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론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4. 부모교육의 역사Ⅱ

반응형

4. 부모교육의 역사Ⅱ

1. 18기 이전의 부모교육
의 주장
- 서 국가을 통해 “이상적인 국가는 교육에 의해 실현되므로 자녀를
바르게 양육하고 교육하는 일이 중요하다.”
- “교육은 가족구성원을 위해서가 아니라 국가를 강하게 하기 위해 이

져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
- 과 달리 “아동은 국가가 아니라 자기 가족에 의해서 키져야 한다.”
- “아동은
선량한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양육되어야 하며, 부모가 이 역할을
감당하여야 한다.”
- “
5지는 유아의 성장이 지체되지 도록 충분히 이고 위에
해지도록 건강하게 양육해야 한다.”
- “
7지는 가정에서 어니나 유모의 양육을 받아야 한다.”

 

1718기에 이르을 중심으로 종래의 전성(前成說)에서 탈피
하여 독립된 시기로서 아동기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

 

유아사망률소로 인해 이화가 일어으며, 가족은 좀 더 민
하게 아동의 지에 관심을 게 되었고 양육과 교육 측면에서 가정
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아동기가
독립된 발달 시기로 인식되기 시작

 

오늘날처럼 아동 개인의 구나 발달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보적인 수과하였으나, 현대 부모교육의 기원을 이 시기부터
을 수 있음

 

‘모친 학교(Mother's school)’ -코메니우스-
- 가정을 학교교육의 기초단계이며 최초의 교육의 장으로 보다.
- 어
니가 교사가 되어 아이의 능력과 적성에 는 교육을 실시할 것을
주장
- 교육의 단계를
4단계로 분하고 0~6세지의 아이들은 어니의 무릎
서 이
어지는 교육을 생애 최초이자 가장 중요한 교육의 단계로 보다.
-
모친 학교는부모교육의 기원이며 어니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

 

-로(1632~1704)-
- 1698년 니에게 보내는 “교육에 관한 고(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에서 인간의 성은 “지와 같은 상(Tabula rasa)”로
나므로 교육에 의해
지우지될 수 있다고 주장
- 경험과 관
이 모든 생원이라고 다.

 

2. 18~19기의 부모교육
성선-소(1712~1778)-
- 아동의 성이 왜곡되지 도록 자연적인 방법으로 자녀를 양육할 것을
주장
- 그는
서 에밀(Emile, 1762)을 통해 “아동의 내면에 잠재하여 있는
이 자연스
게 발현되기 위해서는 아동을 중해야 하며, 구속해서는 안
된다.”는 자연친화적 아동양육방법을 주장
- 아동의 내적 동기를 강조하고 주입식으로 가르
서는 안 되며 아이들을
자연 속에
두라고 하였다.
- 당시 미국 사회의
교도적인 해로 인해 소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로치(1747~1827)의
- 대적 부모교육가라 할 수 있
- 자녀교육에 있어 부모가 결정적 역할을 맡고 있다고 주장
- 가정교육과 어
니 역할의 중요성을 거강조

- 부모교육의 아버지리며 어니의 무릎교육과 어니-자녀의 관계를
통해 도
교육과 종교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주장

 

뢰벨(1782~1852)의
- 인간교육을 통하여 유아가 가지고 있는 신성을 강조하며, 부모는
이 신성을 잘 계발해야 한다고
믿었음
- 그는 신성을 계발하는 데 있어 유노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놀잇감인 물’을 고안
- 1
843년 초에 술한 “어니와 아기의 래(mutter und kose-lieder)”에서
아이가 어
니의 무릎간부가르야 한다면서 어니의 중
요성을 강조

 

19기까지 유에서는 아동기에 대한 개념이 없었으며, 아동들을 마치 성인처럼 취급

 

도제제도(apprenticeship)가 유일한 학교의 형태

 

지, 어머니는 아이들에 대한 뚜렷한 역할이 있었으며 자녀양육에
대한 관심이 많고 어
머니의 영향이 매우 중요시되었음

 

뢰벨(1843)의 서 ‘어머니와 아기의 노래’는 어머니가 아이에게 들려
수 있는 노래은 책

 

뢰벨은 아동교육에서 부모 역할이 다는 것을 강조

 

이 시기에 본적으로 부모교육이 시작되었다고 수 있음

 

19반까지 대부분의 부모들은 효율적인 부모 역할보다는 아동의
신체적
생존많은 관심을 고 있었다.

 

미국에서는 19기 중반부터 중류층 부모와 빈곤부모를 대상으로
정부
체의 프로그램이나 소책자, 지, 서적, 대중매체를 이용해
다양한 부모교육이 이
다.

 

, 이회와 자유 유치원협회는 득층자들을
상대로 부모교육과 유치원
동을 펼쳤으며 자유 유치원협회와 기
여성연
(WCTU)은 부모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아동연구를 음으로 체계적으로 한 (S. Hall)은 부모로 하여아이
들의
과 행동을 관하도하여 양육일기를 게 하는 등 부모들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권했다.

 

생각은 부모교사 협의회(PTA: Parent-eacherAssociation)에 영향
을 주어 부모교육과 부모참여가 학교활동의 일부로 활성화되는 계기를
들었다.

 

3. 20기의 부모교육
20기에 들어서면서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용어가

 

미국에서 부모교육은 1920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이다.

 

1960을 기점으로 이전에는 교사나 전문가로부터 부모가 ‘교육는’
수동적인 입장이 강조되었으나 20
기는 아동의 기라고 할 만큼
동에 대한 연구 및 활동이 활발
어짐

 

1910대는 득층 머니들을 위한 부모교육에 관심

 

1920대에는 중의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자녀양육에 관심을 표명
하였고 아동 연구소를 중심으로 부모-자녀관계 연구와 부모회 조직이
활발해
다.

 

1950대 이에는 부모들이 교육기능의 조자로서, PTA를 조직하고
부모교육을
기 시작으며 득층학 전 자녀를 위한 보상교육
프로그램인 Head
Start 동을 선로 하였다. 1960대 이에 보다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실시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헤드스타, 하이스프 프로그램, 연계교육 프로그램, 가정중심
프로그램은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다
양화에
게 공하였다.

 

1970대 이후 훨씬 더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
1972
16개의 스터디 프로그램이 가족에게 제공되었다.

 

1980대는 경비절감의 시기로 정부의 정적 지원이 소되었으며,
STEP(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PET(Parent
Effective Training), APT(Active Parenting Today) 은 체계적 부모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1980적인 에이의 발, 10대 임부와 미혼모의 증가,
, 아동학대 등이 부되었던 시기에는 더욱 더 부모교육의 필요
성이 요구되었고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20반의 부모교육이론들은 20반에 정되기 시작한 이론들
의 장점과 연구결과들을
합한 , 실활에서 부모-자녀관계를 보다
향상시
기 위해 다양화되고 구체화 되었다.

 

지도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아다.

 

2001유아기가 두뇌발달 등에 중요함이 백악관 회의에서 강조되고 미
국 학
들의 기을 향상시기 위해 아동 낙오 방지법이 제정
되었다.

 

2001동부는 신아나 입양한 아이를 보기 위해 가를
취업부모에게 정부가 실을 지하도하였다.

 

이제 부모교육은 한 가정의 자녀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차원의 인
양성을 위한 기반으로 실시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