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가족의 유형과 기능
1. 가족의 형태
1) 가족의 유형
(1) 가족구성원 수에 따른 분류
① 소가족과 대가족
❶ 소가족
- 부부의 결혼에 의하여 성립되고, 그 한쪽 또는 쌍방의 사망에 의하여 소멸되는 당대뿐인 가족으로서,
초세대적(超世代的)으로 연속되는 것이 아니므로 1대가족 또는 부부가족이라고도 함.
- 5인 이하의 가족.
(두산백과 doopedia)
❷ 대가족
- 원칙적으로 다인수 가족을 말하며, 6인 이상의 가족구성원수를 말함.
* 대소의 개념으로 구분할 때는 ‘식구의 수’와 ‘혈연관계의 범위’를 모두 명시
(2) 혈연관계의 범위에 따른 분류
➀ 핵가족(nuclear family)
❶ 부부와 그들의 미혼 직계자녀로 구성된 가족.
❷ 자녀들은 결혼 후 부모의 집을 떠나는 것이 원칙.
❸ 부모와 자녀의 3세대로 구성.
❹ 요소가족(elementary family), 부부가족(conjugal family)
② 확대가족(extended family)
❶ 자녀가 결혼 후에도 그들의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유형.
❷ 직계가족(stem family) : 가족이 종적으로 확대된 가족.
❸ 방계가족(collateral family) : 가족이 횡적으로 확대되어서 같은 세대의 형제들이 결혼 한 후에도 그들의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
❹ 복합가족(joint family) : 확대가족의 제일 윗세대가 사망하여도 그의 아들들이 계속하여 한 가족을 이루고 사는 가족.
(3) 가장권과 권위의 소재에 따른 분류
① 부권제(patriarchalism)
❶ 가장의 권위가 부계에 속함.
❷ 동의어 : 가부장제.
❸ 가부장권은 혈통계승과 가계가 장남상속권과 함께 계승되어, 부자의 혈통을 따라 가족이 계승되고, 장남이나 아들 한
사람에게만 주로 가산이 상속되는 특징이 있음.
② 모권제(matriarchalism)
❶ 가장의 권위가 모계에 속함.
❷ 가족의 혈통계승과 가산의 상속이 모계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여자들이 가족의 통솔권을 대체적으로 장악함.
❸ 대외권은 어머니의 남자형제나 다른 남자가 대외권을 가지고 집밖의 일을 처리하며, 숙부권이 분립되어 있음.
③ 동권제(equalitarianism)
- 가장의 권위가 양계에 공동으로 속함.
(4) 부부의 결합형태에 따른 분류
① 배우자의 수
❶ 단혼제- 일부일처제(monogamy) : 부부가 각기 1인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
- 비교 : 연속적 단혼제
❷ 복혼제(polygyny) : 남편이나 아내가 동시에 한 사람 이상의 배우자와 결혼생활을 할 수 있는 제도.
- 일부다처제(polygyny) : 남자가 1인, 여자가 다수인 경우.
- 일처다부제(polyandry) : 여자가 1인, 남자가 다수인 경우.
② 가계의 계승
❶ 부계제(patrilineal system) : 가명과 친족의 계보가 부의 혈통에 따라서 계승.
❷ 모계제(matrilineal system) : 가명과 친족의 계모가 모의 혈통에 따라서 계승.
❸ 양계제(bilineal system) : 어느 한 혈통에만 치우치지 않고 가명이나 가산의 상속이 혈통보다 개인 위주여서 형편에
따라 양계 어느 쪽에서나 계승자를 택할 수 있는 경우.
③ 거주제
❶ 부거제(patrilocal)ㆍ시가살이
- 결혼 후 여성이 친정집을 떠나서 남편의 집으로 입주하여 시가 식구들과 동거하는 제도.
- 시가의 근처에 살면서 시부모의 지배와 간섭을 받는 것도 이에 속함.
❷ 모거제(matrilocal)ㆍ처가살이
- 결혼 후 남편이 아내의 집으로 입주하여 처가 식구들과 함께 사는 것.
- 함께 살지 않더라도 처가의 근처에 살면서 처부모의 지배와 간섭을 받는 것.
- 주로 모계가족에서 보임.
- 비교 : 모거신거
❸ 신거제(neolocal)ㆍ단가살이
- 결혼한 부부가 새살림을 차려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
- 시가나 처가의 어느 쪽에 의존하거나 지배를 받지 않고 단독으로 가정을 꾸려 가는 경우.
- 비교 : 양거제(bilocal system)
2. 가족의 기능
1. 가족기능
1) 가족기능의 개념과 유형
(1) 가족기능의 다양한 개념
① 김주수(1982) : ‘하나의 소집단으로서의 가족의 역할이 무엇이냐’를 뜻함.
➁ 오명근, 이종수(1989) : 사회를 존속시키고 가족성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가족이 수행하는 활동이나
서비스.
③ 한남제(1984) : 가족기능은 사회지향적인 면과 개인지향적인 면을 모두 가진 야누스(Janus).
⇨ 가족기능이란 가족이 수행하는 역할, 행위로서의 가족행동.
(2) 가족기능의 유형
① 고유의 기능(proper function)
ㆍ가족구성원에 대한 대내적인 기능 : 성‧애정의 기능, 생식‧양육의 기능
ㆍ사회 전체에 대한 대외적인 기능 : 성적인 통제, 종족보존(자손의 재생산)의 기능
② 기초기능(basic function)
ㆍ대내적 기능 : 생산의 기능, 소비의 기능
ㆍ대외적 기능 : 노동력의 제공, 생활보장 및 경제 질서 유지의 기능
③ 부차적 기능(파생기능, derivative function)
ㆍ대내적 기능 : 교육의 기능, 보호의 기능, 휴식의 기능, 오락의 기능, 종교의 기능
ㆍ대외적 기능 : 문화전달의 기능, 사회 안정화의 기능
(3) 현대가족의 기능
① 부부 결속의 구축 :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부부관계를 토대로 한 부부 상호 간의 정서적 결속은 가족생활의 기반이
됨.
② 생식과 성관계 : 피임법의 발달과 더불어 섹슈얼리티가 생식과 구분되기는 하지만, 아직도 이는 생물학적 토대를
가지고 있으며 배우자들 간의 연결고리로서의 핵심 기능을 수행함.
③ 가족구성원에 대한 이름과 지위 부여 : 결혼한 부모에게서 태어나는 아이는 자동적으로 가족의 이름과 그에 따른
법적 자격을 부여받음.
④ 아동과 가족구성원에 대한 기본적 보호 : 가족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아동보호는 가족의 기본 책임임. 또한 여성의
사회활동이 증가하면서 요보호 가족구성원을 보호하는 데 점차 역할의 분담이 필요해지고 있음.
⑤ 아동의 사회화와 교육 : 가족은 아동을 교육하고 사회화하는 과업이 있음. 아동은 가족의 사회화 기능을 통해 책임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며 특정 문화에서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함.
⑥ 가족구성원의 보호 : 폭력, 심리적‧신체적‧성적 폭력으로부터 취약한 가족구성원을 보호하는 것.
⑦ 가족구성원에 대한 정서적 지지 및 레크리에이션 : 가족구성원에 대한 정서적 지지는 주로 여성이 제공해 왔음.
오늘날 많은 여성이 가정 밖에서 일하고 있지만, 여성은 여전히 가족 간의 긴장을 해소하고 남편에게 휴식처를 제공하며
자녀에게 위안을 주는 일차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⑧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 : 가족구성원들이 가정 밖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가족은 생산단위에서 소비단위로
전환됨. 그러나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가족은 많은 기본적 서비스의 주요 제공자임.
'가족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6. 현대사회와 가족 (1) | 2023.09.19 |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5. 한국 가족의 특성 (0) | 2023.09.18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4. 가족발달과 가족가치 (0) | 2023.09.17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2. 가족관계의 이론적 접근 (0) | 2023.09.15 |
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 가족과 가족관계, 가족관계학 (0) | 202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