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14. 우리 전통음식의 이해
제14장 우리 전통음식의 이해
14.1. 한국 전통음식에 담긴 조상들의 지혜와 숨결
*상차림이란 한상에 차려놓은 찬품의 이름과 수효, 전통적으로 독상이 기본이다.
* 반상 : 밥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
=첩 -밥,국,김치,조치,종지를 제외한 쟁첩(찬그릇)에 담은 반찬의 수
* 3첩 반상 :적당히 먹었던 서민들의 상 /* 5첩 반상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 상
* 7첩 반상 : 여염집에서 신랑, 새색시상 /* 9첩 반상 : 반가집의 최고 상차림
* 12첩 반상 : 궁중에서 차리는 수라상
14.2. 한국 전통음식의 특징 -맛
- 맛의 바탕: 장류 / 채소발효 김장김치 / 손맛 나물 / 별미 떡
14.3. 한국 전통음식의 특징 -멋
* 한국음식의 색 : 오방색(청, 적, 황, 백, 흑)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 색상이 아름다운 고명의 의미 -‘이 음식은 귀한 음식으로 아무도 손대지 않았던 것이다’라고 알려주는 역할
*조화의 미 / *봄 나무그릇, 여름 사기나 백자, 겨울은 유기그릇(은그릇)
14.4. 궁중음식의 특징
-표고나 쇠고기는 감칠맛 내는 재료로 어느 음식에나 들어감
-잣, 꿀, 참기름 등 몸에 약이 되는 양념을 많이 사용함
-초조반, 수라상, 낮것상, 저녁수라, 야참의 다섯차례 식사
* 왕이 수라를 드시기 전 큰방상궁이 먼저 음식 맛을 보는데, 이것을 ‘기미를 본다’고 한다.
14.5. 자랑스러운 우리 떡
* 떡의 우수성 - 과학적, 합리적인 음식
- 약식동원 : 음식이 곧 약이다
- 반기살이 : 잔칫날에 손님들이 돌아갈 때 음식을 싸서 보내는 것
* 떡의 분류 : 찌는 떡(시루떡,설기떡, 켜떡), 치는 떡(절편,개피떡,인절미,단자류),
지지는 떡(전병,화전,주악), 삶는 떡(경단,잡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