,송이
강강술래, 소놀이와 거북놀이, 씨름, 소싸움, 줄다리기
4) 중양절 :음력9월 9일,중구절. 제비가 강남으로, 등고회-수유주머니,국화주,모자떨어뜨림
4. 겨울의 세시풍속
1) 시제 :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의 묘소에 제내는 제사
2) 동지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태음태양력으로, 아세,작은설, 애기동지는팥죽안쑨다
3) 납일 :동지 뒤 세 번째 미일, 종묘사직에, 조상께 제사. 납일 눈=납평치, 납설수
4) 제석 :섣달 그믐날, 세밑, 눈썹세는날, 제야, 묵은 설. 수세=송구영신, 묵은세배
5. 윤달의 세시풍속 : 태음력에서 계절의 추이를 맞추기 위해 평년 12개월에 보탠 달
-혼례나 가옥의 수선, 수의를 재봉, 절에서는 윤달에 불공을 드림, 방생
-생전예수제(살아있을때쌓는공덕)+삼사순례+가사불사, 묘소고치기 성 돌기, 성 밟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9. 불교문화와 사찰 (0) | 2022.06.08 |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8. 한국 예절문화의 이해 (0) | 2022.06.07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6. 한국의 무속 (0) | 2022.06.05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5. 한국의 전통 정원 (0) | 2022.06.04 |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4. 조선시대 궁중문화 2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