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론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36. 다문화 가정의 부모교육Ⅰ

36. 다문화 가정의 부모교육Ⅰ

 

1.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가정의 양상은 미나 유국가들과 다소 다르다.

 

즉 부모의 한, 대부분 아지가 한국인인 결혼이주여성 가정이 최근
증하고 있으며, 각별한 정책적 관심을 고 있다. 왜냐하면 양부모가
두 외국이주자인 가정의 자녀와 달리, 결혼이주가정의 자녀는 출생
더불우리나라 차대 국이기 때문이다.

 

국가의 적인 인적자원이 이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은 연한
일이다. 결혼이주여성 가정의 자녀들은 성장과정에서 우리나라와 어

니 출
신국의 영향을 함께 게 되며, 가정 하는 문화에 적
하여야 한다.

 

한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자적인 육아지원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2. 다문화 사회의 개념
다문화 사회다인, 다족으로 구성된 사회와 국가에서 문화의 중
심이 되는 주
문화에 대한 하위개념으로 다양성의 중을 내포하는 개념이다.

 

이미 1990대 중반 IMF로 인하여 국에 동남아시아 등지의 많은
국인이 지적으로 한국사회 으로 유입되고 있었지다문화 현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극
적었다.

 

한국사회에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자기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6
부터이다. 미국 퍼볼에서 MVP로 선정된 하인즈 워드가 한국을 방문
을 때 그의 던 인역정과 동적인 성공 라마가 언론 매체
를 통해 보도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문화에 많은 관심을
게 되었다.

 

3. 다문화 가정의 개념
다문화가정이국제결혼과 이 인이 다르나 사회문화적 배경을
달리하는
, 은 그 이상의 결합으로 성된 가족 형태를 의미한다.

 

라서 다문화가정은 현주하고 있는 이주로자 가정과 국
제결혼가정,
가정 등 문화적 배경이 다른 가정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모국 문화와 주국인 한국 문화 등, 이중, 중의 문
에서 활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다문화가정이라고 한다.

 

4. 다문화 사회로의 전
다문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은 시대적 을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는
매스
을 통해서도 지할 수 있다.

 

대중매체를 통한 다문화 관련 콘텐발적인 증가 역시 우리 사회
가 다문화 사회의 문
어서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다.

 

라서 이상 한국사회도 일문화 족으로 구성된 사회일
수 없으며, 다양한 인
과 그들의 문화가 어우지는 다족 국가
다문화주의를
아들여야 하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것은 오히려 자
연스
러운 현상이다.

 

다문화 사회가 도래됨라 20088에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되었다.

 

5. 국류 외국인 현
법무부의 보도에 르면 20078월 단기 체류 외국인을 함한 국
류 외국인이 사상 음 100만 명돌파하여 1,000,254에 이르고 있다.

 

이는 전 국의 2%에 해하는 것이며, 20067해 15%, 10
전인 1997해 158% 증가한 것이다.

 

이들 국장기 체류 외국인들의 체사유를 보면 국인 로자가 전
체 장기 체
류 외국인의 과반수를 는 60%에 이르고 있으며, 결혼이
자가 13%, 한국어 연수함한 국인 유학이 6%에 달하고 있
다. 즉,
취업과 결혼을 통한 장기 체의 사가 대다수인 상이라고
할 수 있다.

 

6. 다문화가정의 유형
이주로자 가정 (국인 로자)
- 이주로자의 국내 취업의 역사가 에 따라, 가족을 동반하여 거주
하거나, 국내에서 가족을 형성하는 사
가 발생다.
- 이주
로자 가정은 한국인과 국인 이주로자의 결혼으로 형성된 국제
결혼가정과
국인 이주로자 간에 국내에 들어온 후 결혼하여 형성된
가정 그리고
국인 로자가 이미 국에서 결혼하여 형성된 가족이 국
내로 이주한 가정 등 그 형
가 다양하다.
- 이들 가족구성원 중에는 아동들도 적지
다. 국인 로자는 조족과
아 출신이 다수이다. 조족의 경우 여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결혼이자 가정
- 이주로자와 더어 국내 체류 외국인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사
회의 구성원은 결혼이민자들이다.
- 결혼이민 가정은 19
88년 특정 종교단체(통일교)의 대단 국제결혼
을 시
으로, 1990년농촌장가보내기운동으로 활성화되으며, 그
영향으로 결혼중개
자가 주도가 되어 국여성이 한국에 와서 결혼생활
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특히 2
005년 종사자(자)의 경우 총 결혼 8,027건 중 국제결혼
이 2,
885건으로 3건 중 1건을 차지하며, 결혼이민 가정이 의 새로
운 가족유형으로 정
다.
- 국제결혼이 증가하게 된 요인
­ 녀의 성비 불균
­ 여성 신자 비율 증대
­ 농촌등 내국인 간 결혼에서 소성들이 국제결혼을 하는
현상의 증가
- 199
0년대 전반만 하더라도 국제결혼은 1%대에 지나지 않았지만 2000년
대 이른 상세를 보이면서 2005년에는 13.6%로 증가하여 결혼하
는 여
덟 쌍 가운데 한 쌍 꼴로 국제결혼이 이다. 2006의 경우 다
소 하향하여 나
는데, 이는 국 국적 동포에 대한 방문 취업
될 것으로 예고
에 따라 국제결혼을 하지 고서도 입국과 취업이 쉬
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정 (한이)

- 새민(한이주민)은 한에서 이하여 대한민국 국적을 득한 사람
이다.
- 새
민 가정의 자녀는 한에서 어나 한국에 입국한 아동·청과 한
국에서 출생한 새
민의 자녀를 한다.
- 새민들의 입국 양상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우여성의 비율이 높
아지고 있다. 199
5년 이전에는 여성 입국자가 극소수에 으나 2006
는 입국자의 2/3 이상이 여성인 것으로 계되고 있다.

 

7. 다문화가정의 문제
개방화, 국제화, 계화가 본적으로 진행라 한국사회는
도로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와 이 다르고 언어가 다르며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국인
을 접하는 일은 이제
이상 문 일도 아고 특한 일도 아다.

 

게는 우리가 고 있는 주지와 지역사회에서부터 학교와 직장,
도시와
농촌 할 것 없이 다양한 나라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우리의
이웃으로 우리와 함께
고 있다.

 

국제결혼의 경우 서로 다른 문화 에서 사람이 평등하지 못한
관계를
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의 발할 수가 없다. 으로 이
한 국제결혼은 도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
해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의 문제
- 특정 문화에서 특정 어를 써 사람이 다른 문화으로 이주할 경
우 우
적으로 다가는 문제가 의사소통이다.
- 우리나라에 건
고 있는 이주민들의 경우에도 실제로 한국어의 습
득이 한국 생활 적응에 일차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국제결혼이주민여성
1
0명 가운데 8명이 한국어를 모른 결혼한다는 조사 결과(경기가족여
성개발원, 2
007)와 같이, 이주로자나 결혼이민자가 한국으로 기 전에
한국
히거나 한국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국내에 들어는 경우는 다.
- 국제결혼이주여성들은 자신의 서
한국어 실력 때문에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게 되는 것을
려하며 자녀의 교육지도에 어려움을 는 경우가 많다.

- 그므로 도움을 받고 은 문제로 ‘언어 소통을,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언어교육을 지하였다.
- 새
민들 역시 의사소통의 문제로 어려움을 많이 는다. 이들에게는 어
, 양, 어투가 다른 이 생소하고, 곳곳에 등장하는 래어와 전
문용어도
해하며 유행어나 속어, 사투리 역시 설게 진다. 이들은
한 사람과의 대화 자체를 스트레스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다.

 

문화적 차이
- 문화는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관는 것
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을 나
내는 의 구체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 사람들은 그 자신이 자신의 내면에 문화적 요소를 지
뿐 아니라
의 문화적
경에 둘여 있게 된다. 그므로 세을 통해 체득된 문
화인 가치관이나
의 양식은 게 바거나 애 버리기 어다.
- 한국에 정
하게 된 이주로자, 결혼이민자, 새민들처다른 사회문
화적 배경과 역사 속에서
사람들은 어, 식, 관습, 제도, 가치
관, 생활양식이 상이한 문화
경을 접하게 되을 때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게 되거나 압박감을 수 있다.

 

국제결혼의 경우 많은 이주여성들이 결혼과 동시에 한국의 전통문화에
익숙한 한국인이기를 요구한다. 그므로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문화
에 적
하면서 게 되는 어려움을 극해야 함과 동시에 부부간의 연
차로 인한 대 문화의 차이도 극해야하는 문제에 한다.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가족 간
의 마
등이 르기 다. 문화 차이의 발방향적인 문제
이므로 남
, 시부모 등 가족구성원 모가 상호 문화에 대해 중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는 것이 문화등 해소에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들 역시 문화적 이질면서 여방면에서 심리적 스트레
스를 고 있으며 남한의 사회제도를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무분한 국제결혼
- 2010년 3월 한국성과 자국여성들의 결혼을 당분간 중지시키다는 아 정부의 발가 있다.
- 도
한 다음 날 아침에 신감을 하고 오후에 건강검진을 받고 이
날 저에 결혼식을 올리는 행예를 연상시키는 “신부보증제”
고 그리고 한에 수명 중 한 명을 고르는 “인신매매형 맞선”은 나
라를 망신시키는 일이다. 더더
라운 것은 이 여성들이 한국에 와서
는 부당한 차과 그 자녀들에 대한 사회의 대이다.
-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지
이주자들이 한국이라는 새로운 경에
서 부
히게 되는 문제만이 아니라 한국인 배우자와 만나 고 있는 가
족의 울
리 안에서 가족관계, 가족생활, 가족체계의 문제로 나나기 때문이다.
- 2
005년에 실시한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중매체를 통하여 결혼한
여성의
40% 이상이 결혼 전에 배우자에 대해서 사실과 다른 정보를 들
다고 한다. 그 가운데 소득이나 직, 보유 재산 등 경제적인 상황을
경우가 50%넘었다.
- 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 에서 남편에게 의하며 아가게 된다.
국제결혼 여성들의 실
를 통해서도 남편과 가족에 대한 의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정생활에서 가장
으로 남편과의 관
계가 지
되고 있는데, 성 중심의 가부장적 가족문화가 원만한 부부관
계 형성에 장애요소가 될 수 있다.

 

자녀양육 및 교육
- 다문화가정의 자녀문제와 관련하여 지금지 가장 활발하게 의가 이
어지고 있는 부분은 한국인 아버지와 국인 어니 사이에 2세
들의 문제에 초
결혼이주자 가정의 자녀문제다.
- 이 경우 자녀들의 성장과 발달의 전반적인 차원에서 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자녀들의 문제 가운데 가장 자주 등장하는 것 가운데
하나는
어발달의 지체다.
- 이는
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인 영·유아기에 한국이 서국인 어
에서 자라면서 어발달이 어지고 의사소통이 제한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
된다.

- 아이들의 어발달 지체는 학습 부진으로 이어진다. 다문화가정의 자
녀들은 어
력이나 해력, 어구사력 등이 고 학습 이해도와 기초 학
습 능력이
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나 이들의 학을 지원할
수 있는 가정의 기반은 매우
한 실정이다.

 

학 전 아동 현
- 국제결혼가정의 만 18세 미만 자녀는 총 58,007명으로 전체 국인주민의
6.
5%를 차지하며, 2006학도의 25천 명에서 2007년도에는 44천 명으로,
2
008년도에는 58천 명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6세 이하 아동 수는
2
007년도의 26,445명에 비하여 2008년도에는 33,140명으로 6,695명이 증가
하였으며, 그 비율은
57.1%에 달한다.(행정자치부 보도자, 2008. 7.30일자)
- 부모 출신국을
보면, 조족 출신이 전체의 25.7%(8,526명)로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다
으로 베트남 22.5%(7,448명), 중국
1
7.7%(5,878명), 필리12.5%(4,140명) 으로 나타난다.
-
한 시도로는 경기(17.1%), 서울(11.6%), 전(9.1%), 경(9.0%), 경
(8.8%)에서 다문화가정의 6세 이하 아동 거주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보육시이용 현
- 2008년 12기준,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은 총 20,920
으로, 민간개인시설에 1
0,408(49.8%)명, 가정보육시설에 3,891명(18.6%),
법인보육시설에 2,9
59명(14.1%), 국공시설에 2,287명(10.9%)이 다니고
있다.
, 민간보육시설과 가정보육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함을 수 있다.
- 지역
로는 8,075명(38.6%),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각각 6,811명
(
32.6%), 6,034명(28.8%)이 거주하고 있다.

 

유치원 및 교육기관 이용 현
- 2007년 5월 유치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유아는 총 2,929명이다.
- 기관 유형
보면, 사유치원에 다니는 유아(54%)가 공유치원
에 다니는 유아(
46%)보다 더 많으며, 성로는 아가 52%, 여아가 48%
아가 여아보다 조금 더 많다. 연령별로는 만 5세 반이 전체의 50% 로 가장 많고, 만 4세 반(30%), 만 3세 반(20%) 이다.
언어지체와 학습결손 외에 국제결혼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정체성에
대한 혼
을 경하기 다.

 

지와 어머니 사이의 인·민족적·문화적 차이를 지하면서 자신
은 그 어
에도 하지 한 정체상실이나 정체유예의
에 직면하기 다.

 

한 남들과 다른 모, 어등으로 인해 또래들의
나 배대상이 되기도 한다.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한 보건지부의 실태 조사에서는
자의 17.6%가 학교에서 집단 따돌을 경한 것으로 나타는데,
그 이유로 ‘엄마가
국인이라서’라는 대이 가장 높게 나타다.

 

편 새자녀들의 적문제도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탈북
의 공기간과 남간의 학제 차이로 인해 이 43%에 그치고
있으며,
에도 남한의 언어와 수방식, 학교 분위기 등에 적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탈북 청들은 뒤떨어지는 성적과 한 사리, 소한 체등으로
친구들로부터 무시
나 조하고 따돌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고 있는데, 이는 대학활로도 이어대학반 이상이 중
도에 학
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지난해 다문화가정 초··고교 학수가 전보다 4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
다.

 

통계의 ‘2009년 청통계’에 르면 올해 인구는 4,8747,000
으로 전보다 0.3% 증가한 반면 인구(924)는 1,038
5,000으로 1.0% 다.

이에 라 전체 인구에서 이 차지하는 율은 21.3%로 전
(21.6%)보다 0.3%다. 지난해 초··고교데 국제
결혼가정의 자녀는 1
8,778으로 전(13,445)보다 39.7%
었다. 등학이 1사이 11,444에서 15,804으로 38.1%
다. 중학은 1,588에서 2,213으로, 고등학은 413에서 761
으로 었다.

 

이들이 으로 가지게 문제를 해결하지 고는 우리 사회가 안아야
할 사회적인 문제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