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사회복지협의회와 사회복지사협회
1. 사회복지협의회
(1) 사회복지협의회 개념
▷ 사회복지협의회란?
-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 연구와 각종 복지사업을 조성하고 사회복지 증진과 발전을 위하여
참여하는 사회복지기관과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협력적 기능을 통해
활동하는 결합된 민간 사회복지 합의체.
▷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본적 요소
- 시민과 사회복지기관을 대표하고 정부기관과 민간기관을 포괄.
- 사회복지기관이 관련되는 한 사회복지협의회는 기관의 공적으로 지명한 대표에 의해
대변되는 연합체.
- 대도시, 소도시 및 군 같은 지방, 지역사회 내에서 활동.
- 사업은 보건 및 복지계획 등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모든 활동.
▷ 사회복지협의회의 유형
- 사회복지기관협의회
→ 사회복지기관이나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위원회나 부서를 가진 여타의 단체들로 구성.
→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전신인 한국사회사업연합회에 해당.
- 지역사회복지협의회
→ 전문 혹은 비전문 개인회원과 사회복지기관을 대표하는 단체회원들로 구성되어 포괄적인
의미의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고 사회복지기관들을 조정하고, 보건과 복지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사회행동 등에도 참여.
→ 대부분 협의회가 해당되며 아무런 법적 권한이나 강제력을 갖지 않음.
→ 협력적 과정을 통해 기능하며, 협의회의 영향력은 지역사회로부터 승인, 주민의 참여,
정책결정자들의 관여, 전문 직원들의 역량으로부터 나옴.
→ 협의회는 전지역사회의 이익을 대표.
- 전문분야협의회
→ 앞 두 가지 유형 중 하나의 기능적인 형태로 소 협의회 혹은 독립기구로 존재하는 경우.
→ 사회복지시설연합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재활협회, 청소년연맹 등이 해당.
(2)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 기능
① 지역사회의 복지증진과 관련된 사실 발견 기능.
② 사회복지기관들의 조정과 협력 기능.
③ 지역사회복지의 센터 역할 기능.
④ 지역사회복지 기관 간의 서비스 조정활동 기능.
⑤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업무의 질적 수준을 제고의 기능.
⑥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공동의 계획 수립 및 실천 기능.
⑦ 정보제공, 교육 및 홍보 기능.
⑧ 자원동원 및 재정안정 도모 기능.
⑨ 사회행동 기능.
▷ 역할
- 공통업무
① 조사 연구 및 정책건의 사업 ② 출판 및 홍보사업 ③ 교육 및 훈련사업
④ 협의 및 조정사업 ⑤ 자원봉사활동 진흥사업 ⑥ 지역사회복지 재원의 확보사업
- 조직단위에 따라 구별되는 업무
① 중앙협의회
: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무 및 기타 중앙협의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사항.
② 시. 도 협의회
: 시, 도지사 또는 중앙협의회가 위탁하는 업무 및 그 밖에 시, 도 협의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사항.
③ 시, 군, 구 협의회
: 시・도지사, 시・군・구청장, 중앙협의회 또는 시, 도협의회의 위탁업무 및 그 밖에 시, 군,
구협의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사항.
▷ 활동원칙
① 주민욕구기본의 원칙 : 광범위한 주민의 실태, 복지과제 등을 파악하도록 노력하고
그 욕구에 입각한 활동을 수행.
② 주민활동주체의 원칙 : 주민의 복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자주적 대응을 기초로 한
활동 수행.
③ 민간성의 원칙 : 민간조직으로서의 특성을 살려 주민욕구, 지역의 복지과제 대응하는
개척성, 즉응성, 유연성이 발휘된 활동 수행.
④ 공사협동의 원칙 : 공사의 사회복지 및 보건, 의료, 교육, 노동 등의 관계기관, 단체,
주민 등의 협력과 역할분담에 따른 계획적이고 종합적 활동 수행.
⑤ 전문성의 원칙 :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조직으로서 조직화, 조사, 계획 등에 관련
전문성을 발휘하는 활동 수행.
⑥ 지역특성존중의 원칙 : 조직과 구조는 지역사정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지역적 특성에
적절한 사업내용과 방법 구사.
(3) 사회복지협의회의 역사
▷ 외국의 역사
- 1869년 영국에서 시작.
- 1877년 미국 버펄로 시에 설립된 자선조직협회(COS)에서 기원.
- 19세기 후반 자선조직협회가 발전하여 현대적 사회복지협의회 조직.
▷ 한국의 역사
- 1952년 2월15일 부산 아동복지시설 '새들원'에서 개최된 제1회 사회사업가대회에 참가하였던
약 200여 명의 사회복지시설 대표들이 '한국사회사업연합회' 창설,
- 1970.5.22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개칭
- 1983.5.21일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법정단체화
- 1984. 11월 시도사회복지협의회 조직
- 1998.12월 시도 사회복지협의회 독립법인 설립
- 2003.7월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 법인화
(4)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사회복지사업법 제33조와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의거 설립된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민간사회복지증진을 위한 협의조정, 정책 개발, 조사연구, 교육훈련,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정보화사업,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사업을 수행.
▷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주요 업무
①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및 정책 건의
② 사회복지에 관한 교육 훈련
③ 사회복지에 관한 자료 수집 및 간행물 발간
④ 사회복지에 관한 계몽 및 홍보
⑤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⑥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하는 자의 교육훈련과 복지증진
⑦ 사회복지에 관한 학술도입과 국제사회복지단체와의 교류
⑧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무
⑨ 기타 중앙협의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사항.
▷ 회원의 자격
① 중앙협의회 회원
- 시ㆍ도협의회의 장.
-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사업과 관련 있는 비영리법인 대표자.
- 기타 사회복지사업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중앙협의회의 장이 추천하는 자.
② 시ㆍ도협의회 회원
- 시ㆍ군ㆍ구협의회의 장
- 당해 지역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사업과 관련 있는
비영리법인의 대표자.
- 당해 지역의 경제계, 언론계, 종교계, 법조계, 문화계, 교육계 및 보건의료계 등을
대표하는 자.
- 그 밖에 지역사회의 복지발전을 위하여 시ㆍ도협의회의 장이 추천하는 자.
③ 시ㆍ군ㆍ구협의회 회원
- 당해 지역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사업과 관련 있는
비영리법인의 임직원.
- 당해 지역에 주된 사무소가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
- 당해 지역의 경제계, 언론계, 종교계, 법조계, 문화계, 교육계 및 보건의료계 등에
종사하는 자.
- 그 밖에 지역사회의 복지발전을 위하여 시ㆍ군ㆍ구협의회의 장이 추천하는 자
▷ 주요기능 및 역할
① 사회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및 정책건의
② 사회복지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 복지증진
③ 사회복지에 관한 자료수집, 각종간행물 발간 및 홍보
④ 시·도사회복지협의회 업무지원 및 협력증진
⑤ 국제사회복지단체와의 교류협력
⑥ 자원봉사활동의 진흥
⑦ 사회복지 자원개발 및 정보화사업의 진흥
⑧ 식품자원 기부촉진 기반조성
⑨ 사랑나눔실천 「1인1나눔 계좌 갖기 운동 」전개
⑩ 소아암·백혈병 및 희귀·난치성질환환아 진료비지원 사업
⑪ 사회공헌 문화주도 및 종합정보 제공
⑫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하는 사회복지에 관한 업무 등
▷ 업무추진도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1) 전문가단체
▷ 전문직 속성에 대한 이해(한 직종이 전문직으로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요건)
① 업무의공공성.
② 고도의 지적 기술과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필요.
③ 개인으로나 집단적 광범위한 자율성.
④ 자율성의 범위 내에서 행한 판단이나 행위에 대해 직접적 책임.
⑤ 실천자의 경제적 이익보다 직무 강조.
⑥ 포괄적 자치단체.
⑦ 직업단체로서의 윤리강령.
▷ 전문가 단체의 기능
① 사회적 이익 고취.
② 정부기관과 협조하여 기회 조성.
③ 조직생활과 참여의식 고양.
④ 공동이익의 전달, 표명, 방편, 인증을 위한 수단
▷ 전문가 단체로서의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기능과 역할
① 전체 국민의 복지향상의 공익을 목표로 하고 비영리적 특성.
② 국민 복지 향상을 위한 전반적 복지제도 개선 및 법 제정 요구의 사회 개혁적 성격.
③ 윤리강령 제정.
④ 합리적 제도권에 대한 행동을 취함으로 일반 대중들의 긍정적 반응을 얻음.
⑤ 사회적 이익을 고취하고 정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정책대안 제시.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역사
▷ 협회 창립 이전 시 (1910~ 45년)
① 조선사회사업연구회.
- 1921년 4월 창설되어 사회사업의 연구 진흥 및 회원 상호 간의 친목도모에 중점.
- 주요사업내용은 사회사업 강연회 및 강습회 개최, 기관지 발행, 보호 아동위원회 개최, 아동
애호의 날 행사, 인사구호금 지출, 사회사업기관 지원 등.
② 조선사회사업협회.
- 1929년 조선사회사업연구회가 조선사회사업협회로 조직 변경.
- 주요사업내용은 사외사업 상호 간의 연락통일 사업, 사회사업에 관한 조사, 연구사업, 사회사업
장려, 원조, 강습회, 강연회 개최, 공로상 표창, 도서출판 등.
③ 조선사설사회사업연맹.
- 사회사업 시설장들에 의해 1931년 사설사회사업간담회 결성.
- 오늘의 사회복지협의회의 전신으로서의 역할을 최초로 담당한 기구.
▷ 한국사회사업연합회 시대 (1945~ 61년)
- 해방 이후 미군정에 의해 사회복지서비스가 주를 이루고 응급구조와 외원에 의한 구호로
이어지고, 사회사업관련 대학교육이 실시.
▷ 한국사회사업가협회 시대 (1961~88년)
① 한국사회사업가협회 형성기 (1961~70년).
- 한국사회사업연합회는 1961년 5.16 군사혁명위원회는 포고령을 통해 당시 사회단체 해산,
사회사업단체도 연합회에 통합.
- 1967년 4월22일 사회단체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등록.
② 한국사회사업가협회 정체성 확립기 (1970~79년).
-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으로 사회복지 법인제도 도입, 사단법인 한국사회복지연합회를
한국사회복지협의회로 변경.
- 1972년 국제사회복지사협회(IFSW)회원국 가입, 사회사업가협회 기관지 사회복지뉴스를 창간하고
지방사회사업가협회 조직 시작.
- 주요사업내용은 회원확충, 강연회, 사회복지뉴스 발간, 전국 지부 설치, 사회사업가 윤리강령
제정준비, 사회복지사업법의 개정운동 전개, 사회사업가 Workshop 실시 등.
③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전기 (1979~88년).
- 1985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에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로 개칭.
- 주요사업내용은 사회복지 분야와 지역사회 개발에 사회복지사들의 참여 및 실행, 사회 제반
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기술적 계몽 및 봉사, 복지국가와 사회 사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증진을 위한 홍보, 전문사회사업의 제도 확립을 위한 사업연구,실무자의 1973년 윤리강령
제정 논의 이후 1988년 공포.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시대 (1988~현재)
- 사회복지사협회로서의 전문성 수립 및 확립기.
- 1980년대 후반부터 생활보호사업의 효과적, 효율적 수행을 위한 전달체계로서 사회복지
전문요원제 실시하여 시험을 통해 선발된 사회복지사가 별정직 공무원으로 일선 읍, 면, 동
행정기관에 배치.
-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통해 한국사회복지사협회를 동법에서 법정단체로 규정.
- 1999년 1월부터 사회복지사협회가 보건복지부장관으로부터 자격증 발급사무 위탁시행.
-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국가고시 실시.
- 2009년1월 사회복지사보수교육 실시
- 2011년3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
(3)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현황
▷ 설립근거 및 목적
- 설립근거
: 사회복지사업법 제46조에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 보급하고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사회복지사의 복지증진을 도모 하기 위하여
한국사회복지사협회를 설립한다”고 설립근거 명시.
- 설립목적
: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 보급하고 사회복지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사회복지사의 복지증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함.
▷ 조직
① 기구표(2015년 2월 기준)

② 총회
- 구성인원은 임원과 250명의 대의원으로 함
- 고정대의원은 각 지방협회별 3명씩 선출한다. 비례대의원은 250명의 대의원정수에서 고정
대의원을 뺀 나머지를 대의원 임기가 만료되는 해의 전년도 12월말까지 이 회에 보고된 각
지방협회별 회원(회원의 의무를 이행한 자)수의 비례에 따라 각 지방협회별로 나누어 정한다.
다만 회원수 비례에 의한 비례대의원수의 소수점 이하는
③ 임원
- 회장1인, 부회장 7인, 이사 15인이상 30인이하(회장, 부회장, 지방협회 대표 각1인포함),
감사 2인 구성하고 이사의 임기는 3년, 감사 임기는 2년 연임 가능.
④ 16개 지부
- 16개 시도에 지방사회복지사협회를 두고 각 지방사회복지사협회별로 별도의 분회를 구성, 운영.
▷ 사회복지사 규정
-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1항 :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
▷ 회원 및 자격제도
① 회원관리
-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23조의 규정에 의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교부 받은자는 협회의 회원.
- 회원가입은 소속 지방협회를 경유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증교부신청과 동시에 회원 가입이
등록되며, 가입이 되는 동시에 지방협회 회원이 됨.
- 일반회원은 최초회원증 교부비와 연회비가 있음.
② 자격제도
- 관련규정
: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자에게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교부.
-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연혁
→ '70.1. 사회복지사업종사자 자격신설
→ '83.5. 사회복지사 1,2,3급 자격증으로 개편(교과목 이수 후 졸업하면 자격취득, 대학원 1급,
4년제 학사 2급, 2년제 대학 전문학사 3급)
→ '97.8.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운영을 위한 법 개정(대학원, 4년제, 2년제 졸업후 2급,
1급은 국가시험체제로 개편)
→ '03.3. 제1회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시행.
→ '09.1.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법제화.
③ 주요 자격요건
- 사회복지사 1급 (다음 요건 해당자로서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
→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한 자.
→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필수 10, 선택 4)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 사회복지사 2급 (다음 요건 해당자)
→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한 자.
→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
(필수 10, 선택 4)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 사회복지사 3급 (다음 요건 해당자)
→ 전문대학 졸업자로서 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12주 교육.
→ 고졸자/3년이상 실무경험자 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에서 24주 교육.
→ 법2조1항의 규정에 의한 업무에 8급/8급상당 이상으로 3년이상 종사한 공무원으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한 교육훈련기관에서 4주 이상교육
④ 자격증 교부현황
- 2012년 7월 사회복지사 자격증 교부자는 총 542,067명
(1급: 103,671명, 2급: 425,957명, 3급: 12,439명)
※ 2014년 2월 자격증 교부자 총 655,023명
(1급: 110,675명, 2급: 531,591명, 3급: 12,757명)
▷ 사업내용
- 이 회는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행한다.
① 국민의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활동
②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의 개발 및 보급
③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및 보수교육
④ 사회복지사 국가시험 운영 및 자격증발급 등의 수탁업무
⑤ 사회복지사의 권익옹호와 복지증진
⑥ 사회복지사에 관한 조사·연구 및 홍보·출판
⑦ 국내외사회복지관련 전문가 단체와의 교류·협력
⑧ 사회복지사의 취업정보 제공
⑨ 사회복지사대회 등 행사운영
⑩ 사회복지사를 위한 공제회 사업
⑪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업 수탁업무
⑫ 원격교육시설 운영
⑬ 그 밖의 이 회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 이 회의 목적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익사업을 할 수 있다.
① 도서출판사업 ② 조사 · 연구 용역사업 ③ 그밖에 이사회에서 의결한 수익사업
3. 사회복지협의회와 사회복지사협회 발전과제
(1)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사회복지의 개념을 '국민복지'의 개념으로 새롭게 설정.
▷ 종래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외에 국민의 생활권 전반으로 미션과 역할을 대폭 넓힘.
▷ 범국민적 단체로 거듭나기 위해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기관과 주민의 참여 필수.
▷ 다양한 사업들을 수행하므로 인력과 예산을 대폭 확대.
▷ 한국 내에서의 지역사회인지도 향상뿐 아니라 한국의 민간 사회복지계와 외국의 민간
사회복지계의 교량역할 담당.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조직 역량강화 필요.
▷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확립.
▷ 사회복지사 전문성 강화 측면에서 자격제도의 개선 필요.
▷ 지역복지의 발전 및 강화, 사회복지의 공공성 확대, 사회적 약자의 권리강화를 위한 활동.
▷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에 걸맞게 전문가로서의 긍지와 자부심으로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려는 자세.
▷ 지방협회의 활성화 및 회원 활성화
'지역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4강.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 | 2022.12.27 |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2강. 지역공동모금제 (0) | 2022.12.25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20강. 사회복지관과 지역자활사업 (1) | 2022.12.18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19강. 재가복지 (0) | 2022.12.17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요점 정리 18강. 지역사회복지 운동에 대한 이해 (1)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