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꿀 알바! 금연지도원이 되고 싶다면 꼭 봐야 할 필수 정보 요점 정리 2. 만성병과 생활습관

risa❤️ 2025. 1. 20. 16:10
반응형

2. 만성병과 생활습관 1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년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들의 10대 사망원인은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알츠하이머병, 간질환, 만성하기도질환, 고혈압성질환 순입니다.
이들 10대 사망원인 질환이 우리나라 전체 사망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습

니다. 그중 폐렴의 경우 노인성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노인들에서 집중적
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만성병의 속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의적 자해(자살)를 제외하고는 10대 사망원인 모두가 만성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 국민들의 10대 사망원인 ]

만성병이란?
만성병은 암, 당뇨병 심혈관질환과 같은 질병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언제
부터 병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는지를 알기가 어려운 질병입니다. 서서히 악화
하는 경우가 흔하고 노력 여하에 따라서 나아지기는 하지만 완치는 쉽지도
않습니다. 한 가지 원인으로부터 찾아오는 질병이 아니고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부터 시작되는 질병입니다.

 

 

만성병(중증 심뇌혈관질환)의 원인은?
① 흡연
② 운동 부족 및 비만
③ 고혈압 관리
④ 당뇨병
⑤ 과도한 스트레스 등 기타위험요인


만성병에서 생활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이고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 등을 포괄하는
중증 심뇌혈관질환이 우리나라 국민들에서의 주요 조기 사망 원인 질환인데
이러한 만성병들이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80% 가까이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만성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량한 생활습관과 같은 의미 있는 위험요인을
색출해 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함으로써 병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
거나 발병 시기를 지연하도록 해야 합니다.


미국, 서유럽 50년간 심혈관질환 사망률 절반 감소한 비결은?
실제로 미국과 서유럽 등에서는 지난 50여 년간 중증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이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는데, 질병의 치료 못지않게 위험요인으로서의 생활
습관 개선 및 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A. 심뇌혈관질환과 생활습관
우선 대표적인 만성병이라고 할 수 있는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몇 가지 중요
하고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을 알아보겠습니다.

 

 

교정 불가능한 위험요인  교정 가능한 위험요인
- 나이 (고령)
- 유전적 감수성 (가족력)
- 성별 (남성)
- 인종
- 흡연
- 고지혈증 (지질대사 장애)
- 운동 부족 및 비만
- 잘못된 식습관
- 고혈압
- 당뇨병

 

흡연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위험도가 2~4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은 다른 위험요인에
의한 중증 심뇌혈관질환 위험도를 더욱 높게 하는 상승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을 가진 사람에서는 금연이 더욱 중요합니다.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도 간접흡연에 의해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성인인구에서의 높은 흡연율과 간접흡연의 피해 때문에
담배는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중에서도 가장 기여도가 큰 요인으로
꼽힙니다. 오랫동안 담배를 피운 사람도 금연을 통해서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금연 이후에도 상당 기간 지속

 

[ OECD 국가들의 2019년 15세 이상 인구의 매일 흡연율 ]

 

효과를 발휘하는 흡연의 암 발생에 대한 영향과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금연 후 1년 이상이 지나면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상당히 낮아진다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흡연은 코로나19 감염 가능성과
환자의 중증도, 사망 위험을 높입니다.


운동 부족 및 비만

[ OECD 국가들의 15세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 ]

신체활동이 적고 체중이 많이 나가면 심장과 혈관계에 큰 부담을 주어 중증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운동 부족과 비만은 고혈압과 당뇨
병의 원인이 되며,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증가시키는 반면 HDL-콜레
스테롤은 감소시킵니다. 근래에 비만 인구가 선진국뿐 아니라 개발도상국
에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어린이들에게까지 이러한 경향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