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1


1. 지능의 의미와 구조
1) 지능의 의미
(1)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능력으로서의 지능
Binet(1905)
|
❱ 일정한 방향을 설정 • 유지하는 경향성, 소망하는 결과를 성취할 목적으로 순응하는 역량,
그리고 자기비판의 힘
|
Terman(1916)
|
❱ 추상적 사상을 다루는 능력
|
Wechsler(1942)
|
❱ 유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종합적인 능력
|
(2) 과정 또는 조작으로서의 지능
Piaget(1950)
|
❱ 외부의 환경적 변화에 대응하고, 내부의 사고와 행동을 구성해나가는 보편적인
순응행동의 한 특수한 형태
|
순응행동은 외부요소들을 유기체의 내부 구조 속으로 통합하는 동화(assimilation)와 환경적 영향의 결과로 개인의 조직이 수정되어가는 과정인 조절 (accommodation)이라는 두 개의 상보적인 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지능은 바로 유기체의 이러한 순응행동의 특수한 형태임
2) 지능의 구조
(1) 개관
지능에 관한 학자들의 관심은 인간의 지능이 어떤 능력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것은 어떻게 발달하는가에 대해 집중되어 옴
지능의 구조에 관한 전통적인 이론은 크게 요인이론과 위계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음
요인이룐
|
위계이론
|
지능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둠
|
지능 요인 간에 공유되거나 중첩된 변인을 종합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요인을 가정하고 있는 요인
|
(2) 요인이론

Spearman(1904)
|
❱ 한 개의 일반요인(g-factor)과 여러 개의 특수요인(s-factor)으로 구성
|
일반요인 : 여러 가지 다양한 지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고르게 관여하는 일반적인 능력
특수요인 : 특정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만 주로 활용되는 특수한 능력
Thurstone(1938)
|
❱ 일곱 개의 기초정신능력(Primary Mental Ability : PMA)으로 구성
|
일반 지능을 측정한다고 추정되는 57개의 지능검사 결과를 多 요인분석 (multiple factor analysis) 방법을 동원하여 분석함
7 PMA : 언어이해력, 추리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언어유창성, 지각속도, 기억력
Guilford(1967)
|
❱ 내용, 조작, 산출 세 차원의 조합에 따라 180개의 능력으로 구성
|
지능의 구조 (Structure of Intellect: SI) 모형
내용차원 (5) : 시각적, 청각적, 상징적, 의미론적, 행동적
조작차원 (6) : 평가, 수렴적 사고, 확산적 사고, 기억파지, 기억저장, 인지
산출자원 (6) : 단위, 유목, 관계, 체계, 변환, 함축
(3) 위계이론
Hebb(1949)
|
❱ 신경생물학적 관점
❱ 지능 A, 지능 B
|
지능 A : 직접적으로 관찰이 불가능하지만 유전인자에 의해 지배되는 선천적, 생물학적 능력
지능 B : 경험과 학습에 의해 획득된 능력
⇨ Spearman의 일반지능을 지능 A(유전형)와 지능 B(표현형)로 나누어 이론화한 것
Cattell(1963)
|
❱ 유동성(fluid) 지능, 결정성(crystallized)지능
|
유동성 지능 : 학습된 능력이 아니면서 비교적 모든 문화권에 관련된 보편적인 문제해결능력
⇨ 언어 유추력, 단순 암기력, 도형지각능력 등
결정적 지능 : 학습된 능력
⇨ 어휘력, 수리력, 일반적 지식 등
2. 지능의 측정
1) 개인용 지능검사
(1) 비네-시몽(Binet-Simon) 검사
최초의 개인용 지능검사
1905년,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하여 제작됨
정신연령 (mental age) 이라는 개념을 도입함
⇨ 정신연령은 그 연령대에 있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풀 수 있는 과제를 어느 연령대 문제까지 해결했는지에 따라 가늠됨
예) 10세 아동이 8세 연령대 문제까지밖에 풀지 못했다면 정신 연력은 8세
(2) 스탠포드-비네 (Stanford-Simon) 검사
1916년, Stanford 대학의 Terman이 비네검사를 개정
비율 I.Q. 도입 : I.Q. = 정신연령 / 생활연령 * 100
비율 I.Q.의 적용은 20세 이전의 사람에게만 적합한데, 그 이유는 모든 검사문항에 정확히 답을 해도 정신연령은 최대 20세까지 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
⇨ 스탠포드-비네 검사는 1937년 두 개의 동형검사로 개정되었는데, 비율 I.Q. 대신 편차 I.Q.를 채택하고 있음
➝ 국내의 <고대-비네 검사> (정용신, 1960)
(3) 웩슬러(Wechsler) 지능검사
Binet 검사가 언어와 언어적 기술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었다 생각하여 비언어적 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수행검사를 개발하여 추가한 것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
편차 I.Q. 도입 : I.Q. = 100 + Z (표준점수)*15
⇨ 편차 I.Q. : 한사람의 지능을 그와 같은 연령집단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로 규정한 것으로서, 대개평균 100, 표준편차 15인 정산분포를 가정하고 산출한 I.Q.
2) 집단용 지능검사
(1) 육군 알파, 육군 베타 검사
집단용 지능검사 : 한 명의 검사자가 여러 명의 피검사자를 검사
제 1차 대전시 미국에서 모병을 할 때 어느 정도의 지적인 능력이 있는 자원을 선발할 목적으로 제작
육군 알파 (Army α) 검사 : 언어성 검사
육군 베타 (Army β) 검사 : 비언어성 검사
(2) 국내의 집단용 지능검사
1954년, 정범모 박사의 <간편지능검사> 이후 다양한 검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
집단용 지능검사는 대부분 Thurstone의 7PMA 중에서 일부능력만 측정
편차 I.Q.를 적용
3) 지적 장애와 영재성
(1) 지적 장애와 영재성의 판단
통계적 기준 : 지능검사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즉, 대부분의 지능검사에서 70점 이하는 지적장애로, 130점 이상은 영재성(gifted)으로 판정함
⇨ 그러나 지능검사를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 지적 장애나 영재성 여부를 단정하지는 않으며, 일상생활 • 학교생활과 학업수행 등도 중요한 기준이 됨
(2) 지적 장애의 수준
DSM-IV에서는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라 했으나 이러한 용어가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초래한다는 비판이 일면서 DSM-5에서는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라 함
⇨ 가벼운 정도(Mild) : IQ 50∼55에서 70∼75
⇨ 중간 정도(Moderate) : IQ 35∼40에서 50∼55
⇨ 심한 정도(Severe): IQ 20∼25에서 35∼40
⇨ 아주 심한 정도(Profound): IQ 20∼25 이하
4) 지능검사 활용 시 유의 사항
최신의 규준을 가진 검사인지 확인
과잉해석을 피할 것: 맹신과 불신 금지
점수 띠로 생각할 것
검사 받을 때의 개인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여 결과를 해석
검사요강을 주의 깊게 검토하여 해석할 때 활용
I.Q.에 대한 건전한 회의와 의심 필요
3. 최근의 지능이론
1) 다중지능이론
(1) 개관
Gardner(1983)는 종래의 지능이론들이 언어적 지능과 논리수학적 지능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그 외의 지능이 우수한 아동의 능력을 학교나 가정에서 인정하거나 개발해주지 못했다고 주장함
핵심 주장은 ‘다방면에서 각기 머리가 좋을 수 있다’는 것
(2) 일곱 가지 지능
Gardner(1983)는 인간의 지적 활동을 서로 독립적인 일곱 개의 분야로 나눈 후 각 분야에 대응하는 일곱 가지의 지능을
구분하였으며, 각 지능을 대표한다고 생각되는 위대한 인물들의 생애를 집중적으로 조명함

언어적 지능
|
언어분석력, 어문자료 이해 능력, 은유 이해 능력
|
Eliot
|
논리수학적 지능
|
산수 연산, 상징적 논리력
|
Einstein
|
공간적 지능
|
숨은 그림 찾기, 사물을 머릿속에서 조작하는 능력
|
Picasso
|
신체운동적 지능
|
신체를 완벽하게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
Graham
|
음악적 지능
|
음악과 관련된 모든 재질
|
Stravinsky
|
대인간 지능
|
타인의 동기, 기분, 의도를 파악하고 구분 짓는 능력
|
Gandhi
|
개인 내 지능
|
자기의 감정, 동기, 의식을 이해, 분석, 표현하는 능력
|
Freud
|
Gardner(1993)는 앞의 일곱 가지 지능 이외에 자연관찰 지능(naturalist intelligence)과 실존지능(existentialist intelligence)을 추가함
자연관찰지능
|
동식물이나 주변 사물을 관찰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능력
|
실존지능
|
인간의 존재, 삶과 죽음, 희노애락, 인간의 본성 및 가치에 대해 철학적, 종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
2) 삼원지능이론
(1) 개관
Sternberg(1986)는 기존의 지능이론이 지능의 근원을 개인, 행동, 상황 중 일부로부터 파악하려 했기 때문에 불완전한 이론 이라고 가정하고, 성분, 경험, 맥락의 세 하위 이론으로 구성된 종합적 지능이론을 주장함
지능의 3요소 : 성분적, 경험적, 맥락적 요소
⇨ Sternberg(1996)는 각 요소의 역할이 강하게 나타난 분석적이고,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능력을 성공지능(successful intelligence) 이라고 명명함
(2) 지능의 3요소
성분적 요소
|
❱ 지능을 원초적으로 구성하는 성분
❱ 분석적 사고력이 높은 사람
|
경험적 요소
|
❱ 경험을 통하여 생소한 과제를 통찰력 있게 다룰 줄 아는 것
❱ 창의력이 높은 사람
|
맥락적 요소
|
❱ 현실상황에서의 적응력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전통적인 지능검사로 측정한 I.Q.나 학업성적과는 무관한 능력
❱ 어떤 사태에든 잘 적응하는 사람
|
3) 감성지능
(1) 개관
Goleman(1995)의 <감성지능> : 전통적인 지능검사나 학업능력검사로 측정한 인지적 능력보다는 감성지능이 인간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
감성지능 :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정서를 정밀하게 들여다보고, 그것들의 차이를 변별하며, 생각하고 행동할 때 정서적인
정보를 활용할 줄 아는 능력 (Mayer & Salovey, 1990)
감성지능은 종래의 Thorndike의 사회적 지능, Gardner의 개인지능(대인간 지능과 개인 내 지능), Sternberg의 실제적 지능
(맥락적 요소)과 유사한 개념
⇨ 감성지능이라는 개념이 성립될 수 있는 근거는 성격과 같은 개인의 기질이나 선호도, 또는 대인관계기술과는 달리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파악하고 그것을 조절하는 것은 정신적 능력의 영역에 속한다는 데 있음
(2) 감성지능의 구성내용
1990년, 3영역 10요소 모형
1997년, 4영역, 4수준, 16요소 모형
⇨ 영역 1 : 정서의 인식과 표현
⇨ 영역 2 : 정서의 사고 촉진
⇨ 영역 3 : 정서 지식의 활용
⇨ 영역 4 : 정서의 반영적 조절
감성지능의 ‘4영역 4수준 16요소’ 모형에 나와 있는 16가지 능력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일의 방법은 없으며, 단시일에
그러한 능력들이 향상되는 것도 아님
⇨ 가장 기본적인 수준인 ‘감정의 인식과 표현’ 능력은 일상의 대화장면에서 반복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고, 이 능력이 있어야 그 다음 수준의 능력이 개발될 수 있음
⇨ 감성지능은 유능한 지도자, 교사, 성직자, 카운슬러, 영업 및 판매직 종사자 등이 되는데 필수적 능력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6.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2 (1) | 2023.01.30 |
---|---|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5.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발달1 (0) | 2023.01.29 |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4. 학습자의 지적 특성과 발달 2 (1) | 2023.01.28 |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2. 인간형성 및 발달의 이해 (0) | 2023.01.26 |
임상심리사, 상담사, 교육학, 복지 등 교육심리학 핵심 이론 정리 1. 교육과 심리의 학문적 접근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