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6. 한국의 무속

제6장 한국의 무속

6.1. 한국 무속과 샤머니즘

-:원시적 주술신앙 /- :샤먼들이 행하는 신과의 직접 교령으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개념

*한국무속은 신을 제의의 현장에 불러다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변별성을 가진다

 

6.2. 무속신의 명칭과 유형

* 가택신 : 성주신, 제석신, 조상신, 터주신, 조왕신

* 마을신 : 서낭신, 당신, 당산신 감응신: 삶의 공간을 주재하는 고을신

-삼불제석: 농경생산신 /칠성신: 수명관장 / 바리공주: 망자의 넋을 천도 /호구신: 전염병 역신

 

6.3. 무속인의 유형

- 강신무 : 무병 또는 신병을 앓다가 선배 무속인에게 신이 준 병이라는 판정을 받게되면 신을 섬기는 무속인이 되는 절차로서 내림굿이란 입무의식을 행한 다음 무속인이 되는 부류(샤머니즘 범주)

- 세습무 : 무업을 생계로 하는 가정에서 무업을 가업으로 계승해서 이어가는 무속인

 

6.4. 무복과 무구

-무복은 굿에서만 입는 의복, 제의를 받는 신의 수에 비례 (신의말=공수)

-무구 :방울은 신령, 북이나 징은 신청울림, 명도는 둥근구리거울에해..-수호신의 기능

 

6.5. 무의의 종류

- 재수나 복을 비는 기복무의

- 죽은 자의 혼령을 위무하고 저승으로 천도하는 사령무의

- 병이나 우환을 다스리는 치병무의

- 자신이 모신 몸주신에 대한 의례인 무신무의

 

6.6. 무가의 종류와 특징

1. 특징 : 주술성, 신성성(청자가 신), 전승이 제한, 오락성(굿놀이 등), 율문의 전승

-무가(굿) :덕담, 찬신, 신의유래. 신을 즐겁게하고 노여움 푸는 내용. 다양한 신

-무경(독경) :신통의 나열, 신병의 결진, 귀신의 착금. 귀신 쫓음. .불교적 신

2. 무가의 종류

-교술무가 : 신을 굿판에 모시는 청배, 제주와 제의를 베풀게 된 연유, 준비과정과 제물의 설명, 찬신, 축원, 공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서정무가 : 신의 인간의 처지에 입각한 간절한 찬양과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수준 높은 음악성이 갖추어진 지역에서 널리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서사무가 : ‘본풀이라 부르는데, 특정 존재가 신으로 좌정하기까지의 내력, 곧 근본을 풀어 낸다는 의미. 그 자체가 신화이고 후대 고소설이나 판소리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줌.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일반신본풀이 :창세신본풀이, 제석본풀이, 바리데기, 칠성풀이, 성주풀이

특정 지역 당신과 관련된 당본풀이 노래와 말이 교차하는 기본방식

- 희곡무가 : 무당굿놀이, 무극으로도 불리는데, 연극적 행위와 연희를 수반하는 것이 특징. 양주 소놀이굿 등이 대표적.

 

6.7. 무가를 중심으로 본 무속의 세계관

1. 무가의 삼계 : 신들이 거주하는 곳(천상, 서천, 극락), 귀신(명부, 지하계, 저승), 인간계

=무가에 나타나는 환상이나 이계는 현실적인 인간의 사고방식의 변형된 모습이며,

내세나 인간을 초월한 신계 중심의 사고의 표현은 아니다.

2. 무가의 세계관

-신의 세계를 통해 인간의 세계를 말하고 인간의 세계를 통해 신의 세계를 말한다. 인간계의 삶의 진실이 무엇인지를 인간계와 다르지 않은 초월계를 통해 비추어 구체화하였다.

인간계의 보통사람의 삶 자체에 초월계의 질서가 함께 있기에 현실의 삶이 소중하다는 사실 을 강조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