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290)
전기철도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8. 계통보호방식 및 설비 8. 계통보호방식 및 설비 1. 계통의 보호방식 1) 보호선(PW)에 의한 방식(2중 절연방식) 선로를 따라 보호선을 가선하는 방식, 애자는 특별 고압부와 고압부가 있고 이 경계에서 연결하여 지락도선을 PW에 접속하는 방식 2)☆가공지선(GW)에 의한 방식(단독 접지방식)☆ 역구내 등 애자의 수가 많은 개소에서는 지지물을 가공지선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접지 하여 전차선이 지락하였을 때에 2.5KV로 동작하는 방전기를 통하여 PW(BT급전회로는 NF)에 전류가 흐르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지락도선을 설치하지 않는다. 3) 매설지선에 의한 방식 가선 궤도를 따라 매설지선을 설치하고 전차선로 지지물과 통신, 신호설비 등을 공동으 로 접지하여 전차선로의 지락사고 등에 따른 대지전위를 억제 시켜 타설비를 보호..
전기철도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7. 전차선로의 특성 및 영향 7. 전차선로의 특성 및 영향 1. 전기적 특성 1) 부하의 특성 ①큰 견인력으로 주행해야 하므로 대용량의 부하전력이 요구된다. ②시동, 정지가 빈번하게 반복되므로 그 크기는 시공간적으로 변한다. ③전차선로는 주로 3상 전력계통으로부터 단상의 전력으로 변환하여 급전하고 있으므로 전압의 불평형을 초래할 수 있다. ④전철 구동 시스템에는 컨버터와 인버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것은 위상제어 및 펄스폭 변조방식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고조파를 발생 시킨다. 2)최대의 선로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조건 ①변전소 부하가 최대 일때 ②직류구간(병렬급전): 변전소 중간부분에서 전기차가 기동 최대전류를 발생 시킬때 ③교류구간(단독급전): 급전 최말단부분에서 전기차가 기동 최대전류를 발생 시킬 때 2. 기계적 특성 1) 이..
전기철도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6. 강체전차선로 6. 강체전차선로 1. 강체 전차선로의 구조 및 원리 지하구간에 적합하도록 개발 되어진 가선방식으로, 강체 전차선은 트롤리 와이어를 강체에 완전하게 일체화 시켜서 고정한 것으로 터널 등의 천장에 애자 또는 측면에 브래킷을 취부하고 여기에 강체 전차선을 조가 하는 방식 1) 강체 전차선로의 특성 (1) 강체 전차선로의 장점 ①터널 구조물의 단면 높이를 축소 할수 있어 건설비를 절감. ②전주,빔이 없고 트롤리 와이어 도체 성형재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력장치, 곡선당김 장치, 진동방지 장치가 불필요 하다. ③설비가 간단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쉽다. ④커티너리 조가식의 경우와 같은 단선의 염려가 거의 없고, 응급처치가 간단하다. ⑤직류 급전방식에서는 강체 전차선이 충분한 전기적 용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