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생체역학과 생체재료
1. 생체역학
1절. 생체역학 일반
1. 기초역학
(1) 단순응력 : 단면적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 힘. 수직응력( ), 전단응력( )
(2) 단순변형률 : 단위 변형. 변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양. 수직변형률( ), 전단변형률( )
(3) 응력-변형률 선도
2. 생체조직의 기계적 특성
(1) 점탄성 : 고체 재료의 특성인 탄성과 유체의 성질인 점성
(2) 재료의 시간의존성 : 크리프 및 회복 실험은 어떤 시점에서 일정한 응력을 부가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 하중을 제거하는 동안 재료의 거동을 관찰함으로써 수행. 응력완화 시험은 순간적으로 재료에 변형을 주고 일정한 변형률을 유지하면서 재료의 반응을 관찰함으로 이루어진다.
2. 생체재료
1절. 생체재료 일반
1. 생체재료의 정의
(1) 생체재료 : 생체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생체의 조직이나 장기의 기능의 전체 혹은 일부를 대신하거나 보완해주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
(2) 생체적합성 : 생체재료가 생체조직, 장기와 생명현상을 조화롭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특성
(3) 생체기능성 : 설계된 기능을 생체 내에서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특성
2. 생체재료의 분류 - 생체 불활성/활성/재흡수 재료
3. 생체재료의 조건
생체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 | 생체적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 |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 기계적인 피로특성이 충분할 것 생체재료의 목표수명이 보장될 것 주변 조직과 기계적인 조화를 이룰 것 기계적으로 가공이 가능할 것 공학적으로 적절한 형태를 유지 멸균 소독이 가능할 것 |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말 것 생물학적 기능을 저해하지 말 것 주변 조직에 염증 유발하지 말 것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말 것 종양을 유발하지 말 것 화학적으로도 안정한 불활성 상태를 유지할 것 |
4. 기계적 특성 평가 - 인장/굽힘/피로 특성 평가, 경도시험, 크립시험, 파괴인성시험, 마모시험
(1) 연성 : 탄성한계를 넘는 힘을 가함으로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
(2) 전성 : 압축력에 대하여 물체가 부서지거나 구부러짐 없이 얇게 영구변형이 일어나는 성질
(3) 인성 : 파괴에 대한 저항도, 잘 깨지지 않는 성질
(4) 취성 : 외력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파괴되는 성질
5. 표면 특성 평가 - 생체조직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표면특성 관리가 매우 중요
(1) 표면형태학적 분석 : 광학현미경/전자현미경 평가, EDX(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2) 결정학적 분석 : 금속이나 세라믹과 같이 결정이 포함된 생체재료에 X선 회절분석
(3) 표면화학적 분석 :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계면 전위 분석
2절. 생체적합성
1. 생체재료에 대한 생체조직의 반응
(1) 생체재료의 표면 개질 : 생체재료가 이식되면 주변조직에 상처를 주며 혈액과 접촉하게 되어 표면 pH가 달라져 단백질의 형태와 기능이 달라지고 생물학적 활성도가 달라진다.
(2) 염증반응 : 손상된 조직에 대한 불특정한 생리학적 반응.(조직이 묽어짐, 부풀어 오름, 통증, 열을 수반한다. 세포침투 -> 재형성 -> 피복형성 -> 소멸
(3) 면역학적 반응 : 생체재료가 이식되면 면역물질은 단백질과 연합하여 즉시 재료 표면에 부착되며 부착된 단백질은 인접세포와 신호 교환이 이루어진다.
(4) 혈액반응 : 출혈이 일어나면 혈액 내의 혈소판이 파괴되어 트롬보플라스틴이 생긴다. 트롬보플라스틴은 혈액 속 칼슘이온과 작용하여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변화시킨다.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에 작용하여 피브린이 된다. 피브린은 그물모양으로 얽히고 혈구를 가둬 응고반응이 일어난다.
(5) 상처회복 반응 : 지혈 -> 염증 -> 세포들이 증식되어 초기재생상태 -> 재형성
(6) 생체재료의 분해현상 : 금속재료(이종금속부식, 틈새부식, 미생물에 의한 부식, 화학적 침식), 세라믹재료(불순물 용출), 고분자재료
2. 생체적합성 평가방법 - 세포독성시험, 과민반응, 혈액적합성,
3. 생체적합재료
(1) 천연 생체재료 : 유기물 혹은 식물에서 합성, 교원질과 젤라틴, 섬유소, 키틴, 히알루론산
(2) 근골격 생체재료 : 수산화인회석, 인공관절, 인공연골
(3) 피부 재생 생체재료 : 인공 피부
(4) 심혈관 생체재료 : 인공심장판막, 인조혈관, 스텐트
(5) 약물전달 생체재료
(6) 조직재생용 지지체
3절. 의용재료
1. 의용재료 - 의료용 기구로 개발되어 기초의학적인 검증과정을 통해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고 임상적으로 생체적합성이 검증된 재료
2. 금속 의용재료
(1)금속 의용재료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양호 변형에너지를 많이 흡수 탄성에너지 때문에 힘을 전달하는 구조적인 용도로 사용 |
생리적 환경에서 부식 주변의 연결조직과의 기계적 성질이 상이하므로 조화가 잘 안 된다 다른 재료에 비해 무겁다 |
3. 금속 의용재료 종류
스테인레스강 | - Cr, 크롬 : 금속의 부식 억제 - Ni, 니켈 : 기계적 가공성 - Mo, 몰리브덴 : 내부식성 - C : 기계적 강도 |
Co-Cr 합금 | -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 우수 - 내부식성 우수 - 단조용은 인공고관절, 인공슬관정 - 주조용은 치과용 임플란트, 인공관절 |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 -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낮다 -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이 좋다 - 전당강도가 낮고 기계적 가공이 용이하지 않고 산화막이 벗겨지면 급속히 침식하거나 흑화현상 발생할 수 있다. |
NiTi (니켈, 티타늄) 합금 | - 내식성이 우수, 형상기억의 특성 - 형상기억효과와 초탄성효과 |
치과용 합금 | - 아말감(은(65)-주석(29)-구리(2))은 수은을 첨가하여 강도가 높아져 충진재로 사용 |
4. 세라믹 의용재료
장점 | 단점 |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이 우수 화학적으로 안정, 생체적합성 우수 전기적으로 부도체이며 단열 효과가 있다 |
인장강도가 약해 깨지기 쉽다 일반적으로 가공하기 어렵다 다른 재료에 비해 무겁다 |
- 금속/비금속 원소의 화합물로서 대부분 금속 산화물
5. 세라믹 의용재료의 종류
생체비활성 세라믹 | 생체활성 및 흡수성 세라믹 | ||
알루미나 Al2O3 |
생체적합성 우수, 심미적 특성으로 치관수복제로 사용 단결정 알루미나는 강도, 내마모성 우수 - 인공관절/뼈, 치근에 사용 |
수산화인회석 | 척추동물의 경조직의 성분으로 뼈와 견고하게 결합하는 특성 수산화아파타이트는 생체내 활성형, 높은 취성, 우수한 생체친화성 |
지르코니아 ZrO2 |
용융점이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 인성을 얻을 수 있고 강도 높음 생체안정성, 친화성을 나타낸다. |
바이오글라스 | 생체 내에서 서서히 녹으면서 임플란트나 자연 골의 결합촉진 |
파이로틱 카본 |
생체적합성과 혈액적합성 우수 심혈관계 임플란트 코팅에 사용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 |
세라본 | 생체활성을 가지고 굽힘강도, 피로수명 등 기계적강도 우수 인공척추제, 인공장골로 사용 |
생체 흡수성 세라믹 |
TCP, Tricalcium Phosphate 칼슘과 인을 조절하여 흡수속도 조절 가능 복합재료 충진재로도 사용 |
6. 고분자 의용재료
장점 | 단점 |
비중이 생체조직과 유사 가공이 용이 원상 회복력이 우수 |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 물성이 퇴화되기 쉽다 높은 온도에 취약 |
7. 의용 합성고분자
폴리에틸렌, PS | 고밀도PS는 기계적 특성과 내마모성이 우수 인공관절의 마찰부위 삽입재료 |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
상온에서 쉽게 중합반응, 골 접착제의 주원료 투명도가 뛰어나고 굴절률이 높고 생체적합성 우수 |
폴리아미드, 나일론 | 좋은 섬유적 특성, 물 흡수성으로 수소결합이 파괴되는 성질이 있어서 흡수성 봉합사로 이용 |
폴리비닐크로라이드, PVC | 값이 저렴하고 가소제와 잘 혼합 부드러운 필름부터 딱딱한 파이프, 시트, 튜브 등으로 가공 |
폴리테트라플루올에틸렌 PTFE |
인장강도와 탄성계수가 낮다. 용융점성계수가 높아 소성 가공이 안됨 |
폴리우레탄, PU | 탄성이 좋고 질긴 특성과 혈액적합성이 우수하여 인공판막/혈관 |
실리콘 | Si계 합성고무로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 실리콘 고무 우수안 내열성, 전기절연성, 발수성, 불휘발성, 내열화성 |
8. 생체고분자
(1) 생체고분자 특성 : 체액과 지속적인 접촉, 생장능, 복합체로 존재, 합성기능과 분해기능
(2) 생체고분자의 종류
콜라겐(교원질) | 다당질 |
조직의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체 열성변형체인 젤라틴, 견고한 가교체에서도 세포접착능력을 유지한다. |
급성독성이나 발열반응이 없음 생체친화성 높음 물이나 열에 녹지 않는 다당질 세포막의 구성성분, 사람의 소화기는 소화 함 알파형 키틴은 안정성과 결정성이 높고 바닷게나 새우 껍질에 함유, 창상피복제의 재료 베타형 키틴은 결정도가 낮고 소화성이 높으며 수분을 흡수시키면 팽창, 부직포 |
'의공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9. 생체물성학 (0) | 2024.03.18 |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8. 의료기기법 (0) | 2024.03.18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7. 의료안전 및 법규 (1) | 2024.03.17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6. 의료기기 원리 및 특성 (2) | 2024.03.16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5. 의용계측센서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