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론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5. 부모 되기의 발달과정

반응형

5. 부모 되기의 발달과정

1. 부모 의 의미
부모의 정의
- 생학적으로 아이를 은 사람
- 법
적으로 부모의 위치를 지사람
- 심리적으로 부모의 역할을 하는 사람
- 하나의 직
업 또는 직종으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등 부모의 정의는
매우 다양하다.

 

가족이라 하면 응당 엄마, 아, 아이라 생각하지만 최근 자신들의 특한
성향에
라 가족의 형태를 선택하기도 한다.

 

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가족의 형태를 선호한다.

 

2. 부모 의 동기
첫째, 숙명적인 동기
- 어사람들은 자녀를 는 것이 그들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믿기 때문에 자녀를 는다.

 

둘째, 이타주의적 해에서 부모가 되고자 하는 동기

 

셋째, 자기도적(narcissistic) 동기

 

넷째, 도구적(instrumental)인 동기
- 부모가 되려고 하는 사람들은 자식이 부모를 대신하여 어떤 목적을 이
주기를 바란다.

 

비버스(J.E Veevers)의 부모기(parenthood)와 부모기(nonparenthood)의 사회적 의미

주제 부모기 비 부모기
아이를 는 것은
성을 실하는
것이다.
아이를 는 것은
비도
적이다.
책임감 아이를 는 것은
시민의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아이가 는 것은
책임하다.
자연 부모가 되는 것은
자연스
운 것이다.
아이가 는 것은
책임하다.
성() 인식 신체적 성숙을
타낸다.
아이가 는 것은
책임하다.
결혼생활 결혼생활의 만족을
내고 이혼을
방지한다.
이혼할 기회를 만들고
결혼생활에
만족을
더해 준다.
정신위생 사회적으로 성숙한
것이며 개인적인
안정을 나
타낸다.
사회적으로 미성숙하며
정서 장애를 나
타낸다.

부모 되기를 원하는 일반적인 동기
- 자기 장: 부모는 자녀를 가으로써 후손긴다는 의미에서 자기 연장,
자기 영속감을
느낀다.
- 사회적 지위
득: 결혼한 부부에게는 자녀를 는 것이 아직도 사회적으로
기대되고 있는 일이며 자녀가
는 부부는 이기적이며
정상적이 아니라는 생
는 경향이 있다.
- 사
과 애정구 충족: 토스(W. I. Thomas)에 의하면 인간은 가지
의 기
구(안정감, 반응, 인정, 새로운 경험)
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 가계 계
: 일반적으로 부모들은 자녀를 가으로 한 안을 이어주는 가계
느낌는 것은 실하다.
- 심리적 안정감: 부모
은 정서적적 보상을 준다, 정서적 안정감을
가져다준다.
- 운명
적 동기: 부모가 되는 것이 하로부받은 복이라고 생하는
사람들은 주로 종교적인 동기를
고 있으며, 부모가 된다
는 것이 신이 인간에게 미리 정해
은 계에 부분적인 기여
를 하는 것이라고 생
한다.

 

3. 부모
아기를 고 부모라는 이고 나면 부모-자녀관계가 생각만큼
하지는 다. 원인은 부부가 되는 것과 부모가 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
이기 때문이다.

 

라서 결혼하는 은 부부들은 부모가 되면 어떤 변화가 올 것인지를
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가족관계의
- 신혼부부에게 니문 이비라도 생서 바로 아이를 게 되면 그들은
과 아내라는 이숙해지기 전에 엄마, 아로서 그 관계가 바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 어니들은 아기가 어나면 격한 신체변화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출
의 가사동의 증가, 수면부족 등과 더어 수유, 이유, 양육 등으로
적되면서 많은 심리적 변화가 나나게 된다.

 

셋째, 패턴
- 부부는 아기를 출하는 간부이제 여자가 아니라 엄마이고 자가
아니라 아
로서 생하고 행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생활패턴전하게
다.

 

넷째, 사회적 관계의
- 부모가 되면 출전 자유로웠던 사회적 관계를 소할 수 다. 전
주부인 경우도 그지만 취업주부인 경우 직장과 가정의 형을 맞추면서
사회적 관계를
소할 수게 된다.

 

섯째, 경제적 상
- 부부들은 결혼하고 임신하면서 원에 다니고 출준비을 준비하면서
양육비용이 만만치
을 거라는 걸 예상은 하지만 상 아기를 낳았
때 지출은 예상을
훨씬 뛰는다.

 

4. 부모 과 가족생애주기
가족형성기
- 신혼시기로 자녀가 아직 으며 부부간에 서로 다른 배경, 문화, 습, 전통
속에서 자란 두 성숙한 성인
녀가 사회의 최단위인 가족이라는 조직체
를 최초로 만들어 적응하는 단계

 

출산 가족기
- 첫 자녀 출생에서 자녀가 30정도 시기
- 자신들로서는 처
으로 행하는 어니와 아버지의 역할로 인해서 스트레
가 많은 시기

 

유아가족기
- 부모에게 둘째 아이가 생나는 시이기도 한 단계

 

아동가족기

- 자녀가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시기로 부모는 자녀가 학교 생활에 잘 적응
하고 주어진 학습과제를 수행하는데 관심을 갖는다.

 

가족기
- 첫 자녀가 13~20지의 시기
- 자녀들은 부모로부
정신적, 신체적으로 독립을 원하는 단계이다.

 

가족분
- 자녀가 취업, 대학진학, 입대, 결혼 등으로 자신만의 을 위한 생활설계
가 시
되어 부모를 나가는 단계

 

가족기
- 모든 자녀가 출가하고 부모들은 은하여 혼자 는 시기
- 결혼 생활의 제2의
을 시하는 시기이기도 함

 

노년가족기
- 사회생활에서 은지 시기
- 부모들은
인으로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어적인 제반 발달
격히 화되는 시기
-
한 가족공동체는 배우자의 한쪽 또는 양의 사망으로 인해 해체기에 접어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