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1ewAv/btrdqKEwZm3/4UptYxaradKn6kjyk8k3w1/img.jpg)
퇴비란....
고형의 유기물 비료로서 작물의 영양 공급과 토양 개량을 목적으로 토양 표면에 직접 시비하는 거름을 말합니다.
퇴비는 예전에는 그 숙성도에 따라 부숙 퇴비, 미숙 퇴비, 녹비 등으로 나누어 왔습니다.
부숙이란 부패 숙성이란 뜻으로 장시간에 걸쳐 퇴비를 쌓아두면 초기의 악취가 사라지고 산흙 냄새가 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부숙 퇴비는 가용성 유기영양분이 그 제조 과정에서 많이 사라지고 난분해의 유기물이 많으므로 대량으로 사용해야 효과가 납니다.
즉 영양면에서는 화학 비료와 비슷한 작용을 하며 그 함유량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난분해의 유기물이 토양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습니다. 그러나 부숙퇴비의 지속적 사용은 토양 해충과 염류 축적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EUZ9/btrdqi2zgRY/K94lZm5ycwyT3slGLq6yyk/img.jpg)
미숙퇴비란 퇴비가 부숙이 완전하지 않아 악취나 가스가 아직 발생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잘못 사용하면 작물이 가스 피해로 고사할 수 있으며 유해미생물의 급격한 번식으로 작물의 산소 부족이나 질소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미숙퇴비의 사용은 작물이 없는 시기를 선택해 사용해 왔습니다.
녹비란 위의 두가지가 축분 혹은 마른 식물체 등을 이용하는데 반해 살아있는 식물을 비료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말 그대로 푸른 비료입니다. 주로 연작 장해가 일어나는 토양에 토양 회복을 위하여 콩과 식물을 심어 그대로 푸른 상태에서 갈아엎어 녹비로 사용해 왔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미숙퇴비와 같은 원인으로 잘 이용하지 않아 왔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oyiq2/btrdptp0Aj4/nxC7wrt7KifpemnszhZat0/img.png)
액비란 액체의 비료인데 엽면을 통한 영양 공급을 목적으로 하며 속효성(즉시 효과가 나타남)이 특징입니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부숙시키면 영양성이 떨어지고 미숙하면 작물에의 악영향이 염려돼온 것이 기존의 퇴비 문제입니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5일에 청약하는 신혼부부 라면 꼭 신청해야하는 신혼희망타운의 모든것을 간단하게 정리! (0) | 2021.10.22 |
---|---|
9.6일 서울 강서구에서 뜬 특별공급 우장산 한울에이치밸리움 분석 정리 (0) | 2021.09.05 |
집사라면 꼭 알아야 할 고양이가 먹어도 되는 음식과 안되는 음식을 알기쉽게 설명드립니다 (0) | 2021.08.21 |
상대방이 내 전화번호를 차단했는지 알아보는 몇 가지 유효한 방법과 대처법을 소개드립니다. (0) | 2021.08.20 |
충남에서 주목해야 할 천안/아산의 2021년 하반기 청약예정 아파트와 특징정리 (0) | 202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