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론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7. 성과 사랑

반응형

7. 성과 사랑

 

1. 성과 가족


1. 성의 개념


1) Sex
- 생물학적인 성
- 남성(male)과 여성(female)으로 구분됨.
- 생리적이고 생물학적인 특성에 기준을 두고 구분함.


2) Gender
- 사회문화적 성, 성역할로서의 성
- 남성성(masculinity)과 여성성(femininity)으로 구분됨.
- 발달 과정에 따른 경험을 통해 쌓여가며 형성되는 성에 대한 인식
- 사회적으로 학습한 행동, 태도, 기대를 언급할 때 사용됨.


3) Sexuality
- 총체적인 성
- 자신을 성적인 존재로서 정의하는 일련의 가치나 믿음, 행동들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
- 종족보존은 물론 성적 쾌락의 추구 등 성행동과 관련된 심리적 문화적 요소까지도 모두 포함.
- 성행동뿐만 아니라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성에 대한 환상, 꿈, 행동, 태도, 사고, 신념, 가치관, 감정 등 모든 것을
지칭함.


4) 性
- 전체적인 인간 그 자체를 뜻함.
- 그 외 성행위와 성적인 쾌락은 색(⾊)으로 표현함.


2. 성의 요소


- 뉴톤과 월톤(Newton & Walton, 1984)이 제시.

 

1) 성적 정체감(erotic identity)
- 개인이 자신을 성적인 대상으로 어떻게 생각하는가.
- 사회계층, 성적 지향 등 개인의 역사와 문화의 상호관련성에 영향을 받음.

 

2) 성적 역할(erotic role)
- 파트너와의 성관계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는가.
- 성별이나 성적 지향이 반드시 성적 상호작용 동안의 성적 역할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님.

 

3) 성적 행위(erotic acts)
- 개인의 섹슈얼리티.
- 성적인 표현을 어떻게 하는가, 성감대는 어디인가, 성적으로 자극을 받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특정 장면이 성적
자극물이 되는가 등.

 

4) 성적 선호(sexual preference)
- 성행위 파트너가 동성인가 이성인가

- 성적 지향과 비슷하나 성적 선호는 성적 파트너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상황과 관련됨.

<비교해보세요>
※ 성적 지향
- 정서적, 낭만적, 성적 파트너로서 이성, 동성 혹은 양성에게 지속적으로 이끌리거나 반응하는 정도.
- 이성 혹은 동성과 성적 관계와 성적 행동을 맺고자 하는 성향
- 이성애(heterosexuality), 동성을 선호하는 동성애(homosexuality), 두 가지 성별 모두를 선호하는
양성애(bisexuality), 어느 성도 선호하지 않는 무성애(asexuality)
*가족과 젠더(2009). 정혜정 외. 신정.

3. 성차와 성차 요인

 

1) 일반적인 성차
(1) 신체의 차이
①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차이는 대표적으로 생식기관에서 나타나며, 이는 임신 3개월 말경 분별됨.
② 출생 시 남아는 여아보다 크고 강하지만, 그 후 신체적 성장과 감정적 성숙의 속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빠른 편임.
③ 사춘기에 이르면 여성이 남성보다 2년 정도 빠른 발달 상태를 보임.
④ 성인 남성은 여성보다 평균적으로 키가 크고 체중이 무거우며, 어깨와 가슴이 넓고 근육도 발달함.
⑤ 여성은 골반이 넓고 얇아, 임신하여 태아를 출산하기에 편리하게 됨.

 

※ 출생 시 남아와 여아의 차이

※ 청소년기 여성과 남성의 차이

※ 남성과 여성의 골반 차이

2) 성차의 요인
(1) 생물학적 요인
① 염색체와 호르몬에 의한 영향을 받음.
② XX와 XY 염색체 : 여성의 난자 속에는 22개의 상염색체가 있고, 성을 결정하는 23번째의 X염색체가 있음. 남성의
정자 속에도 22개의 상염색체가 있고, 성을 결정하는 Y염색체가 있음.
③ 태아들도 남성은 현저한 양의 남성호르몬과 미량의 여성호르몬을 분비하고, 여성은 그 반대의 비율로 호르몬을
분비함.
④ 사춘기에는 생식선의 호르몬 생산이 크게 증가하며, 이로 인해 제 2차 성발달이 이루어짐.
⑤ 갱년기가 되면 성호르몬이 현저히 감소하면서 여성은 폐경기를 맞이하고, 남성은 계속 정자를 생산하기는 하나 다소약화됨.


※ 성염색체 [ sex chromosome , 性染⾊體 ]

(2) 심리적 요인
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 남성이 3~6세경에 어머니의 사랑을 갈구하고 아버지를 배척함.
-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사라지고 아버지와 동일시하게 됨.
- 어머니에 대한 사랑 역시 다른 여성에게로 이동함.
②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 프로이드(Freud)는 여성심리의 특성으로 수동성, 피학성, 허영, 자기도취성, 불완전한 자아발달을 들었는데 이를
남근숭배 사상으로 설명함.
- 여아는 아버지가 가지고 있는 남근(phallus)이 자신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부러워하는 한편 자신에게
남근을 주지 않은 어머니를 원망하는데, 이와 같은 여아의 남근 선망(penis envy)이 여아로 하여금 콤플렉스를 갖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됨.
- 여아가 성장함으로써 어머니의 여성성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한편 초자아(超⾃我)가 형성될 때까지 지속됨.
(3) 사회문화적 요인
① 모계사회
- 여성들의 부모로서의 권리와 역할이 남성들보다 훨씬 더 우세하며, 모녀관계는 우정과 상호협조 관계를 이루고 이를
통해 강한 자기존중과 인간가치를 찾음.
② 부계사회
- 남성은 항상 우위적인 사회문화적 지위를 확보해 온 반면 늘 심리적으로 자기방어적인 불안전한 존재로 남아있고,
여성은 지위를 유지해 왔지만 향상에 대한 욕구와 노력이 강해지고 있음.
③ 최근 남녀 간의 성별 특성에 관한 경향은 생물학적 요소보다 사회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더 크게 보고 있음.
④ 성에 의해 집단적으로 동일하게 취급되는 역할가치관은 지양되어야 함.


4. 성차와 가족관계


1) 부모의 태도
- 부모의 인지 차이
- 의식적으로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교육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나, 부모 자신도 어린 시절에 성차에 대한 교육을 받고
또 그에 따라 성장해 왔으므로 잠재적으로 자녀의 성별을 구분하게 됨.
2) 성동일시
-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와 긍정적인 성동일시를 하게 됨.
- 성차에 따른 역할의 차별적 사회화
- 남아는 아버지의 역할을, 여아는 어머니의 역할을 배우면서 성인기에 이르러서는 그 문화가 규정한 바에 의하여 성에
따른 명백한 역할구분이 생김.
- 주로 남성은 신체적 공격성, 지배성, 운동과 성취능력의 탁월성, 독립성 등을 바람직하다고 여기고, 여성은 의존성,
수동성, 신체적 공격의 어제, 언어능력의 탁월성, 친절, 청결 등을 강조함.


2. 사랑과 가족


1. 사랑


1) 사랑의 의미
- 사랑의 의미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면서 설명하기 어려운 정서임.
- 많은 사람들, 매체, 작품들에서 사랑을 저마다의 의미로 표현하고 해석하고 있음.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
이는 모든 일 중 가장 어려운 일이고,
궁극적인 최후의 시험이자 증명이며,
그 외 모든 일은 이를 위한 준비일 뿐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사랑은 이타주의, 친밀감, 찬사, 존경, 공유, 믿음, 수용, 타인에 대한 자부심, 일체감, 몰입 등 많은 특성을 내포하고
있음.
- 그리스인의 사랑과 관련된 세 가지 어휘
* 형제간의 사랑(philos), 정신적인 사랑(agape), 성적인 사랑(eros).


2) 사랑의 특성
- 첫째, 사랑은 현실생활에 존재하며 객관적인 진실을 가지고 있음.
- 둘째, 사랑의 능력은 개인의 문화 환경에 의해서 학습되므로 문화가 다른 사람끼리는 사랑이나 애정 표현방법이 다름.

- 셋째, 사랑은 여러 단계로 존재할 수 있음.
- 넷째, 사랑에는 여러 다른 형태가 있음. 이타적 사랑, 낭만적 사랑, 동료적 사랑, 성적인 사랑 등.
- 다섯째, 사랑은 섬광과 같이 순간적인 것도 아니고 어느 일순간에 깨달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사랑은 많은 경험을
통해서 성장하는 것임.


3) 사랑의 이론


(1) 사랑의 수레바퀴 이론(Wheel theory of love)
- 레스(Reiss, 1980)

<사랑의 수레바퀴 이론, Strong, B. & DeVault, C.>
① 친화(rapport)
- 상호신뢰와 존경에 의해 생성되는 감정.
- 사회계층이나 종교 등의 배경이 비슷할 때 생성 용이.
- 서로의 다른 점에 대해 흥미를 느끼거나 각자 동경하는 자질을 발견하면 생성.
② 자기노출(self-disclosure)
- 자신에 관한 사적인 정보를 보여주고 나누는 과정.
-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자기노출을 삼가도록 사회화되는 경우가 많음.
- 친화가 이루어지고 난 뒤에 이루어짐.
③ 상호의존(mutual dependency)
- 서로 좀 더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며 서로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감.
- 둘 사이의 공통된 습관을 만들어 감.
- 서로의 욕구에 반응하며 같이 행동하는 데 익숙해짐.
- 무엇인가 혼자 하게 되면 고독을 느끼기도 함.
④ 친밀감 욕구충족(intimacy need fulfillment)
- 관계가 발전하게 되면 서로가 상대의 정서적 요구에 만족함.
- 친화력이 향상되고 자기노출이나 상호의존 습관 역시 깊어져 욕구만족도가 극대화됨.
- 상호교환과 협조의 안정적인 유형이 확립.


(2) 사랑의 삼각이론(Trianguar theory of love)

 

- 스텐버그(Sternberg, 1986)

① 친밀감(intimacy)
- 밀접함, 나눔, 의사소통, 지지 등을 포함.
- 초기관계가 불안정할 때 상대방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친밀감을 높이게 됨.
- 상대에 대한 파악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관계가 안정되고 친밀감을 명백히 하려는 시도도 감소됨.
② 열정(passion)
- 사랑하는 사람과 하나가 되려는 강렬한 욕구와 신체적 자극을 이끌어 냄.
- 성적 매력, 성적 유희, 성적 접촉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
- 빠른 속도로 증가.
- 초기에는 뜨겁고 격렬한 열정을 느끼지만 점차 습관화되면서 이후에 강도를 상실함.
- 자기존중 욕구, 자아실현 욕구, 타인에 대한 복종과 지배 등도 열정을 불러일으키는데 기여함.
③ 헌신(committment)
- 단기적 : 어떤 사람을 살아하기로 결심하는 것.
- 장기적 : 그 후 오랜 기간 그 사랑을 지속하기 위해 개입하는 것.
- 약혼과 결혼으로 표현되기도 함.
- 처음 누군가를 만나는 순간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서로를 잘 알게 되면서 헌신 정도가 증가함.

 

(3) 사랑의 유형론
- Lee(1988)

① 에로스(Eros)
- 열정적인 사랑
- 평소에 원하던 이상형을 만나 결혼하는 것을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됨.
- 파트너를 기쁘게 해주는 데 몰두하며, 신체적 접촉을 통한 성적 친밀감을 강하게 원함.
- 상대방을 자주 만나기를 원하며, 강렬하고 깊은 친밀감을 확립하려 함.
② 스트로게(Stroge)
- 우애적 사랑
- 자연적인 애정
- 흥분되지 않은 평온한 사랑.
-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사랑으로 무르익는 형태.
- 서로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려함.
- 지나친 감정 표출을 꺼리고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하려고함.
- 현실을 받아들여 상호 협조적이고 보완적이므로 관계가 장기간 안정적임.
③ 루두스(Ludus)
- 유희적 사랑
- 사랑은 게임이다!
- 지속적인 관계나 헌신보다는 도전, 놀이.
- 관계 속에서 미래에 대해 계획하거나 서로 깊게 관여되는 것을 거부함.
④ 매니아(Mania)
- 소유적 사랑
- 에로스(열정적 사랑) + 루두스(유희적 사랑)
- 파트너에 대해 질투심, 소유심, 의심이 있으면서, 다른 한편 높은 흥분도 가짐.
- 상대의 관심과 애정을 늘 확인하려 하며, 사랑을 확인하기 위해 극단적인 일을 하기도함.
⑤ 프라그마(Pragma)
- 논리적 사랑
- 루두스(유희적 사랑) + 스토르게(우애적 사랑)
-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사랑.
- 자신에게 어울리는 사회적 배경, 흥미, 관심사, 가치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상대에게 사랑을 느낌.
- 상대를 제대로 알기 전까지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며, 질투심과 같은 격정적 감정의 표출은 경시함.

- 친구나 부모에게 자신의 선택에 대해 상의하기도 함.
⑥ 아가페(Agape)
- 이타적 사랑
- 에로스(열정적 사랑) + 스토르게(우애적 사랑)
- 조건 없이 상대를 좋아하고 돌봐주거나, 용서하고 베풀어주는 사랑.
- 파트너의 특성이나 외모와 관계없이, 장점이나 단점에 관계없이 사랑 받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함.
(4) 성숙한 사랑의 요소
- 에리히 프롬(Erich Fromm, 사랑의 기술) : ‘성숙한 사랑’이란 서로가 서로를 보살피고, 존경하며, 책임지려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가는 것.
① 친숙함
② 유머 감각
③ 솔직한 대화
④ 공통된 사명과 목표
⑤ 평등
⑥ 모험 감각
⑦ 함께 하는 체험
⑧ 상대방의 느낌과 마음 상태 존중
⑨ 열정
2. 가족사랑의 특성
1) 사랑의 낭만성과 현실성
- 낭만적 사랑은 ‘느낌’에 기초함.
- 배우자 선택의 실제에서 계산적인 면도 어느 정도 포함되지만, 대중적인 이상에는 낭만적 감정이 지배적임.
- 현실적인 사랑은 ‘안녕’에 기반을 둠.
- 오랜 세월을 함께해 온 부부 간의 사랑, 부모가 자녀에 대해 가지는 책임과 헌신적 감정.
- 가족의 형성은 사랑의 낭만성에서 시작되나, 가족의 유지는 사랑의 현실성에 기반하고 있음.


2) 호혜적 이타주의와 친선의 규칙
- 이타주의란 타인의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한 비이기적인 행동과 타인에 대한 사심 없는 관심.
- 가족 간에 기대되는 이타주의는 가족 간의 도리, 가족 윤리를 말함.
- 생태학적 관점에서 호혜적 이타주의는 가족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응적 관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