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생체물성학
1절. 생체의 전자기적 특성
1. 생체의 전기적 특성 - 도전율, 유전율, 투자율 3가지이지만 생체는 비자성체로 2가지 문제로 압축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영역에서는 유전율이 저주파영역에서는 도전율이 문제가 되지만 생체조직은 양쪽 성질 모두를 가지고 있다.
(1) 저주파 대역에서의 전기적 특성 : 저주파대역에서 생체조직은 도전체, 전기쇼크(매크로 쇼크와 마이크로 쇼크)와 같은 안전관리측면이 중요
(2)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기적 특성 : 세포에 대한 자극 작용은 없고 열적 작용, 생체의 전자파 흡수, 전자파는 수분 함량이 낮은 조직에서 투과가 깊다.
2. 생체의 자기장 특성 - 자기장의 작용인자로는 자장의 강도, 자장의 방향성과 넓이, 자장이 작용하는 시간, 직류 또는 교류자장, 생체의 자장에 대한 반응 특성. 생체 내 활동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뇌자도, 심자도)과 생체 내 축적된 자성 미분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폐자도)으로 구분
3. 생체의 광학적 특성 - 빛의 파장대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구분
(1) 자외선의 생체 작용 : 생체 고분자 물질은 자외선(<200nm)을 잘 흡수한다. 254nm 부근의 자외선은 가장 살균력이 강하다. 생체 고분자 결합에 직접 작용을 미친다.
(2) 가시광선의 생체 작용 : 400~780nm, 헤모글로빈에서 강한 흡수를 나타내며 600nm를 경계로 그 이하의 파장에서 급격히 증가, 생체 색소의 경우도 많이 흡수한다.
(3) 근적외선의 생체 작용 : 780~1400nm, 헤모글로빈 및 수분의 광흡수가 가장 적어 조직내를 잘 투과한다. 조직에서 흡수는 적고 산란으로 빛이 감소
(4) 원적외선의 생체 작용 : 1400nm>, 물은 원적외선을 잘 흡수한다.
파장영역 | 눈 | 피부 |
200~315nm | 안염 | 홍진, 피부노화 촉진, 색소증가 |
315~400nm | 광화학에 의한 백내장 | 색소의 흑화 |
400~780nm | 광화학, 열에 의한 망막 손상 | 열상 |
780~1400nm | 백내장, 망막열상 |
(5) 빛에 관한 안전
4. 생체의 방사선에 대한 특성
(1) 방사선의 생체 작용 :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일수록 방사선 감수성이 높다
물리적 작용 | 방사선 에너지 흡수 |
화학적 작용 | 1차 생성물 및 중간 생성물의 작용 |
생화학적 작용 | 효소 화학반응 |
생물학적 작용 | 세포의 장해 |
(2) 방사선량을 나타내는 단위
조사선량 | 전리된 전하의 단위질량으로 구한다. 1R(뢰트겐) = 2.58*10^-4 C/kg-air |
흡수선량 | 물질 중에 흡수된 에너지를 단위 질량당으로 구한다. 1Gy(그레이) = 1J/kg |
선량당량 | 생체에 대한 작용의 크기를 고려한 것으로 흡수선량 방사선 종류에 따른다. 1Sv(시벨트) = Q*Gy = 1 J/kg = 100 rem(렘) |
2절. 생체의 열/기계적 특성
1. 생체의 기계적 특성
(1) 응력과 변형 : 조직에 정적인 하중이 더해지면 조직은 그것을 구성한는 재질이나 구조에 의존하는 변형이 생긴다. 탄성이란 힘을 가했다가 제거하면 원래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용수철)
(2) 점성 : 체액 등 유동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성질
상수명 | 정의 | 비고 |
영률 | ||
포와송비 | ||
미끌림 탄성률 | ||
체적 탄성률 | ||
(3) 생체 역학 모델 : 켈빈 고체, 맥스웰 유체, 3요소 개체 모델
(4) 혈관 내의 흐름 : 유량은 관내경의 4승에 비례, 혈관 지름의 변화에 의해 혈류량이 크게 변화
(5) 레이놀즈수 : 흐름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의 무차원수. 2000이하는 층류, 이상은 난류로 판단
(6) 혈관 벽의 전단응력 : 관내의 유속은 중심일수록 빠르고, 관벽에서는 점성에 의해 0이 된다.
2. 생체의 열적 특성
(1)
39~40도 | 백혈구의 활동항진 |
50도 | 원형질의 강직, 백혈구의 사멸, 적혈구의 변형 |
60도 | 용혈현상 |
70도 | 혈구의 응고 |
전신적으로 고온 상태 | 조직 호흡 부전, 물진 대사 부전이 돼서 산성 혈증에 빠진다. |
체온과 인체의 반응
(2) 생체조직에서 발생한 열은 조직의 열전도와 순환 혈액에 의해 운반
3. 생체의 진동과 초음파 특성 - 약 20kHz 이상을 초음파, 초음파는 고유 음햠임피던스가 다른 조직의 경계면에서 반사. 음속은 공기에서 약 340m/s, 생체에서 1,500m/s
(1) 생체 조직 내에서의 감쇠 특성 : 감쇠의 원인으로는 점성. 즉, 파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
'의공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10. 생체역학과 생체재료 (2) | 2024.03.19 |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8. 의료기기법 (0) | 2024.03.18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7. 의료안전 및 법규 (1) | 2024.03.17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6. 의료기기 원리 및 특성 (2) | 2024.03.16 |
의공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 핵심 요점 정리 5. 의용계측센서 (0) | 2024.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