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역할과 권력
1. 전통적인 부부역할과 변화된 부부역할
1. 역할
1) 역할의 개념
- 가족원들이 가족기능을 완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
2) 역할의 5가지 차원
(1) 역할기대
- 가족원들은 가족 내에서 성에 따라 또는 세대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지위를 갖게 되고 그 지위에 따라 역할이 부여됨.
(2) 역할인지
- 역할을 부여 받은 자가 어떤 역할을 자기가 수행해야 할 일이라고 지각하고 있는 상태.
(3) 역할수행
- 집단이나 조직, 또는 다른 개인이 그에게 어떤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줄 것을 기대하는 것.
- 다른 사람이 역할 해당자가 수행하는 역할을 평가하는 기준.
(4) 역할평가
- 부여되는 역할기대와 역할수행간의 일치나 불일치를 따져봄으로써 얻게 되는 개인적 충족감.
(5) 역할 고정
- 역할평가를 통해 만족할 만하다고 인정되는 역할 행동 유형을 자신의 역할로 내면화함.
3) 역할 갈등
- 한 개인은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기대 받고, 그 기대에 맞게 혹은 그 기대에 어긋나게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 그 과정에서 자신이 인식하는 역할과 타인의 기대가 불일치하여 혼란이 있을 수 있으며
- 사회적 규범의 변화로 인해 역할의 내용이 변화하기도 함.
→ 역할내적 갈등
→ 역할 간 갈등
2. 성역할
1) 성역할의 개념
- 신체적으로 구분되는 남성, 여성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행동유형.
(1) 남성성과 여성성
(2) 양성성
- 한 인간 내에 남성적 특성과 여성적 특성이 동시에 존재함.
2) 부부역할
3) 남녀 간 역할에 대한 견해
(1) 전통주의
(2) 신전통주의
(3) 여권주의
→ 전통주의 견해에서 신전통주의나 여권주의의 견해로 바뀌고 있음.
4) 전통적인 부부역할
(1) 파슨스(Parsons)
- 도구적 역할(instrumental role) = 수단적 역할
- 표현적 역할(expressive role)
5) 변화된 부부역할
(1) 양성평등과 맞벌이 부부의 보편화
(2) 남편의 가사불참 가설
① 경제적 효용 가설
② 자원 가설
③ 가용시간 가설
④ 성역할 이데올로기 가설
(3) 나이(Nye)와 맥라프림(McLaughlim)의 부부역할
① 부양역할
② 가사역할
③ 자녀양육 역할
④ 자녀사회화 역할
⑤ 오락 및 휴식의 역할
⑥ 성역할
⑦ 치료자의 역할
2. 부부권력의 접근방법과 유형
1. 부부권력
1) 로드만(Rodman, 1972)의 4가지 사회유형과 부부권력
(1) 가부장제 사회
- 강한 가부장제 가족규범을 가짐.
- 지위 계층에 상관없이 권력이 남편에게 집중.
(2) 수정된 가부장제 사회
- 상류계층 : 평등한 규범. 자원이 권력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짐.
- 하류계층 : 가부장적 규범이 강하고 자원에 상관없이 남편이 권력을 가짐.
(3) 과도기적 평등주의 사회
- 자원이 부부 권력을 예언함.
- 부부권력에 대한 규범이 융통적.
- 남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남편의 권력과 정적 상관.
(4) 평등주의 사회
- 남편과 부인의 권력 공유
- 지위계층에 따라 권위형태에 다양성이 없는 사회유형.
2) 허브스트(Herbst)의 부부권력 유형
(1) 부부 상호작용의 유형
① 부부자율형
- ①형과 ②형 해당.
- 각자의 영역에 따라 부부 각각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유형.
② 남편지배형
- ③형과 ⑤형 해당.
- 남편의 지배하에 결정되고 행동하는 부부관계.
③ 부인지배형
- ④형과 ⑥형 해당.
- 부인의 결정에 따라 남편이 행동하거나, 부부가 함께 행동하는 관계.
④ 부부공동형 또는 협동형
- ⑦, ⑧, ⑨형 해당.
- 부부가 대등한 인간관계를 가지고 협동적 분업을 함.
(2) 부부의 권력의 범위
3) 세필리오스 로스차일드(Safilios-Rothschild)의 부부 권력 유형
(1) 관습이나 사회적인 규정에 의하여 인정되는 권력인 권위(authority)
(2) 강압적인 위협이나 폭력에 의해 굴복시켜 획득하는 권력인 지배력(dominance power)
(3) 돈이나 명성 등 필요한 자원을 공급해 줌으로써 부여받는 권력인 자원력(resource power)
(4) 전문적인 지식이나 고도의 기술, 경험 등을 근거로 하여 부여받는 권력인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5)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인 영향력(influence power)
(6) 온화함이나 성적 매력에 의하여 배우자를 다루는 능력인 애정적 권력(affective power)
(7) 눈물이나 잔소리 등으로 조정하는 권력인 긴장관리력(tension management power)
(8) 도덕적ㆍ종교적 기준에 비추어 타당한 규범에 의하여 부여되는 권력인 도덕적 권력(moral power)
'가족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2. 부모됨과 부모 역할 (0) | 2024.02.18 |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2. 갈등과 적응 (0) | 2023.09.26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0. 인간관계와 가족관계 (0) | 2023.09.23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9. 약혼과 결혼 (0) | 2023.09.22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8. 이성교제와배우자선택 (0) | 2023.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