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모든 것이 정리 된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5. 한국의 전통 정원
제5장 한국의 전통 정원
-실제로 접할 수 있는 삼국시대 정원 : 고구려 주몽이 도읍으로 정한 졸본성,
백제 익산의 왕궁사지, 신라 경주의 안압지와 포석정
5.1. 정원의 어의
*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원림, 임천 등의 말이 사용됨
* 포, 원 -식물 중심 / 유, 원 -동물 중심 * 한정과 순치 -한정된 공간에 넣을 무엇
*garden -둘러싸다, 울타리, 보호 +즐거움, 기쁨
5.2. 한국 전통정원의 유형과 특징
1. 궁궐 정원 : 창덕궁 후원의 부용지, 애련지, 반도지, 옥류천
2. 주택 정원 : 선교장, 청암정 -마당가 담쪽, 건물의 옆, 후면. 사랑채의 정자나 별당에 조성
3. 산수 정원 : 집근처 자연 경관이 수려한 곳을 찾아 누각이나 정자를 짓고 자연경치 즐김
4. 별서 : 신라 최치원에게서 유래. 은일한 전원생활, 농장제도와 관련-제2주택형식의 정원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부용동 정원, 서울의 석파정
◉ 한국 전통정원의 특징 : 시적 정취가 담겨져 있다
자연 자체를 가급적 유지해 이용하거나 최소한의 인공을 가하는 방식
- 중국의 정원 :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지만 그 이면에는 완전한 인공이 자리잡고 있으며,
그 자연과 인공은 강하게 대비를 이룬다
-일본의 정원 : 돌이든 나무든, 연못이든 간에 의도된 사람의 손길이 강하게 느끼게 한다
5.3. 정원의 구성요소
1. 건물 = 누, 정은 건축물이고 대는 비건축물
- 누(루) : 2층 집. 누마루 밑으로 사람이 지나갈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높이 솟아있는 구조
공적인 성격, 장방형, 방 없음, 정자보다 규모 큼, 단청 많음, 고상식
- 정 : 높은 곳 위에 세운 집, 공간이 개방되어 있고 허창한 느낌을 주는 집.
사적인 성격, 반 정도는 방, 누각보다 작음, 저상식 단청 많지 않음
- 대 : 사방을 둘러 볼 수 있는 높다란 곳, 올라가 둘러볼 필요는 없지만 독특하게 높은 곳
경포대(건축물 유), 해운대.하조대.반구대 등은 건물이 없음
-전 : 황제가 거처하는 집, 우리는 종교 건축물에도 사용
궁전, 정전. 자전(임금 엄마), 신전, 불전, 대웅전, 대성전(향교 공자 모신 곳)
-헌 : 처마, 수레. 해학적 의미, 특이한 건축양식이나 용도의 차이점 발견
-각 : 방이 없는 건물, 귀중한 것을 보관하기 위한 건축물
장판각(서원.사찰에서 책판 보존), 비각, 효자각, 행각(건물 사이에 지붕을 씌운 통로)
-재 : 조상의 묘소 근처에 지어진 건물, 재실.재사.재각
독서나 공부하는 집 -성균관의 상재.하재, 동재.서재
*창덕궁의 낙선재 -한적한 곳 위치, 은밀하고 검소한 의미
2. 수경
* 정원 속에 연못을 조성할 때 많은 경우 사각형 모양을 취하였고, 연못 가운데에 원형의 섬을 만 들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러한 방지원도형의 연못은 음행오행사상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지당 :마당에 도입, 섬은 둥들고 삼신산 상징, 자연석 이용
-수로 :간수(자연수로, 석간.송간.죽간), 물 끌어들이기 위해 비구 이용, 곡수거(포석정)
-폭포 :인공적, 축경형. 비천(힘있게 떨어지는), 괘천(조용히 흘러넘치는)
3. 석물
* 우리나라 정원에서는 이국적인 돌이나 애호하는 돌을 석분에 담아 즐기는 정도였다.
-괴석, 석분, 석상/석탑, 석지(석연지)/돌확
4. 식물
*일반적으로 전정(가지치기)은 하지 않음, 분재.절화.취병 도입
* 정원식물의 상징성
- 세한삼우 : 소나무, 대나무, 매화
- 사절우 : 소나무, 대나무, 매화, 국화
- 사군자 :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
- 안빈낙도의 생활철학 : 국화, 버드나무, 복숭아나무
- 태평성대 희구 : 오동나무, 대나무
- 불로장생, 신선사상, 도교 : 복숭아나무
- 은둔 : 죽림
- 부귀, 번영 : 석류나무
- 식물과 관련된 고사 : 연꽃
- 강희안, <양화소록>
5.4. 대표적인 전통정원 사례
1. 궁궐정원 /창덕궁 후원 - 태종 때의 이궁, 부용지, 애련지, 반도지, 옥류천
2. 주택정원 -실용정원 활용, 휴식과 완상의 공간 -강릉 선교장, 봉화 청암정,
3. 별서 -은둔, 은일, 효도, 자연 즐김. 제2의 주택, 산수가 수려한 경승지 -담양 소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