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3. 조선시대 궁중문화 1

반응형

제3장 조선시대 궁중문화 1

* 서울에 소재하는 5대궁 : 경복궁, 창덕궁, 경희궁, 덕수궁, 창경궁

* : 처음의 뜻은 일반사람들의 집을 의미

* : 문의 양쪽에 망루처럼 높은 구조물을 세우고 그곳에 감시병들을 배치, 문으로 드나드는 사람들을 감시하게 하던 건축물 의미

 

3.1. 조선시대 이전의 궁궐

- 신석기시대의 움집 : 인류의 역사에서 건축문화주거문화의 시작이라는 면에서 중요

- 청동기시대 : 지상으로 올라왔으며, 집에서 벽면과 지붕이 구분되고, 마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물, 즉 환호, 목책 등이 등장,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집서 큰 격차를 보임

- 철기시대 : 왕이 출현하고 고대국가가 형성되면서 그 격차는 더 많아졌다.

* 고대왕국이 형성되면서 왕의 거주지로서 궁궐이 형성되고, 그 궁궐을 보호하는 궁성과 도성 전체를 보호하는 도성이 축조되었다.

 

3.2. 조선시대 궁궐의 종류와 공간구성

* 외전 -왕의 업무를 위한 공간 / 내전 -왕의 사생활을 위한 공간 경복궁(조선최초건설)

* 법궁=정궁, 이궁=별궁, 행궁, 장전(천막), 본궁(=잠저, 궐 밖의 개인집), 상왕궁 등

- 법궁 :왕이 상주하는 도성안에 건설된 궁궐로 왕권을 상징하는 최고의 궁궐로 정궁이라고도 함

- 이궁 : 법궁에 비해 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별궁이라고 하였다

- 행궁 : 천하를 집으로 삼는 왕이 자주 가는 곳곳에 지어놓은 궁궐

-경복궁 : 덕으로 군자의 만년 경복을 기원한다는 의미의 이름 - 정도전이 지음

-경복궁의 내전은 태조가 상주하면서 일상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공간으로 강녕전, 사정전

-경복궁의 외전은 사신들을 접대하고 신료들에게 조회를 받는 공간으로 근정전, 근정문

* 강녕전 : 마음을 바로 닦으면 복을 받는다

* 사정전 : 매사를 잘 생각해서 실수하지 않는다(편전, 일상업무)

* 근정전 : 왕이 부지런히 정치에 솔선한다(정전, 통치의례)

* 태조 이성계는 경복궁의 강녕전을 중심으로 사생활, 부부생활, 가정생활을 영위했지만, 세종대에 강녕전 뒤편에 왕비의 전용건물인 교태전이 건설되고 그 뒤편으로 후궁이 건설되면서 바뀌게 되어 세종대 이후 궁중에서 왕의 사생할은 자신의 침전, 왕비의 중전, 후궁이 위치한 곳을 중심으로 바뀌어 졌다.

 

3.3. 왕의 통치활동과 외전 -경복궁과 국조오례의를 중심으로

* 왕의 공식적인 통치활동, 즉 내치와 외교는 <국조오례의>에 따라 수행되었다.

- 내치(유교국가의 일반통치행위와 유교의례 중심), 외교(사대교린 외교활동 일체)

- 길례(사직제, 종묘제), 가례, 빈례(사신접대), 군례(군사훈련), 흉례(죽음관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