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직, 사회복지사등 공무원 대비 사회복지학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2장 사회복지와 사회보장
12장 사회복지와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개념과 기능 1) 사회보장의 개념 • 베버리지(Beveridge, 1942)는 사회보장을 “실업, 질병, 재해로 인해 소득이 줄었을 때,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중단되었을 때, 주된 소득자가 사망하여 생계를 책임질 사람이 없어졌을 때, 출생, 사망, 결혼,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지출될 때를 대비한 소득보장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 미국의 사회보장법(1935년)에서는 사회보장을 “일반복지(general welfare)의 증진을 위해 연방정부가 관장하는 노령급여제도를 실시하고, 주 정부가 관장하는 노인, 시각장애인, 요보호아동,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 모자복지, 공중보건 및 실업보상법의 관리ㆍ운영을 지원하며, 사회보장청의 신설과 재정 조달 및 기타 목적을 추진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