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4. 조선시대 궁중문화 2

반응형

4장 조선시대 궁중문화 2

 

4.1. 궁궐의 연침과 왕의 사생활 -경복궁을 중심으로

* 정도전이 경복궁의 침전을 강녕전이라 이름붙인 이유는 황극이라는 말에 압축되어 있다

* 황극은 동양철학의 태극과 같은 뜻. 식욕, 색욕, 권력욕 등 인간의 원초적 욕망들이 발생하기 전의 중용의 상태이며, 왕이 황극을 닦으며 욕망을 잠재우라는 의미

* 왕의 침전은 기본적으로 우물 정()의 형태(황극과 관련) -정 중앙에 위치

=경복궁의 3: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경복궁의 궁성문 : 광화문(정문), 건춘문(), 영추문(), 신무문()

 

4.2. 궁궐의 중전과 왕비의 삶

* 경복궁의 중전인 교태전은 세종 229월경에 건설되기 시작

* 교태전의 교태란 이름은 본래 주역의 64괘 중의 하나인 괘에서 따온 말, 천지교태

* 사서 : 논어, 맹자, 중용, 대학

* 오경 :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 중전의 역할

- 왕비는 왕의 적처로서 유교국가 조선의 여성노동 및 여성의 역할을 상징

- 가장 중요한 것은 대를 이을 후손을 낳는 일

- 왕비가 행하는 대표적인 의식은 여성노동의 상징인 뽕따기와 길쌈하기

- 왕비는 여성들의 뽕따기와 길쌈을 솔선하기 위해 친잠례라는 의식을 행함

- 왕비는 여성들 사이의 유교예법을 가르치는 스승의 역할도 함

 

4.3. 궁궐의 대비와 대비의 삶

-인수대비 내훈, 혜경궁 홍씨 한중록, 인목대비 계축일기

 

4.4. 궁궐의 후궁과 후궁의 삶

-세종 10년에 후궁과 궁녀의 제도가 정해짐 : 후궁=내관, 궁녀=궁관

* <경국대전> 내명부 조항에서의 후궁의 서열

귀인 소의 숙의 소용 숙용 소원 숙원

(1) (1) (2) (2) (3) (3) (4) (4)

 

4.5. 궁궐의 동궁과 왕세자의 삶

-중전의 동쪽, 미래의 희망, , ‘춘궁

* 서연관 : 왕세자의 선생님 / 춘방(교무실) /익위사

 

4.6. 환관과 궁녀의 삶

* 출입번 환관 : 교대로 출근하는 환관, 궁궐의 건물이나 일꾼들 관리. 다인청에서 근무

* 장번 환관 : 교대근무 없이 수십 일씩 궁중에서 일하는 환관, 궁중처소의 주인(, 왕비, 세 자, 대비)에게서 직접 지시를 받거나, 주인의 지시를 외부에 전달하는 일 담당. 내반원에서 근무. 장기, 장무, 승전색, 승언색으로 구분됨.

장기 -문서업무 담당, / 장무 - 일반서무 담당,

승전색- 왕과 왕비의 지시 전달 / 승언색 - 세자의 지시 전달

* 설리 : 수라간을 관리하는 환관. 도설리(최고책임자)

* 주방내관 : 주방(술 창고)을 관리하는 환관

* 대객당상 : 임금님의 손님을 인도하는 일을 맡은 환관, 오랜 근무 경험자가 맡음

* 문차비 : 궁중 각 처소의 수많은 문을 지키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환관

= 색장 : 지밀과 밖의 문안편지 등 연락을 담당한 궁녀

= 복이 : 지밀에 불 때기 및 촛불 담당 궁녀

= 수모 : 세숫물을 올린 궁녀

= 무수리 : 물을 길던 궁녀

= 파지 : 지밀에서 심부름이나 청소를 하던 궁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