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철도기사

전기철도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3. 전철변 전설비

반응형

3. 전철변전설비

1. 변전계통의 구성

 

1) 직류변전 계통

변전소만의 계통 급전 구분소가 있는 계통 급전 타이포스트가 있는 계통

정류 포스트가 있는 계통 DCVR가 있는 계통(전차선 전압강하 경감 목적으로 직류

전압 조정장치를 주정류기와 조합)

2) 교류변전 계통

BT방식의 계통 AT방식의 계통

 

2. 부하의 측정 및 관리

 

1) 부하의 측정

순시최대전류: 1일중 최대값을 순시최대전류, 이것에 대항하는 전력을 순시 최대전력

1시간 최대전력: 1시간 내에 사용된 전력량의 최대값

2) 부하의 계산

(1) 사용 전력량을 구하는 방법

전류 커브면적 계산법 평균속도에 의한 방법 운동에너지 환산법 전력소비율법

 

(2) 순시 최대출력

 

3 직류 변전설비

1) 전철 변전소(설치간격: 515Km)

한전 또는 인근 변전소에서 수전한 322.9KV등의 전원을 전기차 공급 전원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

직류변전소 구성

수전설비 변성설비 급전설비 고압 배전설비 소내전원 설비

2)급전 구분소(SP: Section Post)

본선과 지선이 분기되는 곳에 설치

설치목적 : 전차선로의 전압강하 경감 고장검출 용이

사고구간 한정구분 사고시나 작업시 정전구간 단축

3) 급전 타이포스트(TP: Tie Post)

복선구간에서 전차선을 병렬 급전 할수 없을때 단말 부분의 상선과 하선을 차단기를

통하여 접속 할수 있는 설비, 설치목적은 급전구분소와 동일

4)정류 포스트(RP)

급전구간의 레일과 대지간의 누설전류 경감 목적으로 설치 한것으로

변전소 설비에서 고속도차단기를 생략한 것.

5) 정류기 (3상전파 정류방식 -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설비)

실리콘 정류기의 출력단자간의 저항 역할:

출력전압을 억제 (콘덴서에서 무부하시 방전하는 전하를 억제하기 위해 접속한다)

4. 교류 변전설비

※☆직렬 콘덴서 설치목적: 선로의 전압강하 보상 (급전측 설비의 급전선로에 설치)

1) BT 전철변전소

한전에서 교류366KV수전 주변압기(급전용변압기) 2차에 M상과 T상의

25KV 2조의 전압으로 변성

구 성: 수전설비주변압기콘덴서설비급전설비고압배전 설비소내전원 설비

흡상변압기 방식에서 전기차가 운전될때 전차선과 부급전선에 흐르는 전류: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

2) AT 전철변전소

한전에서 교류3154KV수전 주변압기(급전용변압기) 2차에 M상과 T상의

50KV(급전선-전차선) 2조의 전압으로 변성

구 성: 수전설비주변압기콘덴서설비급전설비고압배전 설비소내전원 설비

※☆단권변압기 설치장소

변전소 급전구분소 보조 급전구분소 급전 타이포스트 변압기 포스트

3) 급전구분소(SP)

급전계통을 구분, 연장급전 및 이종전원을 구분 하기 위하여 변전소와 변전소의 중간위치 에 설치

구성 : 차단기, 단로기, 단권변압기

4) 보조 급전구분소(SSP)

정전구간 단축을 위하여 변전소와 급전구분소간에 설치

5) 변압기 포스트(ATP)

전차선로의 전압강하 보상과 통신유도장해 경감을 위하여 말단에 단권변압기만 설치

6)주변압기 결선 : 스코트 결선

7)단권변압기(AT)

8) 진공차단기(VCB)

특징: 소형,중량이 가벼움 불연성,무소음 수명이 길다

고속도,고빈도,개폐기능 우수 차단성능 우수

9)가스절연 개폐장치(GIS)

(1) 특징 : 설치면적의 축소화 높은 안정성 고도의 신뢰성 보수점검의 성력화

설치기간의 단축 저소음

(2) 내장기기 : 차단기 모선 단로기 접기 개폐기 피뢰기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 Cable Sealing End(지중선로) Air Bushing(가공선로)

(3) SF6 특성

물리적,화학적 특성

열전달성 우수(공기의 약1.6) 화학적으로 불황성 이므로 매우 안정된 가스

무색,무취,무해,불연성의 가스 열적 안정성 우수

전기적 특성

절연내력 우수 소호능력 우수 아크가 안정 절연회복 우수

※☆양측 변전소의 병렬운전 조건

양측 변전소 전원의 위상차가 이하 일 것.

변압기1, 2차의 정격전압 및 극성이 같을것.

두 변압기의 권선비가 같을것. 두 변압기의 백분율 임피던스가 같을 것.

백분율 저항 및 리액턴스 전압강하비가 같을것.

5. 원방감시, 제어설비(SCADA System)

변전소, 급전구분소, 보조급전구분소 등은 급전사령실에서 원격으로 감시, 제어 및

운용 할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SCADA System 효과

정보의 정확도 증진 전기설비 계통의 합리적인 운용 전력공급의 신뢰도 향상

SCADA System 기능

원방감시 원방제어 원방계측

1) 중앙 제어소 장치(CC: Control Center Device)

변전소, 구분소, 전기실등 피제어소의 각종 전력설비를 종합관리 할수 있는곳

전력계통 및 상태변화를 원방감시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실시간 온라인으로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각종 기록업무 및 통계업무 처리를 수행하고 발생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수 있도록 하는 장치

구성: 주컴퓨터 장치 인간 기계 연락장치 통신 제어장치 각종 드라이버

2) 원격소 장치(RTU)

피제어소에 설치되어 변전설비로 부터의 현장 정보를 취득, 분석하여 제어소의 통신

제어장치로 송신하고, 통신 제어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 처리할수 있는 장치

구성: CPU 모듈 변복조 모듈 감시/적산 모듈 아날로그 모듈 제어 모듈

주전원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