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4.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2

반응형

4강.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2

1 지능의 양적발달

1) 지능발달의 종단적 연구

버클리 성장연구(Growth Study) : Berkeley대학의 Bayley (1956)가 주도한 지능에 관한 장기적 종단적 연구

 주요 연구결과

역 가속 현상 : I.Q.는 출생 후 초기 수년에 걸쳐서 가장 크게 변화

⇨ I.Q.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일생 동안 계속 성장 · 발달 : Cattell의 결정성 지능 영역 2 : 정서의 사고 촉진

⇨ 아동기의 지적 발달은 각 단계에 따라 질적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남 : Piaget의 견해와도 일치

 

2 지능의 질적 발달

1) Piaget 의 인지발달단계이론

(1) 개관

 Piaget는 인간의 지능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세 자녀를 어릴 때부터 관찰하고 실험하는 임상적 기술방법을 통해

인지발달에 관한 단계이론을 펼침

 이론적 전제

❶ 유기체는 태어날 때부터 ‘적응’하려는 힘을 가지고 태어남

❷ 지적인 적응이란 인식 주체와 인식대상의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넓게는 생물학적 적응의 한 가지

❸ 인식은 점진적인 진화의 결과

❹ 유기체의 적응은 균형상태(equilibrium)를 추구하는 경향성이 있음

(2) 지능의 기능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

✦ 지능의 기능적 측면 : 적응기제

 인간의 (인지)발달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수동적으로 찍어내는 것 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감각적 인상을 변형하고 인지구조 속으로 조 직하는 것

동화 (assimilation)
외부 요소들을 내부 구조 속으로 통합하는 것
조절 (accommodation)
환경적인 영향의 결과로 개인의 조직이 수정되어 가는 과정

동화와 조절은 전 생애에 걸쳐서 나타나며, 기능적으로 변하지 않고, 그 둘의 균형상태를 추구함

✦ 지능의 구조적 측면 : 도식과 구조

도식 (schema)
유기체가 외계의 사물을 인지하고 대응하는데 사용하는 ‘지각의 틀’, ‘반응의 틀’, ‘세상 바라보는 눈’
구조 (structure)
발달 초기에는 조작적 도식에 머무르나 발달 후기에 인지적 구조를 갖추게 됨

도식과 구조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질적으로 변화하며, 인지구조의 질적 차이로 인해 발달단계가 구분됨

(3) 인지발달단계

❐ 감각동작기 (sensory-motor period, 0~2세)

 언어가 발달하기 전으로, 주로 감각-동작에 의한 학습을 함

반사적 행동 (0~1개월)과 협응능력의 발달

 언어의 미발달로 인해 직접 다루지 않는 사물의 존재 인식 못함(1~4개월)

⇨ 이 단계의 마지막 시기에 오면 대상항구성(눈앞에서 물체가 사라지더라도 그것이 다른 어디엔가 계속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의 개념을 발달시킴

❐ 전 조작기 (pre-operational period, 2~7세)

 언어의 발달

 자기 중심성 (egocentrism) cf. 집단독백

 중심화 (centration)

 불가역성 (irreversibility)

❐ 구체적 조작기 (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2세)

 언어의 복잡화

 탈 중심화 , 논리적 사고 가능

보존개념의 발달

분류조작 : 두 가지 이상의 사물로부터 공통성을 발견해 그 공통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

서열조작 : A>B, B>C ➔ A>C라는 것을 추론

❐ 형식적 조작기 (formal operationall period, 12~17세)

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고 사물의 인과관계를 터득함

 가설 검증력, 추리력, 응용력, 조합적 사고의 발달

❋ 후 형식적 조작기 (20세 전후~)

⇨ 추상적 수준을 넘어서서 융통성 있고 개방적이며 현실적응적인 사고를 할 줄 아는 단계

⇨ 논리적 요소를 갖춘 객관적 접근과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경험, 느낌, 직관을 반영한 주관적 접근결합해서 성숙한 사고를 할 수 있음

2) Piaget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❶ 아동은 성인의 축소판이 아님

❷ 지식은 아동이 직접적으로 참여해서 얻는 것임

❸ 지식은 전체적인 구조로서 형성되고 발전됨

❹ 발달단계에 적합한 과제를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임

❺ 사람은 누구나 지적 호기심이 있기 때문에 알지 못하고는 못 배기는 상황을 만들어 주어야 함.

 

3 창의력의 계발과 교육

1) 지적 특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1) 지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지능은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되어옴

 하지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능과 학업성취 간의 상관은 낮아지고, 따라서 지능이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양도 점점 적어짐

(2) 창의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Getzels와 Jackson의 연구 (1962)

높은 지능을 소유한 집단과 높은 창의력을 소유한 집단의 학업성취 크게 차이가 없음

높은 지능을 소유한 집단과 높은 창의력을 소유한 집단의 성취동기 차이가 없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교사는 창의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I.Q.가 높은 학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2) 창의력의 의미

(1) 지능, 창의력, 지혜

 지능은 창의력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님

⇨ 대개 I.Q. 120이하에서는 지능과 창의력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지만, 그 이상의 I.Q.에서는 거의 상관이 없거나 오히려 부적 상관이 있음

창의력 : 관습 탈피, 심미적 상상력, 성취동기 등 다분히 정의적인 요인들이 많이 포함

지혜 : 남의 이야기를 현명하게 들을 줄 아는 총명함, 옳고 그름에 관한 판단력 등 다분히 윤리적, 실천적인 요인이 포함

(2) 창의력의 의미

새로운, 보람 있는 것을 만들어 내는 힘

 창의적인 천재만이 아니라, 천재까지는 아니더라도 여러 영역에서 탁월한 창의적 업적을 이룬 사람이나 보통 사람에게서도 발휘될 수 있는 능력

창의 (創意)
새로운 보람 있는 것을 만들어 내려는 의지 (意志)의 뜻이 강함
창조 (創造)
새로운 보람 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과정과 결과의 뜻이 강함

3) 창의력의 다양한 관점

(1) 천부론 (天賦論)

 역사적으로, 그리고 지금도 제일 흔한 관점

창조적 천재들의 독특한 능력은 하늘이 내린 것

 신비주의적 사고방식 : 어떤 신의 계시, 신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떤 영감(靈感), 어떤 초아적(超我的)인 힘에 의해서 창조가 돌출

⇨ 이러한 신비론은 창의력을 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견지와는 상반됨

(2) 정신분석학적 견해

 창의적 사고는 무의식적 사고과정 속에서 잉태됨

Freud : 문필가나 예술가의 창의적 활동은 그의 개인적인 무의식 세계 속의 욕망을 사회적인 의식의 세계가 받아들일 수 있는 형식으로 표현하는 일종의 승화작용

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과학적 심리학의 접근과는 색다른 접근법

 정신분석학적 연구는 거의 전부가 탁월한 거장을 그 대상으로 했고, 주로 사례연구 방법에 의존했다는 한계도 있음

(3) 심리측정론의 관점

Guilford : 창의력을 구성하는 몇 가지 기본적인 능력들이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그런 능력들은 천재 같은 특출한 인물에게만 아니라 보통 사람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을 것 이라고 전제

 그 능력들은 지필검사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음

(4) 인지론의 해석

 창의적 사고과정은 보통의 사고과정과 근본적으로 같은 것

Weisberg: 창의적인 문제해결은 보통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작용하는 여러 인지작용들의 계속적 누적이 이루어내는 새로운 문제해결에 불과함

더 창의적인 사람과 덜 창의적인 사람의 차이는 어디에서 연유하는지에 대해 인지론자들은 아이러니하게도 그 답을 정의(情意), 동기, 성격 등 인지 외적인 요인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함

(5) 사회체제론의 접근

 창의력에 관한 천부론, 정신분석론, 심리측정론, 인지론은 모두 ‘개인’에 초점을 둔 견해들

 개인의 창의적 능력, 성격, 동기, 사고과정만 아니라, 그의 주변의 여러 사회체제의 특성도 창의적 활동과 업적의 출현에 크게 관계된다고 보는 관점

대표자 : GardnerCsikszentmihalyi

Csikszentmihalyi : 창의력은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사람들의 생각과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것

 

4) 창의력의 계발과 교육

(1) 창의력 계발 프로그램

❐ Osborn의 브레인스토밍 프로그램

 사람의 사고에는 판단적(judicial)사고와 창의적(creative) 사고가 있다고 전제

 Brainstorming의 원칙

⇨ 비판 배제

⇨ 자유분방한 아이디어 환영

⇨ 아이디어는 많이 산출

⇨ 여러 아이디어를 결합, 개선할 수 있는 길 찾음

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문제이해


아이디어 산출


행동 계획
문제상황 찾기
자료찾기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기
아이디어 산출
해결책 찾기
받아들일 근거 찾기

❐ de Bono의 프로그램

 사고력을 종적(vertical) 사고(비판적, 수렴적 사고)와 횡적(lateral) 사고(창의적, 확산적 사고)로 나눔

 네 번째 단원이 창의력 향상 프로그램

⇨ 보통 생각해내기 어려운 색다른 아이디어를 생각 해내는데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요령, 기법, 전략 을 연습하는 10개의 과제가 있음.(Osborn의 brainstorming 프로그램과 유사)

❋ 창의력 계발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❶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창의력 이론을 배경으로 개념화된 것이라기보다는 그저 직관적인 발상에 의한 묘안일 뿐이라는 비판

❷ 창의력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사전-사후 비교만 있을 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는 없다는 비판

❸ 몇 단계, 몇 단위의 훈련 프로그램으로 단기간에 창의력이 훈련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이미 창의력이 아니라는 비판

(2) 창의력이 교육

창의력을 기르는 첩경은 없음

 꾸준히 아이들의 호기심과 상상을 자극하고, 한 영역의 기초지식과 기량을 길러주고, 높은 성취의욕을 고취하고,

강한 내재적 동기를 육성하고, 자율과 자기관리 능력을 배양해주면서, 가끔 망중한의 시간을 마련해주는 길 뿐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