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토양환경과 토양오염
*주요용어
◾토양 단면(soil profile) : 토양을 지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잘랐을 때 토양층들이 모두 나타나는 단면으로 이를
관찰하여 토양의 색, 성질, 구조 따위를 알 수 있다.
◾토양 3상(Three phases of soil) : 토양은 토양광물과 유기물인 고체상태의 입자인 고상과 그 사이의 공극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극에는 여러 가지 용질이 녹아 있는 액상,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등 대기 구성분이 함께 있는 기상
으로 채워져 있다.
◾토성(soil texture) : 토양의 무기입자를 모래, 미사 및 점토로 구분하고 이들의 함량비에 따라 결정되는 토양의 종류.
◾양이온 교환(cation exchange) : 토양콜로이드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양이온이 용액 중의 양이온과 교환하는 현상.
◾토양오염(soil pollution) : 산업활동에 의해 배출되는 유해물질이 토양에 축적되어 그 농도가 자연함유량보다 높아
지고 이로 인하여 토양에 악영향을 주어 그 기능과 질이 저하되며, 토양에서 생산된 생산물에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ant) : 농경지, 양식장, 야적장, 도시노면배수 등과 같이 불특정하게 산발적
으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오염원.
1.토양 생성 및 발달
(1)토양
·토양의 정의
-암석의 풍화산물인 모재→토양생성작용→토양.
-식물생산 측면→식물의 배지.
-지각의 가장 윗부분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물질로서 암석의 풍화산물인 작은 무기성분 입자와 동·식물에서 유래된 유기
물 및 이들 고체입자들에 채워진 공기 또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물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수분과 양분을 저장·
공급하여 주는 자연체.
(2)토양 생성 인자
-기후(강수량, 온도), 생물(유기물 함량), 모재, 지형, 풍화 기간 등이 토양의 성질을 좌우.
(3)토양의 단면 형태(O-유기물층, A-용탈층, B-집적층, C-모재층, R-암반)
2.토양환경의 구성과 기능
(1)토양의 구성
·토양 3상 : 고상(50%), 액상(2~30%), 기상(2~30%).
·토양 3상의 구성 비율
-이상적 구성 비율 : 무기물 45%, 유기물 5%, 공기 25%, 물 25%.
-양분과 물의 보유량.
-산소의 공급량.
-뿌리 생육(고상비율↑ 뿌리자람 불량, 고상비율↓ 식물체 지지↓).
(2)토양의 기능
·토양 3상
-무기물 : 암석의 풍화작용에 의해 무기물의 크기와 형태가 달라짐. 입자의 크기와 형태가 토양의 특성을 결정.
-유기물 : 동·식물 잔재에서 유래, 부식(humus). 식물체에 영양분을 공급.
-토양수분 : 공기와 함께 토양공극에 존재, 화학반응의 매질.
-토양공기 : 식물뿌리와 미생물의 호흡.
-토양의 입경구분 : 점토 0.002mm(0.2μm) 이하, 미사(씰트) 0.02~0.05mm, 모래 0.05~2mm, 자갈 2mm 이상.
·토양의 역할
-수분의 저장과 공급, 양분의 저장과 공급, 식물체 기계적 지지.
3.토양의 물리·화학·생물적 성질
(1)토양의 물리적 특성
·토양의 밀도와 공극률
-용적밀도(Bulk density) : 공극을 포함한 토양의 부피. 토양의 이용 여하에 따라 밀도가 다르게 나타남.
-우리나라 경작지양토의 평균 용적밀도 : 1.1~1.4g/cm³.
-입자밀도(Particle density) : 토양 고형입자 자체의 밀도. 인위적으로 변화되지 않음.
-공극률(Porosity) : (1-용적밀도/입자밀도)×100=공극률(%)
토성 | 용적밀도(g/cm³) | 공극률(%) |
사토 | 1.60 | 40 |
양토 | 1.20 | 55 |
식토 | 1.05 | 60 |
(2)토양의 화학적 특성
·토양의 화학적 조성
-모든 토양이 동일한 조성은 아님.
-가장 많은 성분 : 규산(SiO₂)과 알루미나(Al₂O₃).
-토양콜로이드(교질물) : 표면전하를 가지고 있음, 점토와 같이 미세한 크기의 입자는 콜로이드 성질을 가지고 있음.
·토양입자와 토양용액의 평형반응
-토양반응(Soil reaction)
-양이온의 교환(Cation exchange) : 콜로이드 표면상(대부분 음전하)에 가용성 상태인 양이온이 토양입자와 결합되어
있다가 식물의 뿌리를 통해서 식물에 영양분으로 공급됨.
-토양의 산화·환원
-염류집적
(3)토양의 생물학적 특성
·토양 생물
-미생물 : 세균(수가 가장 많음), 곰팡이(토양 입단화 기여), 방선균.
-토양동물 : 대형동물군, 중형동물군, 미소동물군.
-토양식물 : 대형식물군, 미소식물군.
4.우리나라 토양 특성
(1)토양의 특성
-산성모암인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에서 생성, 평균 pH 5.6인 산성, 유기물함량, 염류농도 및 CEC 낮음.
(2)논 토양의 특성
-토양비옥도가 비교적 낮음, 산성토양, 인산을 제외한 pH, 유기물, 칼륨, 마그네슘 등이 벼 성장에 부족.
(3)밭 토양의 특성
-산성토양, 교환성 염류농도 낮음, 유효인산, 교환성 칼륨 함량이 증가 추세, 비옥도가 낮고 완충능력도 크지 않음.
(4)시설재배지 토양의 특성
-약산성 토양, 유기물함량은 적정 범위를 약간 상회.
-유효인산함량이 적정 범위를 초과(수분과 염기 흡수 장해), 염류집적 및 지하수 오염 유발 원인.
(5)토양질소·인산의 순환
5.토양오염의 특징과 오염원
(1)토양오염
·토양오염의 정의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토양 내로 유입되어 그 농도가 자연함유량보다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토양에 악영향을 주어 그
기능과 질이 저하되며, 토양에서 생산된 바이오메스에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
·토양오염물질
-카드뮴, 구리, 비소, 수은, 납, 아연, 니켈, 불소, 유기인 화합물, PCB, 시안화합물, 페놀류, 유류(동·식물성 제외), 유기
용제류.
·토양오염의 특징
-축적성 오염, 2차적 오염, 국소적 오염특성, 장기지속성, 오염상태의 불균질 문제, 시차성과 고비용 문제.
(2)토양오염원
·발생원에 따른 구분
점오염원(point source pollutant) |
폐기물매립지, 대단위 가축사육장, 산업지역, 건설지역, 운영 중인 광산, 유독물 저장시설. |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ant) |
농약 및 화학비료의 장기간 연용, 휴·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중금속, 산성비 등. |
·원인물질에 따른 구분
-영양소(질소와 인), 농약 관련 물질, 유류 관련 오염물질, 중금속, 산성물질.
(3)토양오염 원인과 경로
·토양오염 경로
(4)토양오염과 생태계
·중금속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 원형질막의 투과성 변경, 식물 효소 억제 작용.
-수계환경에 미치는 영향 : 중금속의 생물농축.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 먹이 연쇄.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난분해성 유기화합물(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내분비장애물질(환경호르몬).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지질에 대한 친화력이 높음(체외 배출↓).
-생물농축에 의해 높은 영양단계의 동물은 농도가 축적.
'농축산환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6. 농약 (0) | 2022.04.28 |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공무원 등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5. 대기환경과 대기오염 (0) | 2022.04.27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4. 수질환경과 수질오염 (0) | 2022.04.26 |
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2. 농업환경 (0) | 2022.04.24 |
방통대 농학과 농업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1. 농업환경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