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론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6. 부모자녀 갈등과 법적 권리 · 의무 2

반응형

16. 부모자녀 갈등과 법적 권리 · 의무 2

2. 부모자녀간의 갈등


1) 세대차이로 인한 갈등

ㆍ연령차이 : 부모와 자녀 간에 평균 20~30년의 간격
ㆍ현대사회의 변화와 사회적ㆍ문화적 차이
ㆍ생활 태도의 차이


(1) 생리적 차이
① 부모 : 성인기 ~ 장년기 또는 노년기, 퇴보적 발달과 안전추구
② 자녀 : 영유아기~성인초기, 신체적 힘과 의욕의 발휘


(2) 부모의 현실주의와 자녀의 이상주의
① 부모 : 현상주의. 생활원칙과 태도에서 어느 것이 더 많은 사람에게 적용되며 실제적인가.
② 자녀 : 이상주의. 이상적 원칙과 전망에 따라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현실의 구속을 벗어나 전진하려는 경향.


2) 부모의 권위로 인한 갈등
(1) 공통 규범의 감소
① 자녀세대는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과 사회적 규범을 빨리 수용하지만 부모세대는 전통적인 것에 집착함.
② 상호 동일시 기반 약화


(2) 교육기능의 사회화와 부모권위 제한
① 교육기관이 전문화됨으로써 자녀들은 일찍부터 학교에 다니며 부모에게서 배우지 못하는 지식을 배우게 됨.
② 아동기까지는 장악하고 있었던 부모의 전체적 권위가 약화되고, 또한 부모자녀간에는 학문과 지식에 있어 점차
차이가 많아짐.


(3) 부모의 권위와 지배의 재조정
① 자녀들이 부모의 전적인 보호와 권위를 필요로 하는 유아기와 아동기를 벗어나서 자립적 행동의 범위를 점차
확대함에 따라 부모는 자신들의 권위행사를 서서히 절제하고 조정해야 함.
② 부모가 노령기에 이르면 부모들은 자녀를 보호하고 지배하던 입장에서 자녀들에게 의지해야 할 종속적 지위로 전환.


(4) 감정적 관계의 갈등
① 핵가족의 단합을 위하여 부모자녀간의 동일화와 융합 요구.
② 자녀들의 대외적 관심과 접촉으로써 부모의 지배와 간섭을 벗어나려는 요구.


(5) 성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상이한 태도와 기대
① 부모들은 사회가 기대하는 도덕성으로 자녀의 성행위 제한, 통제.
② 자녀들은 성적 욕구의 자유로운 충족이 불가능하므로 불만과 긴장 누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