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기사

전기철도기사 시험에 꼭 나오는 포인트가 보이는 핵심 요점 정리 2. 급전방식 및 급전계통

risa❤️ 2024. 3. 24. 15:15
반응형

2. 급전방식 및 급전계통

1.교류 급전방식(단독급전)

 

직접 급전방식 흡상변압기(BT) 급전방식 단권변압기(AT) 급전방식

1) 직접 급전방식(급전선을 전차선에 접속하여 가선하는 급전방식)

직류 전기방식에서 사용 가장 간단한 급전회로

전차선로 구성 : 전차선과 레일 전차선, 레일과 병렬로 별도의 귀선 설치

특 징

장점 : 회로 구성이 간단 보수가 용이 경제적

단점 : 전기차 귀선전류가 레일에 흐르므로 레일에서 대지누설전류에 의한

통신유도장해가 크고, 레일 전위가 다른 방식에 비해 크다

2)흡상변압기 급전방식

교류 전기방식에서 사용

설치목적 : 대지에 누설되는 전기차 귀전류를 BT작용에 의해 강제적으로 부급전선에

흡상시켜 통신선로의 유도장해 경감

흡상변압기

권선비 : 1:1 설치간격 : 4Km마다 설치

설치방법 : 1차 단자는 전차선에, 2차 단자는 부급전선에 각각 직렬로 결선

3)단권변압기 급전방식

교류 전기방식에서 사용

설치목적: 레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량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 방향의 AT쪽으로 흐르게

하여 근접 통신선에 대한 유도장해를 경감하고, 전압변동 및 전압 불평형을 억제

단권변압기(AT)

권선비: 1:1 설치간격 : 10Km마다 설치

설치방법 : 급전선과 전차선 사이에 AT를 병렬로 설치 접속하여 변압기 권선의

중성점을 레일에 접속

 

2. 급전계통의 구성 및 특성

 

1) 급전계통의 구성시 고려할 요소

전압강하 사고시의 구분 보호계전기의 보호범위 가선범위

전차선로 구성시 고려할 사항

가선계 특성 신뢰도 보안도 안정성

 

3. 급전계통의 운전 및 분리

 

1)급전계통의 분리

급전별 분리 본선간의 분리 본선과 측선의 분리(목적: 측선 사고시 본선과 분리)

차량기지와 본선의 분리

※☆AT급전방식의 특징(전력공급 측면)

급전전압(50KV)이 차량에 공급되는 전압(25KV)2배 이므로 전압강하율이 적어

대전력 공급 측면에서 유리

전압강하가 적으므로 변전소 이격거리가 길다.

철도 변전소의 위치를 한전 근처에 선정 가능하므로 송전선 건설비가 저렴하다.

부하 전류는 인접한 양쪽의 AT로 흡상 되므로 통신 유도장해가 적다

급전전압은 차량전압의 2배이나 중성점이 접지되어 실제 절연레벨은 1/2이 된다.

BT 급전방식과 같은 섹션이 불필요

전차선로의 급전계통을 구분하는 목적

정전구간 축소 보수 작업구간 확보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상전력을 구분

※☆AT 급전용 변압기의 보호장치
온도계 유면계 흡습 호흡장치 콘서베이터 충격 압력계전기
방압판 피뢰기
BT 급전용 변압기의 보호장치
온도계 유면계 공기호흡기 트라포스코프 안전밸브
단상3상 평형 전원을 얻기 위한 결선
스코트 결선 WoodBridge 결선 Meyer 결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