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사랑과 격려
1. 사랑표현의 중요성
▶ 자녀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있을까?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다 예뻐한
다고 들었고,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들이라는 말도 들어 왔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부모들은 모두 자녀를 사랑하고 또 진심으로 사랑한
다고 믿고 있다.
▶ 그러나 부모들이 표현하는 사랑의 방법은 각각 다르다. 또 사랑이란 느
끼면 그만이지 굳이 표현하는 것을 어색하게 생각하는 부모들도 있다.
▶ 그러나 사랑은 기술이며 사랑은 표현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사
랑을 느끼는 즉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가 자녀에게 일상생활
속에서 사랑을 끊임 없이 표현할 때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알게 되고,
자신을 사랑하고 자기의 존귀함을 깨닫게 되며 부모를 믿고 사랑하게된다.
▶ 아직도 부모님들은 자녀에게 사랑을 표현하면 혹시 아이가 나약해지거
나 남아의 경우 남성성 발달에 지장을 줄까봐 걱정하지만 사실은 정 반
대다. 오히려 부모의 사랑을 받으며 자란 아이는 정서적 결핍을 느끼지
않고 강한 자신감이 발달된다.
▶ 결과적으로, 정서적으로 결핍된 사람은 어려서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했거나 부모의 사랑을 받았다 해도 그 사랑이 진실되지 않고 일
관성이 없었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고 자란 건강한 자녀는 자신도 다른 사
람들에게 사랑을 잘 표현할 수 있게 된다.
▶ 대개 부모님들이 너무 바빠서 자녀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충분히 쏟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힘들어하고 고통스러워하는 것을 보아왔다.
▶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표현을 많이 한다고 해서 아이가 버릇없어지는 경
우를 본 적이 없다. 그러므로 부모가 단순히 자녀를 사랑한다고 해서
아이의 버릇이 나빠지지는 않는다. 자녀가 버릇없는 이유는 부모가 자
녀에게 사랑을 많이 표현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사랑과 관심을 주는 대
신 자녀에게 아무런 제한도 하지 않고 지나치게 관대하게 대하기 때문
이다. 그러나 자녀와의 관계에서 지나친 밀착심과 의존심을 불러일으키
는 부적절한 사랑이 있을 수 있다.
▶ 자녀를 자신의 소유물처럼 생각하는 부모의 소유욕이 자녀를 의존적이
고 독립심을 상실하게 만들어 많은 부작용과 불행을 빚어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
▶ 또 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인생을 자식들의 삶을 통해서 성취시키려는
꿈을 꾸고 있다. 부모가 하고 싶어했던 일을 자녀들에게 시킴으로써 자
신이 못했던 마음의 한을 채우고 만족을 얻으려는 일이다. 즉 대리 삶
을 강요하는 것이다. 또 어떤 부모들은 자신이 허전하여 무엇인가 의지
하고 싶은 의존심을 자녀에게 돌려서 지원을 받고 보호를 받으려 한다.
자녀들에게 지나친 기대를 하고 과중한 부담을 강요하게 되는 역할전환 을 하는 것이다.
▶ 이와 같은 소유욕이나 대리 삶의 강요, 역할전환 등의 부적절한 사랑은
자녀의 안정을 헤치고 비정상적인 이상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2. 신체적인 사랑표현
▶ 자녀들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 부모로부터 많은 신체적 애정을 필
요로 한다. 그러나 많은 부모들은 자녀의 인지발달에 관심을 갖지만 부
모-자녀 간의 좋은 관계의 기본이 정서적이고 신체적이라는 사실을 알
지 못한다.
▶ 특히 걸음마기 자녀들에게는 외국어로 된 카드나 멋진 모빌보다는 부모
가 거실에서 자녀와 함께 뒹굴며 노는 것이 더 필요하고 도움이 된다.
▶ 부모와 자녀 간의 신체적 접촉은 심리적 접촉보다 더 중요하다. 자녀와
부드럽고 사랑스럽게 신체접촉 하는 것은 신체발달을 자극하고 스트레
스를 줄여주며 면역체계 기능을 잘 도와준다. 또 부모-자녀 간의 신체
접촉이 자녀의 두뇌발달을 자극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도 있다. 또한
신체접촉은 자녀뿐 아니라 부모의 정서적 애착을 강화시켜주기도 한다.
▶ 할로우(Harlow)의 원숭이 실험
- 출생한지 얼마 안 된 새끼원숭이를 어미로부터 격리시켰다. 그리고 젖이
나오도록 장치가 된 철사로 만든 어미와, 젖은 없으나 부드러운 헝겊으로
만든 어미가 있는 실험실에서 새끼원숭이를 키웠다. 어느 날 큰소리가 나
고 무서운 공포의 상황에 처했을 때 원숭이의 행동을 관찰했는데, 아기
원숭이는 젖을 주는 철사어미 대신 헝겊어미를 찾는 것이었다. 즉 아기
원숭이는 먼저 부드러운 헝겊 어미에게 달려가서 그 품에 안기고 그 다
음 몸을 철사어미 쪽으로 몸을 내밀어 그곳에 매달려 있는 우유를 먹었
다. 이 연구는 배고픔과 같은 신체적 욕구의 충족도 중요하지만, 촉각을
통한 피부접촉의 중요성을 시사하여 아기에게 젖을 줄 때의 어머니의 태
도를 지시하고 있다.
▶ 모든 자녀는 다른 사람들, 특히 부모가 자기를 사랑하고 존중해 주기를
바란다. 그런데 대개 부모들은 바빠서 자녀들에게 사랑의 메시지 보내
는 것을 잊어버리고 사랑의 메시지 대신 부모는 분노의 메시지를 보낼
때가 많다.
▶ 때로는 부모가 사랑의 메시지를 보내지만 자녀는 그것을 사랑의 메시지
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모는 자녀들을 사랑하는 것보다는
자녀들이 사랑 받고 있다고 느끼도록 해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사랑의 표현 4가지 유형
- 말하는 유형: ‘사랑해’, ‘너와 함께 있으면 행복해’, ‘넌 내게 소중해’, ‘잘
자라줘서 고마워’, ‘난 네가 좋아’ 등의 말을 한다.
- 글로 보내는 유형: ‘사랑해’, ‘고마워’, ‘기뻐’, ‘감격했어’, ‘행복해’ 등의 메
시지를 편지나 이메일로 보낸다.
- 행동하는 유형: 자녀가 잘 때 이불을 덮어준다, 선물을 사준다, 간식을 만
들어준다, 자녀와 함께 놀아준다.
- 신체적으로 접촉하는 유형: 껴안는 것, 악수하는 것, 어깨를 만져주는 것,
뽀뽀하는 것, 머리를 쓰다듬는 것, 손을 잡고
걷는 등 신체접촉을 한다.
3. 칭찬과 격려하기
▶ 우리는 남 앞에서 자신을 칭찬하거나 아내 및 자식을 칭찬하는 것을 팔
불출의 하나로 여겨 칭찬하고 격려하는 것이 생활화되어 있지 못하고
많이 부족한 편이다.
▶ 특히 전통적으로 겸손이 미덕이라는 교육을 받아서 우리나라 사람이 다
른 나라 사람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낮다는 보고도 있다.
▶ 우선 칭찬과 격려의 의미부터 살펴보자. 칭찬은 주로 자녀가 어떤 일을
성공적으로 성취했거나 긍정적일 때 하는 것이다. 반면, 격려란 용기를
불러일으킨다는 의미로 높은 성취나 긍정적인 상황이 아니어도 노력한
점을 높이사거나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해주는 말이다.
▶ 즉 우리는 자녀의 잘한 일이나 좋은 일에는 칭찬을 하지만, 자녀가 노
력한 점이 부족하거나 실패했을 때에는 격려를 하는 것이다.
▶ 자녀를 격려하는 부모는 자녀의 실수를 인정하고 그것으로부터 스스로
배우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즉 부모는 자녀가 불완전하더라도 기회를
주어 앞으로 더 발전하게 하는 것이다.
▶ 당신이 어떤 일을 훌륭하게 해냈을 때의 순간을 생각해 보자. 그 때 당
신의 느낌은 어땠는가? 대개의 사람들은 뿌듯하고, 상쾌하고, 자랑스럽
고, 만족스러운 기분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우리 자녀들도 무언가 일
을 해냈을 때 마찬가지로 뿌듯하고, 상쾌하고, 자랑스럽고, 만족스러울
것이다.
4. 격려하는 태도
▶ 자녀를 격려하려는 부모는 다음과 같은 태도를 가져야 한다.
▶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 만일 부모가 자녀들 스스로 자기를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길 원한다면
진정으로 불완전한 상태의 자녀를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부모는 자녀
의 발전을 돕는 방법이 그들의 단점을 강조해서 지적하는 것이라고 믿는
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역효과를 내며, 자녀를 좌절하
게 만든다. 어떤 사람이 자기의 결점을 끊임없이 들춰낸다고 생각해 보
자. 자기가 가치 있다고 느끼겠는가? 중요한 것은 사람은 자기가 향상될
수 있다고 믿으려면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껴야 한다는
점이다. 자주 격려 받고 가족이 자신을 가치 있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았
을 때의 기분을 상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자녀의 고자질을 무시한다.
- 자녀의 고자질에 부모가 관심을 보이는 것은 좋지 않은 효과를 가져온다.
자녀는 착하게 보이거나 앙갚음하기 위해 고자질을 한다. 고자질하는 자
녀는 궁극적인 무기인 부모를 이용함으로써 목적을 성취한다. 부모가 자
녀들에게 고자질을 허용하면 자녀들은 다음에 또 부모를 희생물로써 이
용한다.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다루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그 행동을 무시하는 것이다. 부모는 부정적인 행동을 무시하는 동시에 긍정적인 행동에 대해 관심을 보여주어야 한다.
▶ 긍정적 태도를 보인다.
- 자녀를 격려하는 부모는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문제가 생겼
을 때 격려하는 부모는 자녀를 존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경청하기,
나-전달법, 문제해결 및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등의 방법
을 사용한다.
- 부모는 자녀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수행하려 할 때 간섭하
고 싶은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녀가 도움을 청해 온다면 부모는 “만
일 ∼하면 어떻게 될 것 같으니?”, “너는 ∼에 대해 생각해 봤니?”, “∼하
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구나!”라고 제안하는 형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도
록 도와주어야 한다.
▶ 자녀를 신뢰하면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 부모가 자녀를 신뢰하지 않는데 스스로 자신을 신뢰할 줄 아는 자녀는
거의 없다. 부모는 자녀의 실수를 경시하는 대신 자녀에 대한 신뢰를 표
현할 줄 알아야 한다. 부모는 자녀가 노력한 결과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
에서 열심히 지적해 주어야 한다.
▶ 자녀의 장점에 대하여 관심을 보인다.
- 자녀는 자기도 도울 수 있고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알면 근사하다고 느
낀다. 자녀의 재능을 인정해 주고 이러한 재능으로 가족에게 공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 줌으로써 자녀에게 스스로가 유익한 인간임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녀는 가족에게 공헌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위치를
얻을 수 있다.
▶ 자녀의 노력과 성취를 인정한다.
- 부모가 자녀에게 높은 산수 점수나 정리된 방 등을 기대하는 경우, 어떤
자녀는 자신이 완전하지 않으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격
려는 한 번에 한 단계씩 나아가는 합리적인 기대와, 자녀의 성공뿐만 아
니라 노력과 실패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 자녀를 칭찬하기보다 격려한다.
- 사실상 부모가 자녀를 ‘칭찬’하면서 자녀를 ‘격려’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는 자녀가 칭찬으로 인하여 좌절될 수 있다는 것을 깨
닫지 못하고 있다. 언뜻 보면 칭찬과 격려는 똑같게 보인다. 이것은 칭찬
과 격려가 모두 긍정적인 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29.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제Ⅱ (0) | 2022.08.08 |
---|---|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28.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제Ⅰ (0) | 2022.08.08 |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26.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제Ⅱ (0) | 2022.08.07 |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25.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실제Ⅰ (0) | 2022.08.06 |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25. 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