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건강사, 보육교사2급 등 가족관계론 요약 정리 19. 형제자매 관계
19. 형제자매 관계
1.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
1) 형제자매 관계의 특성
① 친밀한 관계의 느낌으로 싫고 좋은 감정의 반복이 일어남.
②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일관성과 일치성이 형제자매간 갈등에 영향을 미침.
③ 공간, 사물, 흥미 등의 일정한 한계 내에서 오랫동안 공유할 때 갈등이 일어나기 쉬움.
④ 충성, 애정, 협동 등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양이 감정에 영향을 미침.
⑤ 형제자매간 상호작용의 특성은 그들 형제자매의 인성발달, 사회적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침.
⑥ 형제자매의 상호작용은 어느 연령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발달적 과정임.
2) 통계로 보는 형제자매 관계
① 출생아 수 및 합계 출산율
② 자녀들의 형제자매와의 관계만족도
③ 10대의 자기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2. 형제자매 관계의 가족적 특성
1) 가족체계와의 관계
① 가족 내 자녀의 출생은 가족의 체계를 개방화시키며 이런 개방경향은 자녀가 많아질수록 커짐.
② 부모와 자녀 간에는 연결이 가능하지만 부모가 형제자매간에 나누는 비밀스런 행위에는 접근하기 어려움.
2) 형제자매간의 연합
① 부모의 행동이 자녀들의 결속을 유발하기도 함.
Ⓐ 부모연합이 견고할 때는 자녀들 간의 연합도 견고해져 이 연합에 모든 자녀가 참여하기 쉬움.
Ⓑ 부모 중 한쪽만이 지배적일 때, 연합은 약한 부모와 자녀 간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음.
Ⓒ 부모의 권력이 비슷하지만 부모연합이 굳건하지 않을 때는 형제자매간의 경쟁이 심해짐.
② 동성 형제자매간 연합과 비슷한 연령 간 연합이 보편적임.
③ 형제자매 연합에서 비밀폭로나 밀고는 정당화 됨.
④ 형제자매간 연합은 통합 또는 분열의 기능을 함.
3) 형제자매의 위치관계
① 형제자매는 자녀가 여러 명 출생함에 따라 그 지위나 위치에 변화를 겪음.
② 자녀의 위치변화에 따른 결과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은 그 자녀의 연령과 도생을 받아들이게 하려는 부모의
노력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③ 자녀의 출생순위가 가정생활에서 부모 자녀간의 관계나 형제자매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들의 성격형성에도
많은 차이가 나타남.
➊ 장자녀는 도구적 지도자, 막내는 표현적 또는 정서적 지도자로서 행동하는 경향이 많음.
➋ 장자녀는 다른 형제들보다 권리상의 우월감을 느끼고 이에 따라 성취율 ‧ 성공율도 높아짐.
➌ 막내는 성격‧태도면에서 감정적이고 사교적이며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의존심이 많은 경향이 있음.
➍ 독자는 사회성 등의 발달이 느리고 자기중심적이 되기 쉽지만, 성격이 비뚤어질 가능성이 적은 편임.