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청소년과 중독Ⅰ
![](https://blog.kakaocdn.net/dn/c9qH6j/btrNu6MZ2m8/MZbkFjG1Ec85XJReK1U4wk/img.png)
1. 청소년과 중독
- 물질 중독 : 마약, 담배, 알코올 등
- 비물질 중독 : TV 시청, 인터넷, 게임, 구매욕 등
- 약물중독 : 술, 담배, 본드·시너·부탄가스 등의 흡입제, 대마,메스암페타민, 헤
로인 등과 같이 특정 약물에 대하여 ‘내성’과 ‘금단증상’이라는
생리적 의존성이 생기는 것
- 인터넷 중독 : 심각한 수준의 비행이나 범죄로 연결, 사회적 대응 미흡
2.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
- 인터넷 중독 : 우리나라 매스컴에서 자주 상용
- 컴퓨터 중독 : 컴퓨터와 관련된 중독현상을 말하며 주로 아이들의 게임
중독과 프로그래밍에 몰두하는 것
- 인터넷 오용 : 도서관이나 직장 또는 학교에서 정보검색이나 업무용 컴
퓨터망을 개인적으로 기분전환, 도박, 증권매매, 경매 등에
이용하는 것(특히 설치된 하드웨어의 목적과 다르게 사용)
3. 인터넷 중독 현상
- 사이버섹스 중독
⋅ 전형적인 인터넷 중독의 하부 형태로 인터넷중독의 1/5 정도 산정
⋅ 사이버 포르노, 사이버 섹스 등 온라인 성적 활동의 몇 가지 형태와 관련
⋅ 인터넷상 강박현상이 성행하는 이유 : 익명성, 편리성, 탈출과 현실 대체
- 사이버 강박현상
⋅ 온라인 도박강박증, 온라인 경매중독, 지나친 온라인 상거래와 관련
⋅ 중독에 이르게 되는 주된 이유 : 접근성, 조절, 흥분
⋅ 사이버 이동집단으로 위장하여 청소년들을 성적·외설적으로 유혹, 포르노
사진, 폭력 게임들과 같이 부적절하고 역기능적인 내용에 빠져들게 하는 것
- 컴퓨터 중독
⋅ 컴퓨터와 관련된 중독현상을 말하며 주로 아이들의 게임 중독과 프로그
래밍에 몰두하는 것을 설명
- 인터넷 오용
⋅ 컴퓨터와 인터넷이 연결된 망의 단말기를 주된 목적과 다르게 활용하는
것을 말함
4. 청소년과 인터넷 중독
가. 청소년과 인터넷 중독
1) 연령별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 수
![](https://blog.kakaocdn.net/dn/ww4fB/btrNvZ7tj2P/80vup1LHku7t6mhWKkk6wk/img.png)
5. 아동 청소년보호 종합대책
가. 사이버상 아동 청소년 보호를 위한 정책협력체계 강화
- 주요 추진과제
⋅ 사이버상 유해정보 감시·단속·정화
⋅ 정책 추진기반 구축
⋅ 건전 사이버 문화 조성
⋅ 국내외 협조체계 구축
나. 청소년 인터넷 중독 대응정책 협의회
- 주요 기능 : 인터넷 중독 해소정책 및 사업의 종합·조정,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공동연구, 정보 공유 등 협력방안 모색, 정책 및
사업 추진 실적 및 효과에 대한 평가 등
- 보건복지부장관 주관, 관련부처의 담당국장이 참여하는 회의(역할) -
정책 협의·조정
- 관련부처의 인터넷 중독 사업을 집행하는 산하기관 간 협력 강화
- 기관별 정책 노하우 및 정책자원의 공유 등을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 중
심의 정책사업 추진
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대응책
가.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체계
- 여성가족부의 인터넷 중독 대응정책
: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인격체로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건강한 매체
환경을 조성해주는 정책의 주요 분야
- 매체 역기능에 대한 비판력 및 변별력을 증진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을
사전 예방하기 위한 청소년 스스로 지킴이(Youth Patrol : YP)운동 등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확대 보급
- 잠재적인 인터넷 중독 아동·청소년에 대한 예방적 상담 활성화를 위해
한국청소년상담원을 중심으로 전국 163개 청소년(상담)지원센터를 연
결하여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기반을 구축
- 심각한 인터넷 중독 아동·청소년의 치료재활을 위해 대한청소년정신의
학회와 공동으로 전국 26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하는 광역치료센터
등 전국 226여 개 치료협력 병원을 지정·운영하는 등 치료기반 확대에
역점
나. 인터넷 중독치료 재활사업
- 배경 : 심각한 인터넷 중독 청소년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치료·재활 기
반이 현저히 부족하여 국민적 고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들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프로파일 연구와 중독청소년에
대한 장단기적 서비스의 총괄적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
제의식
- 보건복지부와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에서 2005년 ‘심각한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치료-재활 기반 조성 및 임상적 치료-재활 모델 개발
사업’ 착수
- 청소년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을 위하여 각급 학교에 전문상담 및
방문상담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으로 판명된 경우 치료협력
병원으로 연계하는 등 인터넷 중독 관련 원스톱 서비스 제공
다. 청소년상담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상담 치료연계
- 의의 : 예방교육과 치료의 중간 단계로서 전체 청소년의 12%에 달하는
잠재적 중독청소년들이 고위험 단계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중
요한 대응단계
- 청소년상담사의 인터넷 중독 상담 전문성 강화
⋅ 2006년 상반기 청소년상담사를 위한 인터넷 중독 전문상담 매뉴얼
개발
⋅ 같은 해 200여 명의 청소년상담사 대상, 전문상담 교육 실시
라.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상담 실시
- 여성가족부에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 상담을 추진하면서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매체인 인터넷과 휴대폰을 이용한 상담 서비스를 실시
- 상담에 대한 거리감을 허물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인터넷 중독과 관
련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함
마. 자아존중감 회복을 통한 인터넷 중독 극복대안
- 인터넷 몰입 혹은 중독 청소년 대상
: 다양한 놀이문화, 또래 경험 토론, 가족과의 대화, 인터넷 중독에 대한
교육 등을 통하여 인터넷 외 다양한 즐길 거리 및 가족 간의 대화
경험 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추진
- 심각한 인터넷 중독 호소 청소년 대상
: ‘기숙형 치료학교’ 과정 운영,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소아·청
소년 정신과 전문의와 함께하는 2주간의 합숙을 통해 인터넷과 단절된
채 자기 탐색을 할 수 있는 기회제공, 인터넷 중독 해소의 의지를
북돋음
- 인터넷 중독 청소년과 YC(청소년 동반자)를 일대일로 연계하여 치료
효과를 유지, 인터넷 중독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 상담과 생활
점검을 통한 도움
'청소년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21장. 청소년과 중독 Ⅲ (1) | 2022.10.02 |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20장. 청소년과 중독 Ⅱ (0) | 2022.10.01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18장. 청소년과 가출 Ⅲ (1) | 2022.09.29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17장. 청소년과 가출 Ⅱ (1) | 2022.09.28 |
복지직, 복지학과, 복지사1급 필수과목 청소년복지론 요점 정리 16장. 청소년과 가출 Ⅰ (1)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