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장 농축산ICT
*주요용어 ◾축산시설(livestock facility) : 축산업에 관련한 모든 시설. 축사, 가공 시설, 유통 시설 따위를 포함한다. ◾가축사양(animal feeding) : 가축에게서 경제적인 생산물을 얻어 내기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사육하는 행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정보통신 기능을 통하여 가축에게 먹이를 주는 기술. ◾동물복지(Animal welfare) : 스톨이나 케이지와 같은 한정된 공간에 수용된 가축이 행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사육 하는 것을 말한다. |
1.축산업의 현황
(1)우리나라 축산업의 발전 현황
·70년대-생산성(양적 성장), 80년대-품질(질적 성장), 90년대-안전성, 2000년대-친환경, 2010년대-동물복지.
(2)한·유우 시설 기술의 변화(인력→기계→반자동→자동화)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계류식우사+노천운동장 -환경오염 -사육환경 열악 -인력관리→노동력 과다 -손 착유(50~70년대) →기계 착유(바켓) →파이프라인 착유 |
·오수/분뇨법 시행(91년) -비가림 투광지붕·톱밥우사시설 이용 -투광지붕 이용으로 더위 스트레스 -톱밥우사 이용 분뇨처리 해결 -톱밥의 이용효율 저조 -착유실 착유(헤링본, 텐덤) |
·자동화시설에 의한 노동력 절감 및 환경 개선 -지붕 및 벽 자동개폐 환기 -동물복지 고려한 환경개선 -로봇 자동화 착유시스템 -개체정보 정밀관리 시스템 -유기축산 고부가 우유 생산 |
인력식 | 기계화(반자동) | 자동화→제어화 |
(3)양돈 시설 기술의 변화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파이프-보온덮개 돈사 -철재파이프 및 트러스 형태의 슬레 이트 지붕 돈사로 변화 ·자연환기돈사 -ON/OFF 제어식 환기 ·시멘트 급이기 인력 급이 -사료급이시스템 국내생산 (오거식, 디스크식 급이기) |
·유럽형 무창돈사시설 도입 ·ON/OFF 제어식 환기 -멀티-환기팬(속도조절형) 도입 ·사양기구 시설 해외 도입, 모방 ·파이프라인 자동급이, 급수기 ·스크레퍼 및 슬러리 돈사 보급 |
·무창돈사의 국산모델 보급 ·환경(환기)관리 자동화 ·멀티-팬 국내생산 ·한국형 사양시설 개발 ·동물복지형 사육시설 -임신모돈 군사사양장치 -분만돈 자동급이 -사료효율 측정기 등 |
인력식 | 기계화(반자동) | 자동화→제어화 |
(4)양계 시설 기술의 변화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유창계사 -2~3단 A형케이지 보급 ·인력급이, 디스크와이어식급이기 국 산화 보급 ·홈통 급수기 보급 ·인력집란, 소형선별기 ·인력 및 스크레퍼 계분 수거 |
·유럽모델의 무창계사 및 직립식 케 이지 도입설치 시작 ·디스크케이블식, 호퍼식, 평체인식등 자동급이시스템 보급 ·계란자동선별기 국산화 보급 ·계분반출 벨트시설 |
·무창계사 직립식케이지 생산 보급 ·친환경 산란계 사육 모델 개발 ·급이, 급수시설의 고급화 -니플, 급이기 등 ·대형선별기 및 자동포장기 보급 |
인력식 | 기계화(반자동) | 자동화→제어화 |
2. 축산에서의 ICT 활용
①환경관리
-내,외부 환경(온도, 습도, 정전, 화재, 풍속 등)의 센싱 모니터링.
②사양관리
-사육단계별 사료자동급이기(군사급이기, 자동급이기, 사료믹스급이기 등), 사료빈 관리기, 음수관리기 등의 자동·원겪제
어 가능한 ICT 융복합장비 등의 시설장비 포함.
③경영관리
-농장 생산성 분석.
3. ICT를 활용한 환경 및 사양관리
(1)축산 선진국과의 기술 비교
-우리나라는 미국 등 축산 선진국의 기술수준에 약 75% 수준, 기술격차는 5~6년 정도 차이가 남.
(2)기술 격차 해소 방안
-부서 간 협업연구 절대 부족(축산학+공학).
-전문 인력 양성>연구개발 자금 확보>정부지원 정책 개선>산학연 협력 활성화>정부지원 정책 개선>정보·인프라 확
보>기술의 실용성 향상.
(3)가축 환경 관리
①한·유우시설
-우사 내 한·유우의 행동 관찰, 착유기의 이상 유무 등, 관찰 카메라는 360도 회전되는 카메라가 좋다.
②양돈 시설
-CCTV를 통한 돈사의 환경 관찰, 돈군의 활동·분포 상태 확인.
③양계 시설
-농장 외부 방범 및 방역, 축사 내 동물 및 내부 상태 확인, 폐사축 관리.
(4)축사 화재 감지기
-화재 관리기에 의한 알람 발생.
(5)가축 사양관리
①한·유우시설
-급수장치, 송아지방 시설, 자동급이 장치, 밀사사육 금지.
②양돈 시설
-스톨 사육방식→군사형 사육방식, 임신돈 자동급이기(ESF), 분만돈 자동급이장치.
③양계 시설
-밀폐형(케이지 사육)→개방형(방사 사육, 다단식 방사 사육).
4.활용 방안
(1)가축 사양 통합관리
·스마트 관리
-축사 환경관리 플랫폼 기술, 가축 원격진료 플랫폼 기술, 사양관리 플랫폼 기술, 가축 모니터링 플랫폼 기술.
(2)통합 환경(환경+사양) 관리
·환경관리기 SH-200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화재감지기, 온도·습도센서, 음수량 측정, 사료빈 관리기 등 통합제어.
(3)분뇨처리 관리
-GPS를 통한 분뇨 이동 및 살포 확인 가능.
(4)차량 이동 이력추적 관리
(5)가축분뇨 통합 관리
(6)축사 ICT 전망
-태어나기 전 : DNA 관리를 통한 육종.
-사육기간 : 자동화 시설을 통한 데이터 분석 및 피드백에 의한 생산성 향상.
-사후관리 가능.
-소비자에 신선하고 깨끗한 고기 공급.
태어나기 전 | 살아가는 동안 | 사후 |
동물유전체시스템, 가축개량종 합정보시스템, 교배계획시스템, 한우개량종합정보시스템. |
통합관리시스템 | 도축관리, 저장관리, 이동관 리, 축산이력시스템. |
사양관리, 원격진료, 질병관리, 농장경영관리, 초지관 리, 전염병관리, 차량출입관리, 가축분뇨관리, 탄소배출 량관리, 동물복지관리, 축사환경관리, 행동모니터링. |
'농축산환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5. 스마트팜 (0) | 2022.05.07 |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3. 축산시설 및 환기 (0) | 2022.05.05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2. 동물복지 (0) | 2022.05.04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1. 동물행동 (0) | 2022.05.03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0. 동물산업과 신재생에너지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