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0. 한국음악

제10장 한국음악

10.1. 국악사

-통일신라 :삼현삼죽(가야금, 거문고, 비파, 대금, 중금, 소금)

-세종 :신악 창제, 정간보 창안 / -성종 :악학궤범 발간

 

10.2. 국악과 국악기의 분류와 특징

* 아악 : 본래 고대 제례악인데,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에서 제례와 의식음악으로 사용

* 당악 : 송나라에서 들어와서 궁중의 의식과 연예에서 사용

* 향악 : 우리나라에서 그 이전부터 연주되어온 음악

* 목관악기 중 리드(소리를내는앏은판)가 있는 악기 : 피리, 생황, 태평소

-고대:,/-향악기 :거문고,가야금,대금등 /-당악기 :피리,장구,해금,태평소 /-아악기 :제례악

국악과 국악기의 특징

1. 자연의 음색이 다양하듯 국악의 음색도 다양. 국악기는 자연소재를 가공 없이 사용.

2. 국악의 음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끊임없이 움직인다-물결처럼 진동=농현, 시김새

3. 사용되는 음의 수는, 국악은 세계의 많은 전통 민속음악과 마찬가지로 5음 음계가 주를 이룸

4. 국악 곡에는 대개 장단이 있다 -전체적으로 여유있고 율동적이며 순환적이다.

5. 국악은 선적인 음악이다 -화성이 없으므로 주선율은 비슷하게 가면서도 특징적인 장식음 이나 시김새를 자유롭게 연주한다(헤테로포니)

6. 국악곡 중에서도 궁중음악 등 전통 악곡을 연주할 때 연주자들은 대개 조선시대 악사의 의상을 입는데, 화려한 오방색 색상은 우주를 상징하는 동서남북과 중앙을 뜻한다.

아악기는 성리학과 관련된 음양오행사상을 담고있어 악기와 악대는 음양으로 구분하여 연주

 

10.3. 국악과 인류의 무형문화자원
*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지정종목

1. 종묘제례악 : 조선시대 왕들의 공덕을 기리는 노래, 기악연주와 춤, 보태평과 정대업 1

2. 판소리 :한 사람이 긴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나가고 고수가 북으로 반주하는 극음악

-소리(선율적 노래), 아니리(말하는 것), 발림(몸짓), 고수의 추임새 5

3. 가곡 :시조시를 노래하는 성악곡. 현재 남창 26, 여창 15곡이 전함. 우조와 계면조 30

4. 영산재 :죽은 이의 명복을 빌고,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을 이상적인 세계로 이끌기 위한 불교의식

-‘범패를 부르고 불교의식 춤인 작법’-법고춤, 바라춤, 나비춤

5. 처용무 : 처용 탈을 쓰고 추는 춤으로, 궁중무용 가운데 유일한 탈춤. 첫반주음악-수제천

6. 강강술래 :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이 대표적 8

7. 강릉 단오제 :단오제례, 단오굿, 관노가면극이 가장 주요한 부분

-단오제례(아홉번에걸쳐), 단오굿(세습무에의해), 관노가면극(관청노비,몸짓과춤으로만)

8. 남사당놀이 :유랑인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서민층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부터 행했던 놀이.

박첨지 -버나(접시돌리기), 살판(땅 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인형극) 3

9. 제주 칠머리당영등굿 :영등할망이 음력21일 들어와서 15일 돌아간다, 이 기간 중에 함

 

10.4. 국악의 전승현황

* 장악원 : 예조 소속의 음악을 관장했던 기관으로, 주로 국가와 왕실의 공식적인 행사에서 음악과 춤을 맡았으며, 교육과 연구 및 정책기관도 겸했다 부산국립국악원 개원

 

10.5. 현대 국악의 흐름

-전통음악 보전과 새로운 국악 창작 : 퓨전국악, 국악기 개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