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2. 문화관광과 문화자원

반응형

제2장 한옥과 전통 주거문화

2.1. 한옥의 특성

1. 한옥 : 건물()과 마당으로 구성, 전통 목구조방식으로 구축된 구조물

나무, , , 종이와 같은 자연재료로 짓는다.

하나의 채에서 온돌과 마루가 결합된다

 

2. 한옥의 배치 : 거주공간을 뚜렷이 규정하되 주변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특징.

가묘의 위치 영향, 좌향(坐向, 바라보이는 요소)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한옥의 공간 구성

- 채는 기본적으로 칸과 퇴로 구성된다.

- : 한국건축의 기본적 공간단위, 기둥과 기둥사이 공간, 4개의 기둥으로 규정되는 공간

- : 칸의 절반 정도 폭으로 구성. 칸의 전후 혹은 좌우에 부가되어 툇간을 이룬다.

조선후기 이후의 한옥 특징은 퇴공간이 발달한 것

- 툇간은 매개공간과 보조공간의 역할을 하여서 한옥은 단순한 공간구성으로도 풍부한 생활 을 무난히 담아낸다. 외부와 연결, 수납공간

- 마당은 채와 짝을 이룸. 안마당(구심적, 내향적, 수렴), 사랑마당(원심적, 외향적, 발산)

* 안마당은 바라보는 정원이라기보다 일상적인 생활공간. 평상시 깨끗이 비워진 상태

- 농작물의 타작이나 곡물의 건조와 같은 농작업과 식사와 잔치, 가족활동 등을 함

* 안채의 후면에 뒤뜰을 두고 일조가 잘되는 곳에는 식생활에 꼭 필요한 장독대를 설치한다.

* 경사지형인 경우 뒤뜰의 후면을 노단으로 처리하여 관목과 화초를 식재함으로써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고 집중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한다.

 

4. 한옥의 주 구조는 목가구조이며 기둥, , 도리로 구성. 소나무가 주 구조재

* 기둥은 수직력을 중력방향으로 지면에 전달하는 부재이며, 보는 건물의 깊이 방향으로 기둥 사이를 연결하고 하중을 받는 수평부재. 도리는 기둥위에서 서까래를 받는 수평부재.

* 지붕에 대하여

- 일반적으로 팔작지붕이 가장 위계가 높으며, 우진각, 맞배의 순으로 위계가 낮아진다.

- 사랑채에는 팔작지붕이, 행랑채에는 맞배지붕이 쓰인다

- 사당에는 위계성과 관계없이 확장이 용이한 맞배지붕이 주로 선택된다.

 

2.2. 한옥의 미학과 문화

: 합목적적인 미학, 절제의 미학 -실용적, 상징적 기능의 합리적 구성

*머름이 있으면 창, 없으면 문. 고유기능과 미적 기능 가짐

*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공간

- 남자 : 안방 웃방 작은사랑 큰사랑

- 여자 : 안방 웃방 (시댁의)건넌방 안방 건넌방

* 한옥공간이용의 특성 : 위계성 =신분, (), 세대

융통성, 확장성 =실내외공간이 연계 (들어열개문..)

 

2.3. 한옥의 가치와 활용방안

- 환경친화적 주거 : 자연과 인간을 이어주는 한옥, 일광조절장치로서의 처마, 여름에 시원 한 전통한옥(대청에서 바람을 받아들여 뒤란으로 보내준다)

- 공동체적 주거 : 대목이 주도하고 공동체를 이루는 마을사람들이 참여한 한옥

*활용방안 -활용의 주체와 대상이 모두 품격을 유지할 수 있는 보전의 방안 찾아야 한다

-문화관광의 대상으로, 품격있는 의식.이벤트 장소로, 숙식의 장소로 활용 방안 마련

-건축 자산에 대한 심리적 접근, 자료 이벤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