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청소년복지의 실천적 접근
![](https://blog.kakaocdn.net/dn/6jVjI/btrLD0OI13U/ZetC0kgwTqAjbJbkbNib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RLhW/btrLHkR8ILa/Av4OK5Pxn5GSEgWW22Iblk/img.jpg)
1. 청소년상담
1) 청소년상담의 개념과 목표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의 한 분야로 전문가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과 적응의 문제를 다루는 전문영역
- 청소년상담의 목표는 변화를 촉진하는 것, 적응기술을 증진하는 것 및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임
2) 청소년상담의 방법
- 대면상담과 온라인통신 등의 매체활용 상담이 있고, 대담자의 수에 의해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으로 나뉨
3) 청소년상담의 진행과정
- 계약단계, 계획단계, 개입단계 및 평가단계 등 4단계로 구분됨
4) 청소년상담자의 역할
- 최근 예방적 접근이 강조되면서 청소년상담자는 코치로서 교육, 자문이나 컨설팅, 조정, 평가, 프로그램 개발 등 통합적인 역할 수행을 요구 받고 있음
- 청소년상담자는 자기 자신이 상담의 도구가 되는 만큼, 인간적인 면, 전문적인 면에서 성숙함과 전문성이 요구됨
5) 청소년상담기관과 프로그램
- 1990년 체육부에 청소년종합상담실 설치 이후 청소년상담 본격 시작
- 1991년 청소년기본법을 통하여 청소년종합상담실이 법인화되어 청소년대화의 과장으로 개원하였고, 1999년 3월 한국청소년상담원으로 명칭변경
- 2012년 8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으로 명칭 변경
- 이에 앞서 2005년 청소년보호와 육성 업무가 국무총리 산하 청소년위원회로 통합되면서 시도청소년종합상담실은 청소년상담지원센터로, 시 · 군 · 구 청소년상담실은 청소년지원센터로 명칭 변경. 이후 2012년에 청소년상담복지센터로 명칭변경됨.
6) 청소년상담복지센터특성
- 150개소 중 56개소(41%)는 시 · 군 · 구에서 직업 운영, 88개소(59%)는 청소년유관단체에서 위탁운영
- 헬프콜 청소년전화 1388, 문자상담(#1388),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CYS-Net, 찾아가는 상담전문가인 청소년동반자(YC) 등 상담활동과 긴급구조, 일시보호사업, 취약계층청소년 자립지원 프로그램인 두드림 존, 인터넷 중독 청소년 치료를 위한 레스큐 스쿨, 심리상당 및 놀이치료, 또래상담사업 등 운영
7) Wee 프로젝트
- 학교 상담실인 Wee클래스는 3,170개소, 시도 교육청 단위 Wee센터는 126개소, 장기기숙형 대안학교인 Wee스쿨은 7개가 운영
2. 청소년활동
1)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목표
- 청소년의 균형있는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활동과 이러한 활동을 소재로 하는 수련, 교류 및 문화활동 등을 말함
- 청소년활동은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활동으로, 성인기에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의 계발을 목표로 함
2) 청소년활동의 유형
(1) 창의적 체험활동
-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 활동 내용은 학생, 학급, 학년,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운영할 수 있음
- 2011년 8월부터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에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센터 88개가 설치, 운영되고 있음
(2)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
-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는 국가 및 지자체, 개인, 법인, 단체 등이 실시하고자 하는 청소년수련활동에 대한 국가 인증제도
(3)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 포상제는 비경쟁성, 평등성, 균형성, 성취지향성, 과정 중시성, 지속성 등의 10가지 기본 이념을 바탕으로 하며, 참여 청소년이 자기 주도성과 도전정신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시킬 수 있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포상활동은 봉사, 자기개발, 신체단련, 탐험 등
(4) 자원봉사활동
- 청소년봉사활동 포털사이트에 등록된 봉사활동 참여 청소년은 264만 명에 달하며, 터전 수는 8,600건,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운영 건수는 15만 건을 넘어서고 있음
-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공동체의식 함양에 직접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5) 교류활동
- 넓은 의미에서 청소년 교류활동은 청소년의 지역 간, 남북 간, 국가 간의 직접적 접촉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지적, 신체적, 정신적인 면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목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청소년 집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인적, 물적, 문화적, 사상적인 교류활동을 포함함
(6) 문화활동
- 청소년 문화활동은 청소년활동진흥법, 문화예술교육진흥법을 근거로 하며 청소년문화존, 청소년동아리 활동지원 등의 사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3) 청소년 활동시설
(1) 청소년 수련시설
- 수련활동에 필요한 여러 시설, 설비,프로그램 등을 갖추고 청소년지도자의 지도하에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수련활동을 실시하는 시설로 숙박할 수 있는 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문화의 집 등이 있음
(2) 청소년 이용시설
- 문화예술시설, 공공체육시설, 청소년이 이용하기 적합한 공용시설과 다른 법령에 의하여 설치된 기타 이용시설 등이 해당 됨
(3) 청소년활동 지원 기구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청소년활동에 관한 종합적 안내 및 서비스 제공, 청소년육성에 필요한 정보 등의 종합적인 관리 및 제공,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 운영,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국가가 설치하는 수련시설에 대한 유지 및 관리 등의 사업을 담당
-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 중앙정부의 청소년정책 및 제도의 전달기관으로 시도와 시 · 군 · 구 단위에 설치
- 수련시설협회: 수련시설의 사업과 활동에 대한 협력, 청소년지도자 연수 및 교류 등을 통해 수련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담당
3. 지역사회 기반의 청소년 통합지원
1)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
- CYS-Net은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위기청소년이 발견되면 상담을 통해 문제를 평가한 다음,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 협력 속에서 적절한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전달하는 지원체계를 말함
2) 청소년 방과 후 보호사업
(1) 여성가족부의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 2005년 46개소에 대한 시범사업이후 2016년 현재 전국 250개소 운영중. 2011년 청소년기본법 개정으로 법적근거 마련됨
- 저소득층, 한부모, 조손, 다문화, 장애, 세 자녀이상 가정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대상
(2) 지역아동센터
- 2004년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기존의 공부방이 지역아동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어 국비로 운영비를 지원받음
- 보호, 교육, 문화, 정서지원 및 지역사회연계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용시설임
(3) 드림스타트 사업
- 저소득 취약계층 가정의 12세 이하 아동과 가족 임산부를 대상으로 지역내 학교 및 복지시설, 보건소 등의 의료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청소년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1장. 청소년복지의 이해 Ⅰ (1) | 2022.09.09 |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5. 청소년 복지의 정책적 접근 (2) | 2022.09.08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3. 청소년복지의 이론적 접근 (0) | 2022.09.06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2. 청소년복지의 이해 (0) | 2022.09.06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1. 청소년복지의 이해(1)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