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론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0. 인간관계와 가족관계

반응형

10. 인간관계와 가족관계

1. 인간관계
1. 인간관계의 의미
1) 사전적 의미
(1) 인간 상호간에 있어서 본성이나 직접적 접촉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내면적,
감정적인 인간 대 인간의 관계이다. - 간호학대사전
(2) 인간과 인간 사이에 서로 맺거나 맺어지는 연관 - 농업용어사전
(3) 구체적 생활환경에 있어서 사람과 사람과의 사이에 생기는 심리작용으로 언어의 작용을 기본적 조건으로 하는
의사소통에 의해 대표된다. - 사회복지학사전
(4)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관계(social interaction)로 사회적 관계란 두 사람 이상이 접촉하여 서로의 행동을 주고 받는
상호작용 관계이며, 상호작용은 접촉과 커뮤니케이션에 의하여 성립된다. - 짐멜과 쿨리(Simmel & Cooley)

 

2) 호손 실험(Hawthorm Experiment)
(1) 근로자의 작업능률은 물리적 환경조직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집단 내의 동료 또는 윗사람과의 인간관계에
의해 크게 좌우됨.
(2) 조직에는 비공식 집단이 별도로 존재하는데 이 비공식 집단은 개인의 태도와 생산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
(3) 근로자는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집단의 일원으로서 행동하며, 집단 내의 인간관계는 일련의 비합리적, 정서적 요소에
따라 이루어짐.
(4) 근로자는 경제적인 욕구나 동기에 입각한 합리적 행동보다도 비경제적인 요인인 사회적, 심리적 욕구나 동기에
입각한 행동을 중시함.
⇨ 가족에서의 가족의 태도와 감정뿐만 아니라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가족에서의 비계획적, 비합리적 요소에
강조를 두고 있음.

 

2. 역할
1) 역할의 개념 : 개인이 차지한 지위와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주어지는 행동규준이나 문화적인 행동양식.
(1) 사회가 개인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요구하는 행동유형
(2) 특정 지위의 개인에게 요구되는 행동규준이나 문화적인 행동양식
(3) 구조적인 측면 : 특정지위와 관련된 문화유형을 의미하며 사회적인 태도, 지위, 행동 등이 이 문화유형에 포함됨.
(4) 상호작용적인 측면 : 역할의 가변적 특성 강조.
2) 역할 취득 과정
(1) 역할기대(role-experctation)
- 역할담당자에 대한 타인의 요구나 평가기준.
- 집단 내의 타인과의 상호접촉을 통해 주로 모방에 의해 학습됨.
(2) 역할인지(role-perception)
- 역할담당자가 어떤 역할을 자기가 수행해야 한다고 지각하고 있는 상태.

(3) 역할 수행(role-performance)
- 역할담당자가 기대나 인지와의 일치여부와 관계없이 실제로 하는 행동.
(4) 역할 평가(role-evaluation)
- 역할담당자에게 부여되는 역할기대와 역할수행간의 일치나 불일치를 따져봄으로써 얻게 되는 개인적 충족감.
(5) 역할 고정(role-fixation)
- 역할평가를 통해 만족할 만하다고 인정되는 역할 행동 유형을 자신의 역할로 내면화 하는 것.
3) 역할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1) 역할취득의 과정에서 각 단계가 불일치되어 나타나는 역할갈등.
(2) 하나의 역할에 대한 기대들이 불일치도어 나타나는 갈등(intra-role-conflict)
(3) 한 개인이 동시에 여러 가지 지위를 가짐으로서 발생하는 역할간의 갈등 (inter-role-conflict)

 

3. 권력
1) 권력의 개념

라마나와 리드만
(Lamanna & Riedman, 1991 : 314)
- 자신의 의지를 행사하는 능력
- 개인적 권력(personal power)과 사회적 권력(social
power)
블루드와 울프
(Blood & Wolfe, 1960)
-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
스트라우스
(Straus, 1964)
- 다른 사람의 행동을 통제하고 주도하며 변화시키고 수정하
는 행동
올손과 크롬웰
(Olson & Cromwell, 1975)
- 사회체계 내의 다른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잠
재적 또는 실제적인 능력

⇨ 조직체 내의 다른 사람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개인의 잠재적인 또는 실제적인 능력.


2) 권력의 요인

 

3) 권력연구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
(1) 교환이론 : 두 사람간의 관계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재화나 능력 등의 자원을 비용으로 지불하고 대신
권력으로 보상받는 것.
(2) 자원이론 : 자원을 소유하고만 있어도 권력을 부여 받게 된다는 것.
(3) 규범적 이론 : 사회문화적으로 정의된 규범에 의하여 권력이 정해짐.
(4) 여성학적 이론 : 권력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주어지는데 이는 남성지배 사회에서의 남녀차별에 기인한다는 것.

 

2. 가족관계
1. 스트레스
1) 스트레스원의 유형

2) 가족스트레스 이론 : ABCX model과 double ABCX model

3. 의사소통
*communis(공유) 또는 communicare(공동체- 공통성을 이룬다. 또는 나누어 갖는다) ⇔ com, 즉 together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하여
서로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해서 서로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고,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과정 및 행동

1)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① 발신자 : 메시지를 주는 사람
② 정보 : 메시지
③ 매체
④ 수신자 : 메시지를 받는 사람
⑤ 상황
⑥ 효과


2) 의사소통의 공리(Watzlawick, Beavin, Jackson, 1967)
① 의사소통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함.

② 모든 의사소통에는 내용(content)과 관계(relationship)의 두 가지 측면이 있음.
③ 의사소통자간의 관계는 계속되는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일단락 짓기에 의하여 특징 지워짐.
④ 사람들은 언어적 형태(verbal pattern)와 비언어적 형태(nonverbal pattern)fh 의사소통 함.
⑤ 모든 의사소통은 의사소통하는 사람들의 관계에 따라 대칭적 형태(symmetrical pattern)이거나 상보적
형태(complementary pattern)가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