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현황
1. 자원봉사 활동 현황
1) 자원봉사활동 참여율(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19.8%(2011년) - 10대 77.7%, 60대 6.7%
○ 자원봉사 참여율
○ 자원봉사활동 참여횟수와 시간
- 참여횟수 7.1회, 여자가 7.6%로 남자보다 더 많았음
- 60대이상은 평균 12.4회, 10대 4.3회
- 참여1회당 평균시간 4.4시간
- 도시지역보다는 농어촌, 여자보다 남자, 20대가 평균 5.3시간으로 가장 오래 참여
○ 선진국 비교
- 우리나라(20세 이상)의 자원봉사 참여율인 21.4%를 선진국의 참여율과 비교해 보면, 우선
영국(16세 이상)의 경우 2011년도 40%, 오스트레일리아(18세 이상)는 2011년 38%, 미국(16세
이상)은 2011년 26.3%, 싱가포르(15세 이상) 23.3%, 일본은 27.0%이다. 한 국가의 경제성장의
척도를 GDP 혹은 GNP로 규정한다면, 한 국가의 선진화의 척도는 자원봉사 참여율이 된다는 것을
선진국과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2) 활동분야
○ 활동분야
-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과 관련된 분야’(58.2%)
-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과 관련된 분야’에 이어서,
10대와 50대 이상은 ‘환경보전․범죄예방 관련분야’에 많이 참여
20대는 ‘국가 및 지역행사 관련분야’,
30~40대는 ‘자녀교육 관련분야’에 많이 참여
○ 참여횟수
- 평균 참여횟수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분야’가 7.0회로 가장 많았고, ‘자녀교육
관련분야‘(6.2회), ’환경보전․범죄예방‘(5.4회)
- 남자는 ‘자녀교육 관련분야’(9.3회), 여자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분야’(7.9회)
- ‘자녀교육 관련분야’는 20대(10.6회), ‘환경보전․범죄예방 관련분야’는 40대(8.7회), 60대이상(8.8회)
○ 참여시간
- 평균 참여시간은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가 5.2시간,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6시간),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관련분야‘(4.0시간)
- 남자는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5.4시간), 여자는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9시간)
- 대부분의 연령대가 ‘재해지역 주민돕기 및 시설복구 분야’에 많이 참가한 반면, 10대는 ‘국가 및
지역행사 분야’(4.2시간)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음
○ 주기적 참가
- 45.9%정도가 자원봉사활동에 주기적으로 참여
- 도시(동부)지역보다는 농어촌(읍면부)지역, 남자보다는 여자,
- 50~60대 이상의 경우 60%보다 많은 반면, 10대는 33.7%로 적은 편임
- 주기적인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은 주로 ‘분기 단위’ 또는 ‘반기 단위’로 참여
3) 인지경로
○ 자원봉사는 절반이 직장과 학교를 통해 인지
- ‘직장․학교’가 52.4%, ‘가족, 친구 및 동료의 권유’(20.0%), ‘종교단체’(12.1%)
- 40대 이하는 대체로 ‘직장․학교’, 50대 이상은 주로 ‘종교단체’
4) 전문성 활용
○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아동학습지도’를 한 경우가 가장 많음
- 전문성활용 15.9%.
- 아동학습지도 24.1%, 의료 11.6%, 주택수리 10.1%, 요리 9.7%
2. 자원봉사시간과 가치
1) 자원봉사활동시간
- 20세 이상의 자원봉사 참여율이 21.4%인 것으로 나타난바, 우리나라 성인 자원봉사 인구 수를
추정해 보면 1년간 우리나라에서 자원봉사 경험자는 8,336,444여 명으로 추정할 수 있다.
- 그리고 1회당 평균활동시간에 활동횟수와 활동영역별 전체 빈도수를 곱하여 산출된 1개월간
자원봉사자의 월간 자원봉사시간 수는 총 100.4시간으로, 이를 주당 시간으로 환산해 보면
자원봉사자의 주당 활동시간은 1.92시간이 된다.
● 자원봉사자 추정치
구분 | 2011년 | 2008년 | 2005년 | 2002년 | 1999년 |
자원봉사자 비율 | 21.4% | 20.0% | 20.5% | 16.3% | 14.0% |
자원봉사자 추정치 | 8,336,444명 | 7,374,406명 | 7,287,388명 | 5,519,201명 | 4,576,777명 |
2) 연간 자원봉사 가치
- 연간 자원봉사자 추정치인 8,336,444명이 주당 자원봉사활동시간인 1.92시간을 52주에 걸쳐
진행한다고 하면 총 자원봉사자의 활동시간은 832,310,568시간이 된다. 이 시간을 노동부 산업
남녀 시간당 평균임금(사업체노동력조사, 2011)인 15,938원과 곱하면 13조 2,653억 원이 연간
자원봉사활동의 금전적 가치가 된다.
-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의 금전적 가치는 한국은행 통계인 2011년도 GDP(국내총생산) 1,172,800조
원의 1.12%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2008년도의 0.93%보다도, 2004년도 GDP(693,995조 원)의
0.46%보다 상당히 늘어났고, 2001년도 GDP(600,866조 원)의 0.6%, 1998년도 GDP(487,184조
원)의 0.56%보다 늘어난 수치이다. 이는 자원봉사자 1인의 주간 자원봉사시간이 현저하게 늘어난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 이 수치는 살라몬(Salamon, 1999) 교수의 연구결과인 전세계 22개국 국가의 평균 GDP에 미친
효과 1.1.%에 근접한 수치이다. 따라서 민간은 물론 정부에서도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자로 인한 사회적·개인적 혜택과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고,
자원봉사를 권장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을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3) 기부경험(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기부를 해본 경험 36.4%, 주로 현금기부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 도시(동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많음
- 40대가 45.7%로 기부경험이 가장 많은 반면, 60대 이상이 24.0%로 가장 적음
- 기부 경험자들은 주로 물품보다 현금(34.8%)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음
- 현금기부는 남자, 물품기부는 여자의 비중이 더 높음
○ 기부를 하지 않은 이유
- 여유가 없어서’(62.6%), ‘기부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18.6%),
‘기부단체를 신뢰할 수 없어서’(8.9%)
- 10대의 경우 ‘기부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 ‘직접적인 요청을 받은 적이 없어서’, ‘기부방법을
몰라서’
4) 현금기부(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현금기부자는 34.8%, 모금단체이용
- 현금을 기부한 사람은 34.8%로, 2009년(32.3%)에 비해 2.5%p 증가하였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 여자보다는 남자
- 40대(43.9%)의 비중이 가장 많으며, 60대 이상이 23.0%로 가장 적음
○ 기부경로는 ‘모금단체’(46.9%), ‘언론기관’(21.8%), ‘종교단체’(21.1%)
○ 기부횟수
- 평균 기부횟수는 6.1회로, 2009년(5.6회)에 비해 0.5회 증가하였음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 남자보다는 여자
- 40대가 7.1회로 가장 많으며, 10대(3.7회)가 가장 적음
-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6.5회, ‘종교단체’ 5.7회, ‘기업(직장)’ 5.7회
○ 기부금액
- 현금기부자는 1인당 평균기부금액은 16만 7천원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이, 여자보다는 남자
- 50대가 23만 4천원, 10대(1만 7천원)
-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35만 5천원,‘종교단체’(23만 9천원), ‘기업(직장)’(13만 3천원)
○ 기부 주기성
- 현금을 주기적으로 기부한 적이 있는 사람은 31.2%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 도시(동부)지역
- 40대가 39.9%, 10대(9.3%)
- 기부의 주기는 ‘월 단위 이하’가 64.1%, ‘반기 단위’와 ‘분기 단위’의 순
- ‘월 단위 이하’는 주로 30대, 10대와 60대 이상의 경우 ‘반기 단위’
5) 물품기부(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물품기부
- 물품을 기부한 사람은 약 8.5% 정도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 남자보다는 여자
- 40대가 12.6%, 10대가 4.0%
- 기부경로는 ‘종교단체’(35.6%), ‘대상자에게 직접’(30.3%), ‘물품후원단체’(23.9%)
○ 기부횟수
- 물품기부한 사람은 평균 3.4회 기부
- 지역별 및 성별로는 큰 차이가 없음
- 40~50대가 평균 3.7회, 10대가 1.8회
- 기부경로는 ‘대상자에게 직접’이 3.6회, ‘종교단체’와 ‘언론기관’ 등의 순
6) 기부동기 및 분야(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기부동기
-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가 43.3%, ‘기부단체․직장 등으로부터 요청 받아서’(28.3%), ‘개인적
신념 때문’(14.9%)
- 대부분의 연령이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 기부를 하는 반면, 10대의 경우에는
‘기부단체․직장 등으로부터 요청 받아서’가 가장 많음
○ 기부희망분야
- 기부 희망분야는 ‘사회복지분야’가 82.2%, ‘의료분야’(32.1%), ‘해외구호활동분야’(24.5%),
‘지역사회발전분야’(20.4%)
- 농어촌(읍면부) 지역보다는 도시(동부)지역, 남자보다는 여자가 ‘해외구호활동분야’에 기부하기를
더 희망함
○ 인지분야
- 기부대상은 ‘언론매체’를 통해 인지한 경우가 29.4%, ‘직장․학교’(24.5%), ‘종교단체’(19.8%)
- 남자는 ‘직장․학교’(28.2%), 여자는 ‘언론매체’(32.2%)
- 20대 이상은 주로 ‘언론매체’를 통해 기부대상을 알게 되지만, 10대는 대부분
‘직장․학교’(79.1%)를 통해 인지
7) 향후 기부의향(통계청, 2011 사회조사 나눔문화 자료인용)
○ 향후에 ‘기부할 의향이 있다’ 45.8%
- 농어촌(읍면부)지역보다 도시(동부)지역이,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음
- 30~4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 향후 기부의향에 긍정적,
60대 이상의 경우에는 74.0%가 부정적
○ 향후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37.3%
- 향후 유산의 기부의향에 대해 60대 이상은 78.8%가 부정적인 반면, 10대는 49.2%가 긍정적
3. 자원봉사활동 동인
1) 개인적 동기
▷ 볼런티어21(2011)에서 조사한 연구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주요 동기(중복 응답)를
알아본 결과,
- ‘사회문제 해결 및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가 78.9%
- ‘시민으로서의 도덕적 의무와 책임’이 78.4%,
- ‘많이 가진 자의 의무’는 77.6%,
- ‘의미 있는 여가를 위해서’는 69.7%
⇨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동기는 최근에 보이던 볼런테인먼트의 현상을 탈피하여, 이타적인 동기와
시민 의무로서의 동기로 다시 강화됨을 알 수 있다.
2) 자원봉사 참여 경로
- ‘참가하고 있는 단체(종교단체 포함)나 조직을 통해 알게 되었다’가 가장 많은 53.0%,
- ‘자원봉사에 참여하도록 누군가로부터 요청을 받았다’가 26.5%
-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가족이나 친구가 있다’가 21.8%,
- ‘자원봉사센터를 통해서’는 6.2%,
- ‘자원봉사활동으로 도움받은 가족이나 친구가 있어서’가 5.0%,
- ‘인터넷을 통해서’가 3.1%,
- ‘라디오나 TV, 기타 광고를 통해 알게 되었다’가 2.4%
⇨ 아직도 자원봉사활동은 구전을 통한 홍보에 치중하고 있으며, 공식 매체나 홍보활동을
통한 활동유도는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정부 차원에서의 공익광고 형태의 대중매체를 활용한
참여유도 등 적극적인 참여유도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3) 봉사활동 지속 요인
-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됨’이 88.9%
- ‘자신의 필요성을 느끼기 때문’이 87.7%,
- ‘동정심을 갖고 있어서’가 83.4%,
- ‘새로운 사람 만남’이 73.4%,
- ‘존경하는 인물의 자원봉사 참여’가 66.6%,
- ‘개인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51.0%(볼런티어21, 2008).
4) 자원봉사활동 중단 요인
- ‘개인적으로 바빠서’가 가장 많은 66.5%
- ‘건강상/신체적인 문제로 인해서’가 14.8%
- ‘활동 요청이 오지 않아서’가 9.2%.
5)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
- ‘개인적으로 바빠서’가 79.9%,
- ‘건강상/신체적인 문제로 인해서’가 6.1%,
- ‘어떻게 참가해야 하는지 몰라서’가 5.8%,
- ‘활동경비가 부담되어서’가 2.0%
6)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는 매우만족 43.6%, 약간만족 51.1%, 그저그렇다 3.7%, 조금 불만족
0.3%, 매우 불만족 1.3%
7) 자원봉사활동 불만족 이유
- 시간부족, 업무과다 등 생각했던 것과는 상이해서 25.0%,
- 내가 원해서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 33.3%
-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는 담담당자가 없거나 있었도 별로 도움을 주지 않아서 16.7%
- 단체의 사명과 사업 대한 회의가 들어서 8.3%
- 원하는 활동에 배치되지 않아서 8.3%
8) 자원봉사교육 도움정도
- 자원봉사자교육 경험 30.9%
- 매우도움 45%, 약간도움 51.4%
'자원봉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복지학과, 복지사 등 과목 자원봉사론 요약 정리 10. 외국의 자원봉사 전달체계 (0) | 2022.07.08 |
---|---|
사회복지, 복지학과, 복지사 등 과목 자원봉사론 요약 정리 9. 우리나라 자원봉사 전달체계 (0) | 2022.07.07 |
사회복지, 복지학과, 복지사 등 과목 자원봉사론 요약 정리 7. 자원봉사활동 개괄 (0) | 2022.07.05 |
사회복지, 복지학과, 복지사 등 과목 자원봉사론 요약 정리 6.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0) | 2022.07.03 |
사회복지, 복지학과, 복지사 등 과목 자원봉사론 요약 정리 5. 자원봉사 동기 및 필요성 (0) |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