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모교육론

아동, 건강, 보육교사 등 부모교육론 요약 정리 19. 감정코칭

반응형

 19. 감정코칭

1.
의 기본은 상대를 중하는 방향 커뮤.

 

아이가 엉뚱한 선택을 을 때 아이는 그 경을 통해 책임을 배
있게 되지
만 “부모가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지시한다면 장 실
려는 어도 자녀가 성장할 기회를 게 된다.은 우리가 심해
야 할 태도이다.

 

자녀를 잘 키우고 은 부모들이 실해야 할 사은 행한 부부
활이다. 가사는 36간 3,000의 부부를 관한 결과 출산
후 첫
3동안 70%의 부부가 급속히 사이가 나빠졌다고 한다. 그
부모 사이에서 자아이들은 공안을 신경회로에도 영
향을
정서와 지능에도 부정적 영향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사는 사이좋은 부모, 특이 임신한 아중해주고
육아에도 적극 참여할 때 자녀들은
생후 3개부터 달라진다.다.
가정에서 자아이들은 훨씬 잘 웃고 며 진정을 리하
고,
두뇌신경회로도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이 높아지고 안정적이어서 공부도 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부부 사이가 행
한 것은 상대로부터 인정을 은 결
과이고 아이들도 부모로부터 자기
정을 인정을 때 타인의 정을
게 인정하며 그 결과 대인관계라 자신, 건강, , 학습향
상 등 다방면에서
의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2. 자녀교육 유형
4가지 자녀교육 유형 -
- 소 전형 부모
­ 소 전형은 자녀의 부정적 감정에 관심하거나 시하거나, 대
게 여기는 양육 스일로 자녀가 는 분, 두려움, 슬픔
같은 감정들을 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부모들은 아이가 슬퍼하거나
화가 나 있으면 당장
어주려고 력한다. 이들은 으로 보기에는 매
우 자상한 부모처
보이고 실제 그경우가 많다. 소 전형 부
에서 자란 아이들은 자신이 프다는 사실이나 다른 감정들을 부
모에게
리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크게 부려야만 한다.

 

소 전형 부모
- 아이들은 정프고 화가 나는데 부모들은 자그 기분을 바려고만
니 감정에 혼란이 일어나고, 그것을 리기 위해 지나치게 과장할 수
다. 그래서 사소한 감정은 기게 된다.

 

정의 ·시 문제점
- 아이의 존재소시키거나 거부할 우려가 있다.
- 아이에게 감정은 신
할 만한 것이 아니라고 시하게 된다.
-
슬픔을 경험하는 것은 중요하지 거나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이라는 것
시하게 된다.
- 감정을
시하는 행동양식을 아이가 배우고 모방하게 된다.
- 아이가
프거나 화가 을 때 부모에게 그 문제를 내지 못하도록 만든다.

 

억압형 부모
- 억압형 부모들은 자녀가 슬퍼하거나 화내면 비하거나 을 주는 경우
가 많다. 자녀들이 부정적 감정을
내는 것을 비하고, 감정 현을
다는 이유로 꾸짖을 주기도 한다. 이한 유형의 부모는 아이의
부정적인 감정을 전
시키려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잘못이라며 비
지 한다.

 

억압형 부모의 문제점
- 스스로의 단을 신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는다.
- 그들 자신에게
가 문제가 있다는 감정을 키울 수 있다.
- 자
감의 결을 가능성이 더 높다.
-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어
다.
-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곤란을
는다.
- 다른 아이들에 비해
중하는 것이 어다. 학습하는 것, 래 아이들과
잘 어울려 지내는 것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자유방임형 부모
- 자유방임형 부모들은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지만, 아이의 행동을
좋은 방향으로 이
거나 한계를 제시하지 못하고 모든 종의 감정을 다
용한다.
- 그래서 자녀는 자신이
는 감정들을 모두 현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자기감정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어게 다
하는지는 잘 모른다.

 

자유방임형 부모의 문제점
- 자녀에게 무엇이 적절한 행동인지, 화나거나 프거나 서울 때는 어
마음을 가라야 하는지 가르치지 을 뿐 아니라 해야 할 행동과
하지
아야 할 행동에 을 그어주지 못한다.

 

자유방임형 부모의 문제점 (자녀에게 나타나는 문제점)
- 화가 나거나, 프거나, 혼란에 을 때 마음을 가라힐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
중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 사회성이 부족해 친구를 사거나 교우관계를 유지하는 데 들 수 있다.

 

치형 부모
- 시은 방임형 부모와 비하다. 아이의 만에 공감하면서 “기분을
이해해”라고 분명히
려준다. 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고 더 나아가 아
이에게
불편한 감정을 어게 다스려야 하는지 방법을 일준다.
-
언뜻 보면, 감정치형 부모나 소 전형 부모는 상당히 비해 보인
다. 양
모두 자녀의 생을 받아주되 그 감정을 다른 것으로 리게 한다.

 

치형 부모와 ·형 부모의 차이점
- 감정치인 부모는 아이의 만을 인정, 아이가 자기감정에 이
도록 도와주고, 감정을 그대로
도록 하며, 아이가 울거나
동안
에 함께 있지만, 결코 슬퍼하는 아이의 관심을 데로 리려고
력하지 는다. 억압형 부모처부정적인 감정을 현하는 아이를
게 혼내지 는다. 아이의 감정을 중하고 아이의 소원이 당하다고 분
명히
려준다.

 

3. 5계 사
성공의 열쇠는 자녀들이 부모에게서 는다는 느낌
는 것에서 시작된다.

 

정을 치하는 것은 아이들의 행동을 지도하면서 그들의 정을 소중
여기는 양육방법이다. 많은 부모들과 양육자들에게 있어서 이 접
법은 으며 모든 상에서 정을 치하는 방법을 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사실상
정을 치하는데 신을 가진 사람들조차도 이
방법을
는 경우는 반도 되지 는다.

 

정을 치하는 일에는 노력과 인가 필요하고, 분명히 한 가치
도 있다. 이
한 접법은 건강한 정발달을 진하여 아이는 행
시간에 매우 기
하며, 좋지 은 시간으로부터 보다 리 회할 수 있게 된다.

 

튼튼정의 성장은 나은 관계로 이어지며, 행동상의 문제를
여주고 학성적을 좋게 해다. 연습을 통해 모든 부모들과 양육자
들은
정을 치하는 다섯 단계를 익히고 사용할 수 있다.

 

아이의 정 인식하기(Emotional awareness)
- 아이들이 화가 나 있거나, 프거나, 두려하거나, 기때, 어게 행동
해야 하는지
으로써 상이한 감정상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
들은 부모가 감정을 어
게 다는지 지켜으로써 감정에 대해 처리하
는 방식을 모
하는 경우가 많다.

 

조성과 교육기회로 활용하기(connecting)
- 아이의 감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그시하거나 하지
고 감정적인 간들을 아이에게 더 가게 다가가는 기회로 는다. 아
이로 하여금 그 감정은
괜찮다는 것을 려주고, 감정을 정리하는데
이 역할을 해준다.

 

하며 경하기(listening)
- 부모는 아이의 기울여 고 공감해 주며 아이가 는 것을 함
께 나
도록 해야 한다. 부모가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아이가
충분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이가 는 감정을 성
단하거나 비하지 아야 한다.
- 여기서 중요한 것은
들어주고 받아들여 준다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을 그대로 따라 해 주면서 진지하게 고 있인시켜 준다. 그
고 나서 부모도 공감한다는 것을 려준다.

 

자기정을 현하도기(Naming emotions)
- 아이들에게 어야 하는지 하지 고 아이들이 는 감정을
인식하려고
력해야 한다. 부모 자신의 감정에 이이고 이야기함
으로써 좋은
보기가 될 수 있다. 아이가 가져다양한 느낌을 스스
로 정리해 보고
으로 은 감정을 처리하도록 해 준다.

 

좋은 해결책 기(Finding good solutions)
- 아이를 혼때는 감정이 아니라 행동에 대해 꾸짖고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려 주어야 한다.
-
, 고기를 아주는 것이 아니라 고기 는 방법을 려 준다. 예를 들
어보면 첫째,
는 어게 하고 ? 둘째,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
이 되는 생
은 어것이 있을까? 다른 방법을 더생수 있니?
째, 어
아이어가 가장 효과가 있을 것 같니? 등의 질문으로 아이가
해결책을 고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아동을 지도해야 한다.

 

4. 의 효과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10동안 연구한 결과 치형 부모
키운 어린이는 이 높고, 또래 관계가 좋으며 자아
어른으로 성장한다고 결론 다. 억압형 대화를 해다면 정을 통
제하지 못하고 옥상에서
나 남을 해치는 행동도 할 수 있다.
다고 을 필요는 없다. 아무리 형 부모가 이상형이라
라도 실활에서 100% 한 부모로 란 불가능하다. 대화의
40
%만 감치형이어도 좋은 결과를 을 수 있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