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89)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인중개사 및 경매 등 부동산 필수 기본지식 부동산학 원론 7강 부동산정책론 7. 부동산정책론 1. 정부의 시장개입 (1) 정부개입의 정당성 ∎ Efficiency 제고: 시장실패의 치유- 민간의 시장기구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시장실패(marketfailure) -> 정부의 시장개입이 필요(정당성을 부여 가능). 외부효과, 독점, 공공재,비용체감, 불완전정보 등 다양한 이유. □ externality- externality = 외부효과: 한 사람의 행위가 “시장기구를 통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경제적 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 한 개인이나 기업의 소비 또는 생산활동이 다른개인이나 기업의 효용 또는 이윤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발생.- NIMBY 현상 대 PIMFY 현상-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부개입의 대부분이.. 공인중개사 및 경매 등 부동산 필수 기본지식 부동산학 원론 6강 도시공간구조와 부동산 입지 6. 도시공간구조와 부동산 입지1. 도시공간구조와 지대(1) 도시공간구조의 고전적 이론■ 동심원모델(concentric zone model)- 동심원모델은 독일의 von Thunen(1826)이 농업활동의 공간적 분화를 설명하면서처음 대두. 도시공간구조를 최초로 연구한 미국의 Burgess는 1920년대 시카고시를대상으로, 도시팽창이 도시내부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거주지분화 현상을 연구.-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공간구조는 동심원적으로 외적 확대. 도시내부의 기능지역이 침입, 경쟁, 천이라는 생태학적 변화과정을 거쳐, 중심업무지구 -> 점이지구(zone in transition) -> 저소득층 주거지구 -> 고소득층 주거지구 -> 통근자지대로분화해 나간다는 것.- 중심업무지구(CBD: central bu.. 공인중개사 및 경매 등 부동산 필수 기본지식 부동산학 원론 5강 부동산 시장론 5강. 부동산 시장론 1. 부동산시장은 효율적 시장인가?(1) 효율성 시장의 의의- 정보효율적 시장(informationally efficient market): 현재의 가격은 모든 이용 가능한정보를 반영하고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정보에 가격이 즉시 반응하는 시장. “효율적 시장이론(efficient market theory).”- 기업이나 부동산의 미래 전망이 변할 때, 그 변화를 예견하는 새로운 정보가 즉각적으로 가치와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 가격은 그 변화가 예견될 때에 즉시 변화,장래에 실제로 발생했을 때에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 예: 어떤 지역이 개발된다는 정보가 출현하면 부동산가격이 폭등하는 것은 새로운 정보가 가치와 가격에즉시 반영되기 때문.- 만약 시장이 효율적이라면, 정보가 모두에..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