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농학과 농업직 관련 농축산환경학 핵심 요약 정리 2. 농업환경
제2장 농업생태계
*주요용어
◾생태계(ecosystem) : 특정 지역과 공간에서의 비생물적 환경과 생물 공동체가 종합적으로 결합된 물질계 또는 기
능계.
◾군집(community) : 일정한 생육조건하에서 생활하고 있는 모든 생물 개체군의 모임으로 생물군집을 이루고 있는
개체군은 먹이관계와 양분순환 등의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항상성 (Homostasis) : 생물체 또는 생태계가 내․외부의 변화에 저항하거나 대응하면서 평형상태를 유지해 나가는
경향.
◾탄소순환(carbon cycle) :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광합성에 의하여 유기물로 고정되고, 유기물은 먹이사슬과 호
흡현상 및 미생물의 분해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로 되어 무기물로 순환하는 현상.
◾질소순환(nitrogen cycle) : 생태계 내에서 질소가 생물학적 과정과 비생물학적 과정을 거쳐 다양한 화학 형태로
바뀌어 생물체에 이용되거나 환경으로 전환되어 순환되는 과정.
1.생태계와 농업환경
(1)생태계
·생태계(ecosystem)
-생물과 비생물적 환경의 상호작용.
-모든 생물은 물리적 환경과 상호관계를 가지며, 에너지 흐름이 시스템 속에서 뚜렷한 영양단계, 생물의 다양성, 물질의
순환을 만들어 내고 있는 상태.
-환경(토양, 물, 대기 등 물리적 요소)+생물학적 요소.
-생태계가 환경보다 광범위.
·생태계 구성 요소
-영양적 입장에서 생태계 구성 요소
-독립영양 부분 :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ex. 식물-태양에너지를 유기물 속에 고정).
-종속영양 부분 : 유기물의 이용, 분해, 재분비가 이루어짐.
-구조적 입장에서 생태계 구성 요소
-비생물적 구성요소
: 순환무기물(C, N, CO₂ 등), 유기화합물(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 기후조건(온도, 기타 물리적 조건).
-생체량(Biomass)
: 생산자(독립영양생물), 대형소비자 또는 섭식 영양자(종속영양생물), 미세소비자.
(2)농업환경
·농업환경(Agriculture Environment)의 개념
-농업이 이루어지는 생산의 장, 자연환경과 도시환경 사이에 위치.
2.생태계의 구조
(1)생태계 구조
·생태계 조직화 단계 : 생물개체→개체군→군집→생태계.
·군집의 구조적 특성
-종 다양성, 우점과 상대밀도, 식생의 구조(수직, 수평 구성), 영양구조(종간의 먹이관계), 안정성.
·생태계의 항상성
-항상기구(feedback, 자동조절기구), 평형 수준의 개념(개체수 적정하게 유지), 피식과 포식.
3.농업생태계
(1)자연생태계
·자연생태계의 특징
-에너지 흐름(태양에너지), 영양물질의 순환(자연적 조절), 개체군의 조정(역동적), 생태계의 변화.
-비일률적이고 비직선적.
(2)관행농업생태계와 유기농업생태계
·에너지 이동과 물질순환
(4)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
·농업생태계의 투입환경과 산출환경
투입환경 | 산출환경 |
에너지=태양에너지+보조에너지 물질과 생물 유기체 |
동화 축적된 에너지와 물질 생물 유기체의 이동 |
(5)농업생태계의 지속성
·농업생태계의 지속성 특성
-환경 부하의 최소화.
-토양비옥도 보전 및 건전성 유지.
-지하수 보전 수자원 활용.
-야생생태계와 순화된 생물적 다양성 유지.
-농업자원의 국부적·지역적 조절 가능.
(6)지속가능한 농업
·지속가능한 농업의 개념
-집약적 농업→저투입 지속적 농업.
-토양검정, 비료 농약 최적 관리→생산성 유지·향상.
-환경의 질을 보전·향상.
-환경친화형농업(E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